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7 Download: 0

외래어 표기법 문제점 연구

Title
외래어 표기법 문제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ome issues of A Writing Norm for Loan words
Authors
김정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창원
Abstract
본 논문은 현행 <외래어 표기법>(1986)이 갖는 몇 가지 문제점을 실제 표기 실태를 바탕으로 외래어 표기법의 기조 및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그 원인 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그간 의 논의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표기법의 문제점을 분석한 경우를 제외하면 표 기법 제1장 제4항과 제4장 제2절의 문제점을 각자 다룬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해당 두 조항은 <외래어 표기법>이 추구하는 원음주의 기조를 두고 대조적인 관점으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동일선상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고 보이는 바, 본고는 해당 두 조항에 집중하여 그 문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문제점 분석에 앞서 외래어는 국어로 간주되나 외국어가 기원이 되어 유입되었다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불안정한 어형 을 갖게 됨으로써 소통의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표기법을 제 정하게 되었다는 것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제정된 표기법의 변천 양상을 통하여 <외래어 표기법>이 추구하는 기조는 원음주의이 며 음운 체계의 상이함으로 인해 원어의 음성이 국어의 음운에 대응되는 방식 을 거쳐 표기를 도출하는 원리를 갖게 되며 아울러 기존에 용인되던 속음주의 방식의 표기는 관용으로 인정되어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원칙과 관용 모두 를 존중함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장에서 파악한 <외래어 표기법>의 기조와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본격적으로 제1장 제4항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조항의 문제를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조항과 관련한 표기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한 문 제점을 분석한 결과, 제1장 제4항은 파열음에서 된소리 표기를 배제하였음에 도 표기법의 다른 조항에서는 이를 허용하는 경우가 있어 규범상의 충돌이 발 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해당 조항이 또한 마찰음의 표기에까지 영향을 미쳐 된소리를 배제하고 있는 문제가 발견되었 다. 이는 음운 체계의 상이함, 기억의 부담, 간결성의 문제 및 마찰음 표기 시 된소리를 허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제 발음과의 괴리 등의 이유로 <외래 어 표기법> 제1장 제4항에 의하여 된소리 표기가 암묵적으로 배제됨으로 인하 여 원칙에 위배되는 표기가 허용되어 실제 평음과 된소리로 현실 발음이 실현 되는 보수성을 가진 마찰음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등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문제점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1. 파열음에서 된소리 표기가 허용되는 예외가 있을 가능성 명시 2. 마찰음에서 된소리 표기 를 허용 3. 현실 발음에 근거하여 마찰음에서 된소리가 실현되는 규칙성을 바 탕으로 규정을 정하되 관용의 용례 및 범주의 정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 이어 <외래어 표기법> 제4장 제2절의 하위 조항의 문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1항 및 제2항의 경우 중국의 인명 표기와 관련한 조항으로 현재 규범에 의거하면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각각 국 어식의 한자음 표기와 중국원음에 근거한 표기를 원칙으로 규정함으로써 규범 의 일관성에 저촉되며 과거와 현대를 나누는 기준이 규범에 부재하는 점, 과 거에 인정되오던 신해혁명(1911)이 아직까지도 뚜렷한 근거나 이유없이 기준 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목되었다. 제2항에서의 중국지명 표기 역시 현재 쓰임의 여부가 기준으로 설정되어 표기가 이분된 양상을 보이며 일 관성을 저해하고 제3항 일본의 인명 및 지명 표기에서의 통일성을 찾을 수 없 다는 점 역시 문제로 제시되었다. 제4항은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와 관련한 관용을 규정한 조항이나 실제로 지명에 한하여 현재 한국 한자음 표기가 관용 으로 사용될 경우 이를 인정한다고 나와 있을 뿐 인명에 관한 사항은 제외됨 으로 인하여 형평성에 어긋나는 문제를 노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관용에 관한 조항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에 대한 용례나 범주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향후 추가적인 문제로 발전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외래어가 유입된 시기 및 실제 언중을 대상으로 한 전면적 사용 관련 조사 등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제4장 제2절의 하위 조항이 제3항을 제외하고 국어식의 한자음 표기와 중국원음에 근거한 표 기가 이분화되어 있는 원칙으로 인하여 문제점이 파생된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본고에서는 해당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궁극적 원인은 한자가 한글 이전에 국어의 주 표기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에 근거한 다면 과거와 현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한글 전용과 관련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유효하게 된 시점에 근거하여야 하며 중국인명, 지명 표기 역시 원지음을 바 탕으로 한 일관된 표기상이 원칙으로 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is for analyzing some issues of 「A writing norm for loan words」 (1986). Most Discussions so far were dealing with either Paragraph 4 of Chapter 1 or Section 2 of Chapter 4 of the nor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of both Para. 4 of Chap. 1 and Sec. 2 of Chap. 4, however, because these two are interpreted as different concepts each other in terms of a principle of original sound so need to be treated together. In Chapter II, it states needs for the norm due to characteristic of loan words; considered as Korean but from foreign language. From this and changing history of this norm, a principle of original sound became basic rule that was the pursuit of the norm. This principle and a different phonology among languages make original sound be equivalent to Korean phoneme to produce letter of loan words. In addition the norm admits a principle of mark is as being idiomatic, so it respects both principles and idiomatic letters. In Chapter III, Based on the principle analyzed in Chapter II problems in Para. 4 of Chap. 1 were treated. Before this, writing condition was researched and some problems were found. Though fortis is excluded in plosives in Para. 4 of Chap. 1, there are some cases that other lower articles allow the sound causing conflict between articles in the norm. In addition the article affects fricative writing so it excludes fortis. A difference of phoneme system, burden of memor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Korean orthography」and a problem of briefness made fortis excluded. These were reflected in Para. 4 of Chap. 1 of the norm even though fricatives don't any have to do with plosives. After searching general pronouncing condition in loan words including fricatives, some rules exists in it because unlike plosives, fricative loan words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many years ago and those that have been introduced over the past few years appeared same condition; lax and fortis. Due to this restriction of using fortis, there is much trouble- not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fortis as pronouncing loan words including fricatives and violating the original principle, etc. Through this process, the needs of improvement of current Sec. is found to be urgent. In Chapter IV, some problems of Sec. 2 of Chap. 4 were analyzed. In Sec. 2 of Chap. 4. Chinese people and place names writing appeared random depending on users and the article insists these two kinds writing- based on Chinese sound writing or Korean sound- spoil consistency of a writing standard. Unlike Para. 3 of this Sec, only writing of Chinese is dealt with differently is also focused. Furthermore there is no obvious grounds of current standard; Chinese Revolution(1911). In Sec. 4, there is not appropriate categories and examples of common usage so it was criticised. Above all, the principle of original sound, it doesn't follow the norm and this is one of major problems. An eventual cause of this situation was that Chinese charact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main means of writing in Korea so it needs to be changed into new standard. Besid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norm, writing based on Chinese original sound has to be set in Para. 1 and 2. Sec. 4 also needs to have consistent standard of common usage regardless of the sort of names. Finally, in Chapter V, summary and the unsettled issues we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