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준-
dc.contributor.author임유경-
dc.creator임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7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7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의 성행 배경을 고찰하고, 대표적인 작가들의 우언 작품 분석을 통해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의 서사적 특질과 형식적 특성, 주제 구현 양상과 우언의 시대적 역할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문우언산문의 개념과 범주를 재론하고, 조선중기 우언의 대표적 작가와 관련 작품들을 추출한 다음, 최종적으로 해당 작품들의 주제와 미학적 지향 및 그것이 함축한 문학사적 의의를 조명했다. 일반적으로 우언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돌려 말하거나 의도를 숨겨가며 말하려는 욕구가 문학으로 형상화 된 결과이다. 우언 내부에 사유의 충돌과 대립이 존재하는 만큼 작품 자체도 긴장과 재미의 요소가 비교적 풍부하다. 우언은 곧 문학의 영역에서 응당 주목받아야 할 분야 중 한 갈래이자 전 세계의 문학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한국문학사에도 우언은 그 역사가 길고 주목할 만한 작품이 적지 않다. 고려후기부터 개화기의 다양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우언서사가 지속적인 전통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우언서사의 흐름을 면밀하게 검토하자면 조선중기까지의 작품이 양적으로 풍성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작품들을 살펴보면 16세기 이전의 寓言史가 적지 아니 소략했음을 발견하게 된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하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이르면 동시다발적으로 우언의 작가가 등장하여 다양한 우언산문을 창작하였다. 조선중기에서도 본고가 주목하는 작가들은 유몽인, 허균, 조찬한, 장유 등으로 이들은 조선중기의 다양한 사상들과 문학이론들을 시험하면서 우언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우언의 문학적 경로를 다채롭게 발전시켰다. 본고는 우언서사가 작품 전체에 구현된 산문 작품만을 작품론의 대상으로 한정하여 살폈다. 우언의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입되거나 혹은 소설의 영역으로 이월된 작품은 논외로 삼는다. 이는 한문우언산문의 영역을 적정하게 범주화할 때 연구의 밀도와 설득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을 전제로 한 것이다. 본고는 조선중기의 우언 작품들이 양과 질 양면에서 이룬 성취에 주목했다. 이 시기는 전통적인 요인들의 기반과 외래적 요인들의 영향으로 우언의 작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것에 비례하여 우언의 양적 · 질적 비중이 높아졌다. 그렇다면 양적 · 질적인 면에서 그 구체적인 양상이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수반시킨 근거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그 해명을 위한 시도로 조선중기 우언산문 성행의 배경에 대해 고찰했다. 우언산문 또한 여타의 산문 창작 활동과 동반한다는 점, 우언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특정 텍스트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자면, 당시 산문 전반에서 흥기된 秦漢古文을 본받으려는 노력, 諸子百家 산문의 학습과 인용, 전쟁과 당쟁 그리고 사상적 다양성 등이 유력한 배경 요소이다. 조선중기 우언산문 연구에 있어서 사회와 문학의 상관성은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16세기 말 17세기 초라는 변혁과 혼란의 시기에, 시대 상황에 대응하여 우언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우언이 세계와 대결하는 서사 방식으로서 어떠한 미학적 가능성과 의의를 지니는가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본고는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의 자료, 주요 작가의 경향과 창작 경위, 작품들의 주제와 작품 실현 양상을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조선중기 우언의 사상적 면모와 우언형식의 질적 변화, 서사 역량의 다양화 등을 논의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도출했다.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은 주제와 작품 구현 양상에 있어 다양한 사상들을 포용했을 뿐만 아니라 우언 형식에도 질적 변화를 보였다. 조선중기의 우언은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로 이어진 虛構와 議論의 交織이라는 전통을 이어받아 다양한 시도를 펼쳐나갔다. 그리고 주제 면에 있어서도 실생활과 현실 정치에 관한 관심을 보이며, 삶에 관한 철학적 이성적 접근들을 우언서사를 통해 이룩했다. 그리고 조선중기의 다양한 사상적 스펙트럼은 조선중기의 문인들이 추구했던 참지식의 추구와 언어 소통 방식의 다변화에 대한 고민은 담아냈다. 뿐만 아니라 조선중기 우언은 인간과 세계, 세계와 문학에 대한 고찰과 풍자를 전통 장르의 경계선을 오가며 교직되는 우언서사 속에 담아 그 문학적 성과를 이루어냈다. 본고가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 연구를 통해 지향하는 바는 조선중기 우언산문이 우언문학사의 흐름에서 자리할 수 있는 위치와 가치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선중기 한문우언산문이 산문 문학사와 조응해나가는 방식과 의의를 규명할 때, 조선후기로 갈수록 확산되었던 우언의 추세, 그리고 문학적 성취와 관련하여 이 시기의 우언의 기여와 역할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and styles, as well as the aspect of realization and the roles of the period in allegory prose known as “Yuyen(寓言)” during the Mid- Cho Sŏn Dynasty through gradational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allegory prose’s wide spreading phenomenon, representative authors and their works. To accomplish this, the thesis will review the concept and criteria of the allegory prose and select authors and their works. Based upon these works, the thesis will discuss the themes, the aesthetic orient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allegory proses of the Mid-Chosen Dynasty in literature history of Korean prose. Allegory is a narrative mode or style of literature that attempts to persuade the reader of a phenomenon or related insight indirectly. That is the reason why allegory has existed throughout the literary history and around the globe. Korean allegory literature is distributed from the Koryo dynasty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eaning its works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period along with various traditional styles of prose. Such allegory prose tradition transcends through modern Korean literature but before the 16th century the quantity of allegory prose was not abundant yet. Meanwhile,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beginning of 17th century, many authors appeared and wrote various allegory proses. Yu Mongin, Hŏ Kyun , Cho Ch'anhan, Chang Yu were outstanding authors of allegory prose in that era and they expanded the boundary of allegory prose and tried various methods on their writings. The research objects will be limited to the works that were implemented