View : 1506 Download: 0

1910년대 日帝의 祝·祭日 시행과 그 의미

Title
1910년대 日帝의 祝·祭日 시행과 그 의미
Other Titles
An Adoption of Japanese National Holidays in Joseon and its Significance during the 1910s
Authors
조누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옥경
Abstract
19세기 무렵 유럽에서는 국가의례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이는 곧 유럽을 넘어 아시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새롭게 만들어진 일본의 ‘祝祭日’ 역시 천황중심의 국민국가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에서 창출된 것이었다. 메이지시기 일본정부는 祝·祭日을 일반인들에게 적용·확대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일본인들에게 천황중심의 國體관념을 주입시켜 국민통합을 이룩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에서도 갑오개혁기부터 국가기념일인‘慶節’이 제정되었으며, 황실제사에 있어서도 환구제의 실시, 제전의 지위 격상 등 여러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황실관련 기념일들로 구성된 慶節은 서양의 국가기념일 형식에 영향을 받아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었으며, 민간에서도 경축행사나 행렬 등의 방식을 통해 경절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대한제국이 지향하였던 자주독립이라는 가치와 황제국으로서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런데 러일전쟁 이후 일제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祝·祭日도 조선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일제는 조선인들에게도 일부 祝·祭日의 경축을 강요하였다. 특히 통감부는 天長節과 紀元節 등의 주요 祝·祭日에 受賀式과 園遊會를 개최하였으며, 각 지방의 이사청에서는 拜賀式이 실시되었다. 경축식에는 일본인 관리들은 물론 조선인 관리들의 참석이 의무화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祝·祭日에 관청이 휴무하는 일까지 발생하였다. 각 관청과 시전에는 일제의 지시로 대한제국과 일본의 양 국기가 게양되었다. 반면 일본 祝·祭日의 확대로 통감부시기 대한제국의 慶節과 황실제사는 점차 간소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본 祝·祭日의 도입은 1910년 조선이 강제병합되면서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일제는 각종 휴일과 관련된 규정을 모두 대한제국의 慶節에서 일본의 祝·祭日로 교체하였고, 이에 상응하는 曆書도 새롭게 편찬했다. 총독부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동시에 이를 경축하는 시행체계도 확립되었다. 또한 언론과 교육을 통해 조선인들에게 祝·祭日을 선전하고 확산시키려는 시도도 이뤄졌다. 특히 총독부의 기관지 역할을 하였던 『매일신보』는 경축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조선인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각 학교에서 진행된 祝·祭日관련 교육과 의식도 이를 확대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시행 기반 마련과 더불어 조선에서는 각종 祝·祭日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먼저 祝日의 경우 提燈行列, 연무회 등의 경축행사가 진행되었는데, 특히 일제는 조선인들을 포섭하기 위하여 조선의 음악, 무용, 효자표창 등과 같은 전통적인 요소를 포함시켰다. 그 결과 축일은 보다 쉽게 조선인들의 삶 속에 침투해 들어갔고, 조선사회에서 점차 ‘祝祭化’되어가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祭日의 경우 신사시설의 미비와 인식의 부재로 인하여 시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조선인들은 祭日을 점차 ‘休日’로 인식하게 된다. 일제는 제일의 제전을 대체할 수 있는 기념식수, 동물원관람 등의 행사를 시행하였는데 대부분은 일제의 ‘문명’을 내세워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강제병합 이후 祝·祭日이 조선에 도입되면서 조선사회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먼저 祝·祭日로 대표되는 일제의 ‘제국적인 시간’관념이 확장되면서 양력으로 구성된 시간관념을 비롯하여 각종 일본적인 생활양식 전반이 조선에 적용되었다. 따라서 대한제국의 국가의례는 일본의 祝·祭日로 대체되었으며, 명절 등 기존의 세시풍속은 祝·祭日과 충돌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10년대는 ‘제국적인 시간’관념과 조선의 ‘전통적인 시간관념’이 공존하는 과도기적인 양상이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1910년대 이후 식민지배가 강화됨에 따라 사라져 갔으며, 점차 ‘제국적인 시간’관념이 강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1910년대 祝·祭日을 시행하는 데 있어 문화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이는 조선인들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祝·祭日을 맞아 문화행사에 참여하거나 동물원, 명승지를 방문할 것을 추천하였고, 이는 조선인들에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여졌다. 祝·祭日과 관련된 문화는 경성을 중심으로 하여 점차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1910년대 祝·祭日의 시행 양상은 시행기반의 부재라는 시기적인 특징 속에서 나타났으며, 1920년대부터 점차 내지연장화가 실시되고 신사를 비롯한 시행기반이 마련되면서 차차 모습을 감추었다. ‘무단통치기’라고 일컬어지는 1910년대에 시행된 祝·祭日은 일제가 식민통치를 강화해 나가는 하나의 문화적인 방법으로 활용되었으며, 비교적 수월하게 조선인들의 일상생활에까지 침투해 들어갔다.;From the 19th century, the importance of national rituals (國家儀禮) was emphasized in Europe and the way in which Europe constructed national holidays were extended beyond Europe and emulated in East Asia.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Japan took the lead of establishing Japanese National Holidays(祝·祭日) anew in East Asia for the purpose of making Japan an emperor-centered n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Meiji Restoration. These National Holiday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of national unity by embodying the idea of a Japanese emperor-centered national stat(國體觀念). The Korean National Holidays, called 'gyeongielol'(慶節), instituted in Joseon Dynasty after the Gabo Reform period and its national ritual formalities(國家祭禮) were being upgraded to the level of that of the Empire of Japan. In particular, Korean National Holidays composed of imperial related anniversaries were newly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Holiday formats of Western countries. Therefore, celebrations and parades were also conducted in the newly created Holidays. These changes -the establishement of Korean National Holidays and their advanced status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Japan Empire symbolically revealed the self-consciousness of independence that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aimed for as an emperor country. However,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s the influence of Japan Empire was being expanded over Korean penninsula, Japanese National Holidays began to exhibit their leverage over the empire of Korea. The Japan Empire forced people in Korea to celebrate the Japanese National Days.