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吳明濟의『朝鮮詩選』硏究

Title
吳明濟의『朝鮮詩選』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Oh Myeong-Je's JosenSiSeon
Authors
박소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동준
Abstract
이 논문은 17세기 명말 청초기 중국인 오명제에 의해 편찬된『조선시선』을 대상으로 삼아 편찬 의도와 목적, 작품 수록 양상을 통하여 당시 중국인들의 조선에 대한 인식과 선집 된 조선시의 가치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오명제의『조선시선』은 간행 당시 조선과 중국에서 크게 유행하였을 뿐 아니라, 후대까지도 중국 내에서 조선시선집의 역사와 전통이 이어져 다양한 시선집이 편찬되고 읽혔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와 가치를 가지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본고는 먼저 당시 중국 문단의 상황과 조선과의 교류 양상을 통하여『조선시선』의 편찬과정에 대해 밝히고『조선시선』에 수록된 조선시의 특징을 살펴『조선시선』의 문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정유재란(1597~1598)에 명군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온 오명제가 약 2년 간 조선에 머무르면서 윤국형과 허균을 비롯한 많은 조선 문사들과 교류하는 동안『조선시선』이라는 중국인이 편찬한 최초의 조선시선집이 탄생하게 되었다. 당시는 명말 강남을 중심으로 한 출판문화가 번성하고 있었던 시기로, 중국 내에서 많은 양의 도서가 출판·유통되는 때였다. 오명제가 고국으로 돌아간 후,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 아래 1600년 경 중국 내에서『조선시선』이 유행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선』에 수록된 총 네 편의 서문을 통하여 편찬 의도와 목적에 대해 추정해볼 수 있었다. 의식의 저변에 중국 기자의 후손으로 조선을 보는 중국인의 시각이 반영되어있으며 당시 허난설헌을 비롯하여 중국 내에서 조선의 문학 작품에 대한 관심 또한 적지 않았던 것이 책을 편찬하게 된 이유로 보았다. 다음으로『조선시선』에 수록된 작가와 작품의 수록 양상을 통해 당시 중국인들의 선관(選觀)을 추론해볼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조선의 풍속과 정경을 읊은 시에 대해 관심을 두었으며 유·불·도 삼교를 섭렵한 인식이 나타나는 시들이 적지 않게 수록되었다. 또한 중국의 경우, 명나라 시기부터 여성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조선 여성 작가에 대한 궁금증도 많았던 만큼 당시 이름난 조선 여성 시인들을 선집 하였다. 특히 작가 한 명당 한 수의 작품을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정몽주·정희량·이숭인 등 당시 충절지사로 이름을 날린 여말선초의 인물들의 작품을 많이 선집하고 있어 특정한 의도를 띈 선집으로 보았다. 명나라 장수로써 명-청 혼란기 속에서 느꼈을 고국에 대한 충정이 이러한 작품 선집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이후 전겸익의『열조시집』을 편찬한 의도와 상통한다 하겠다. 조선시선집을 편집한 데에 단순히 개인의 기호에 맞는 취사선택이 아닌 다분히 의도된 작품 선집이 이루어졌다는 주장은 실제 수록된 작품과 현전하는 작품과의 제목, 시어의 차이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몇몇 작품의 문학적 변조 양상을 통해 당시 오명제의 이러한 오기와 오류가 단순한 잘못이 아니라 뚜렷이 목적의식을 띈 것으로 보고 새로운 가치로써 인정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상 살펴본『조선시선』은 중국 내에서는 청 말기까지의 조선시선집의 역사를 이어가게 된 저본으로써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시선집의 편찬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진 허균이 조선의 시 비평을 이끌어 나가는데 있어 오명제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 아닌가 추정해 볼 수 있었다.『조선시선』통해 형성된 조선의 이미지는 중국 내에서 조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해주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매우 높은 가치를 갖는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17thcentury Chinese perception of Joseon and the value of their favored Joseon poems regarding to the editor’sintention, purpose and selected works of JosenSiSeon(朝鮮詩選), the anthology of Joseon poems, compiled by Oh Myeong-Je(吳明濟), a Chinese who lived through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The anthology has significant value because not only was the book popular both in Joseon and contemporary China, but it also initiated the stream of anthologies of Joseon poems in China afterward.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racks the compiling process of JosenSiSeon in terms of the atmosphere of Chinese literary society and its cultural exchanges with Joseon elit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poems to shed new lights on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book. JosenSiSeon, the first anthology of Joseon poems edited by Chinese, was compiled by Oh Myeong-Je after his dispatch to Korea for 2 years due to Jeongyu-war(丁酉再亂), when he made acquaintances with many local elites including Yun Guk-hyeong(尹國馨)and Heo-Gyun(許筠). Because the publishing culture thrived in Chinese Kang-nam area at the time, a variety of books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in China, which seems to be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popularity of JosenSiSeon after Oh Myeong-Je’s returning to his homeland around 1600. There are four prefaces included in the book, which suggests the editor’s intention and purpose.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that Joseon succeeded to Gi-Ja(箕子), who came to Korean peninsula from ancient China, is implied, and the wide spread preference of Joseon poetry including that of Hur Nan-seol-heon(許蘭雪軒) at that time in mainland China seems one of the reasons of making this book.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poets and their poems compiled shows the view of selecting poems of contemporary Chinese. The editor basically preferred the poems which depict the peninsula’s customs and landscapes, and many of the poems reflect the integrated recogni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lso, with the popularity of female poets from Ming dynasty, he was concerned about Joseon’s known female poets and included their works. While the majority of the works in the book follows single-poem-per-a-poet basis, plural works written by authors famous for their loyalty such as Jeong Mong-ju(鄭夢周), Jeong Hee-ryang(鄭希良), Lee Sung-in(李崇仁)are included, which shows the editorial policy. Because Oh Myeong-Je was in the middle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Ming and Qing, his devotion to his homeland might lead him to emphasize on those faithful writers, and the same attitude reappeared in his editing Jeon Gyeom-ig's YeolJoSiJib(列朝詩集)later. This is also clarified given quite a few titles and the words used in the poems of JosenSiSeon are par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ame works reported in Korea. The fact that the differences are not merely errors but absolutely intended ones and that the change itself has its own value can be revealed through tracing the re-writing process of the poems. In conclusion, JosenSiSeon is worth being focused as the origin of Chinese anthology of Joseon poems which led the tradition till the end of Qing in China.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Heo-gyun, in his outstanding literary criticism, could be also influenced by Oh Myeong-Je, since he was the major supporter of editing this book. The picture of Joseon framed by JosenSiSeon created the Chinese new recognition of the peninsul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