in allegory narrative through the entire artwork. The reason for limiting the research boundary is to pursue accuracy and cogen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chievement of allegory proses of Mid- Cho Sŏn Dynasty in its quantity and quality of artworks. In this era, interest on writing technique and method on prose have increased and also the interest on allegor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chievement of allegory prose of the Mid- Cho Sŏn Dynasty in its quantity and quality of artworks. In this era, interest on writing technique and method for prose has increased; and with it, interest on allegory also jumped. That means the detailed aspects need to verified on quality and quantity fronts and it is necessary to have an explanation on what prompted such a change. As an attempt to the explan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background in the rise of popularity for allegory prose in the Mid- Cho Sŏn Dynasty. The background information encompasses the fact that allegory prose is produced when there is also an increase in other types of prose production, interest in allegory prose can be influenced by certain texts, the then-prevalent “Qin Han Gomoon(秦漢古文)”, and the prose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百家)” as well as war and political party strife, and diversity in ideology. The relativity between society and literature is important studying the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To learn how allegory prose was formed and the role it played urging the turbulent times of the lat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one need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the easthetic potential of allegory proses depending in its period. This paper discusses the theme of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in the Chinese character, the trend for leading authors and their motivation, the theme of each 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ng the pieces and thereby looking into the ideological aspect of allegory prose of that time and the changes in its quality, as well as the diversity. Based on this, this paper drew the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meaning of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in the Chinese character. The Mid-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in the Chinese language not only embraced varied ideologies in expressing the theme and the artwork itself, but showed change in quality for allegory prose. Allegory prose in that period made a lot adventurous attempts while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combining discussion and fiction from the late Koryo to early Cho Sŏn Dynasty. In thematic aspect, allegory prose from the Mid- Cho Sŏn Dynasty showed interest in everyday life for ordinary folks and practical politics, thereby taking both philosophical and logical approach to life in allegory prose. The varied ideological spectrum during that time portrayed concerns that literary of that period had regarding pursuit of true knowledge and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Not only that, the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also accomplished the literary achievement of pondering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the world and literature while transcending the boundaries set by traditional literature. The aim of this paper’s study on the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is shedding light on its place and value within the history of allegory prose. When you can establish the format and meaning of the Mid- Cho Sŏn Dynasty allegory prose within the prose literary history, the trend of allegory prose that expanded throughout the Mid- Cho Sŏn Dynasty and its contribution and role in that period’s literary achievement will become clear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사 검토 6 II.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형성 배경 12 A. 전통적인 요인들의 기반: 中期 이전 寓言散文의 흐름과 특성 12 B. 외래적인 요인들의 역할: 古文論의 수용과 전개 24 III.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자료와 주요 작가 30 A. 작품의 현황과 분포 31 B. 주요 작가의 우언 창작 경위 39 1. 柳夢寅 : 성찰 도구로서의 언어와 함축적 서사 39 2. 許筠 : 세계에 대한 비판적 냉소와 유희의 서사 50 3. 趙纘韓 : 노장적 세계관과 자아의 본질 탐구 53 4 . 張維 : 다원주의적 사상과 인간 정신에 관한 탐구 58 IV.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작품 구현 양상 68 A. 다양한 사상의 포용과 寓言 形式의 질적 변화 69 B.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력 제고와 寓言 敍事의 역량 확대 94 C. 참지식의 실체 추구와 言語 疏通 方式의 다변화 118 D. 인간 본성에 관한 고찰과 諷刺性 강화 150 V.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163 A.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특징 164 B. 조선중기 漢文寓言散文의 문학사적 의의 178 VI. 결론 198 참고문헌 211 Abstract 2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6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朝鮮中期 漢文寓言散文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llegory Proses of Mid- Cho Sŏn Dynasty-
dc.creator.othernameLim, Yoo Kyung-
dc.format.pagev, 225 p.-
dc.contributor.examiner이혜순-
dc.contributor.examiner신익철-
dc.contributor.examiner강진옥-
dc.contributor.examiner조혜란-
dc.contributor.examiner김동준-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