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統監府) hosted congratulatory ceremonies and garden parties on major festival days such as the Japanese Emperor's Birthday and the Japanese Empire Day while respectful congratulation ceremony was conducted at each Japanese residency in different provinces(理事廳). Even Korean officials as well as Japanese officials were obliged to attend the celebration ceremoni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National Holidays, National Holidays of the Korean empire and Joseon's national rituals were gradually simplified and reduced in their scale. An adoption of Japanese National Holidays began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ll of Korean Empire's regulations relating to the various holidays were replaced by Japanese National Holidays and the calendar was newly compiled according to them. The system of Japanese National Holidays was established to be celebrated all over Joseon, being centered 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總督府). The Japanese occupational authorities made many attempts to promote and spread Japan’s National Holidays to the people of Joseon, through both media and education. 『Maeil Shinbo』, which was used to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ighlighting the necessities of celebrating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Koreans. Education of the Japanese National Holidays required in school also had an impact on expanding their influence over the everyday life in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elebration of various ceremonies began to be implemented in Joseon. First of all, festivals(祝日) containing a lantern procession and the dance performance, were conducted, in which Japan included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Joseon's music, dance and award ceremonies to dutiful sons to embrace the Koreans. Through these performances, the celebration of National days were more easily penetrated the Korean consciousness which seems to be rather characterized by festivity in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ritual days(祭日) became holiday-like to Korean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because of the lack of Shinto shrine(神社) facilities and the awareness of it. Therefore, Japan held other events such as commemoration planting and zoo tours to settle Japanese national rituals, and this was mostly used as a way to justify and promote the necessitie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e sake of civilization. As the ceremonies of National Holidays were introduced to Joseon after compulsory merger, it penetrated the lifestyle of Koreans and soon caused various changes. As the conception of Empire tim extended to Joseon, the wide variety of Japanese lifestyles was also adapted to all facets of Joseon society. As a result, the national rituals of the Korea empire were replaced with Japanese national days which inevitably caused some conflicts with Joseon's seasonal customs(歲時風俗) and national holidays(名節). Thus, there was the coexistence of Joseon's traditional time concept and Japanese imperial time concept in the 1910s. But as Japan strengthened colonial rule over Joseon after the 1910s, the concept of imperial time was gradually more emphasized in Joseon. Highlighting the cultural aspects in implementing the National Holidays, cultures related to the National Holidays also began to affect the Koreans. Japan planned different cultural activities on National Holidays to inject Japanese emperor ideology into Korean culture. In the context of Japan's unauthorized rule and disappear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1910s, Japanese National Days came to be the opportunities for Koreans to experience a new culture. For Koreans, the celebration of Japanese National Holidays became a new way to enjoy culture.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Japanese National Holidays in the 1910s, the Japanese forced rule period,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used as a way for Japan to strengthen cultural colonization over Kore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