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정보람-
dc.creator정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5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504-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의미부여를 시도하였다. 그것은 신세대작가의 소설에 내포되어 있는 현실 개혁 의지를 전면에 내세우고 특유의 정치성을 도출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도가 타당성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소설 창작의 배경이 되었던 1950년대의 한국 사회가 전후의 피폐함으로 점철된 시대가 아니라 새로운 국가가 형성되는 역동적 시대였다는 사실에 있다. 무엇보다 봉건적인 신분제도의 붕괴와 민주주의 제도의 도입으로 평등의식이 확산되었고 사회 구성원들의 정치 참여 의식이 전례 없이 높아졌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정치적 각성은 시대의 부정성을 직시하는 의식으로 이어졌다.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그러한 부정의식의 표출이었다. 장용학, 김성한, 손창섭은 각각 물화(物化), 불의(不義), 통합에 대한 부정의식을 소설화하였다. 먼저 장용학은 인간이 만든 각종 규정들이 오히려 인간을 사물화해버린 실태를 문제 삼는다. 이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념 갈등은 한국전쟁의 원인이었고 전후(戰後) 정권의 전횡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이용되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김성한의 소설은 법과 공권력이 권력자에 의해 사유화된 실태에 부정의식을 표출한다. 권력층의 기만적이고 위선적인 행태를 묘사하여 부정부패와 무능을 드러낸다. 손창섭의 소설은 가족과 민족을 국가로 일원화하여 전체주의 노선을 강화하려는 정권의 통합 의도를 부정한다. 이는 집단의 목표를 위해 구성원의 개별성을 말살하고 희생을 의무화하는 실태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부정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의 소설은 각각의 방식으로 그 극복을 추구한다. 먼저 장용학은 이념이나 제도와 같은 규정에 갇혀 인간성을 잃어버린 상태를 부자유로 보고 다시 자유를 회복하고자 한다. 자유를 회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이성(理性)의 강화이다. 이성을 강화할 때 인간은 스스로의 힘으로 규정의 폐해를 성찰하고 극복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자유를 회복하는 인간이 바로 ‘비인(非人)’이다. 한편 사유 주체가 사물의 상태에서 벗어나 자유를 회복하는 공간은 ‘동굴’과 ‘산’이라는 생성의 공간이다. 그리고 병리적 세계를 의심하는 언어는 불투명한 반합적(反合的) 언어로 형상화된다. 그것은 명징한 명령어와 매끄러운 서사를 의도적으로 비껴나가 불친절한 파편화와 변주를 통해 재생의 미학을 구현한다. 김성한의 소설에서 권력층의 불의를 꿰뚫어보고 전복하는 것은 피지배자의 유희적 태도이다. 권력자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를 영웅적 존재로 포장하고 대중을 기만한다. 그때 그 기만을 간파하는 피지배자는 권력자가 어설픈 어릿광대에 불과함을 알아차리고 더 이상 그를 두려운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위계질서가 허상에 불과하다는 깨달음은 피지배자를 수동적 피해자에서 적극적인 주체로 바꾸어놓는다. 나아가 피지배자는 ‘모르는 척하기’를 통해 위계관계 자체를 뒤집는다. 권력자의 힘을 모르는 것처럼, 마치 그것이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이 놀이 주체는 권력의 실정적 영향력을 중지시키는 위협으로 존재하며 결국 권력자로 하여금 순종을 애원하도록 만든다. 이로써 피지배자들은 권력자의 불의한 법을 폐기하고 새로운 법을 발명하는데 그것은 ‘무대’와 ‘법정’이라는 극적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중의적 언어는 기존의 의미 체계를 넘나드는 언어의 유희이다. 은유와 운율을 활용하는 서술, 그리고 연작을 이루는 서사가 의미의 예상치 못한 전이와 확장을 일으켜 전도(顚倒)의 미학을 완성한다. 세 번째로 손창섭의 소설은 집단으로의 통합을 거부하는 인물을 통해 개별성을 보존하고 공존을 추구한다. 이때 공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공감은 연민과 같은 감정이입과 구별되는 것으로, 각 존재들이 서로 근본적으로 다른 개별성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 개별적 존재들이 서로의 삶 속에서 일치하는 지점을 발견할 때 공감이 일어나고, 공감은 말살적 통합으로부터 서로를 지켜주는 상생(相生)의 공동체를 만든다. 공감 주체들은 각기 다른 욕망을 유지하면서도 연대를 이루는데 그것은 ‘길’과 ‘방’이라는 소통의 공간에서 일어난다. 한편 공존을 형상화하는 언어는 개별성을 환기시키는 이질적 언어이다. 지배 담론의 맥락을 끊고 독자적인 담론을 형성하는 인물들의 발화와 초점의 분산을 통한 대위법적 서사가 다성(多聲)의 미학을 이루어낸다.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지금까지 좌절과 허무, 자폐의 소설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1950년대의 상황을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그와 연계하여 소설의 대응 양상을 살펴볼 때 신세대작가 소설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아야 할 필요가 시급하다.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당대 반공주의 정권에 대한 시민적 부정의식과 우경화된 문단(文壇)에 대한 세대적 부정의식의 표출이었기에 1950년대 한국 사회 그리고 문단에 가해진 해방적 전회(轉回)로서 역사적·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신세대작가의 소설이 갖는 의의는 1960년 4월 혁명과의 연관성 속에서 더욱 깊어진다. 1950년대는 혁명의 제반 조건들이 대두되고 성숙되어가는 시기였다. 그 가운데 소설은 당대의 대항 담론을 체화하여 독자, 즉 당시 매체의 발전과 함께 최초로 형성된 바 있는 대중(大衆)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정치적 의식 향상에 기여했다. 다시 말해 대중이 정치적 주체인 다중(多衆)으로 전화(轉化)하는 데에 필요한 정치의식의 함양에 신세대작가의 소설이 적절한 장소를 제공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1950년대 신세대작가들이 구현한 자유, 유희, 공존의 정치성은 혁명을 준비하는 장소였으며 동시에 혁명을 앞서 구현하는 ‘다중의 예술’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This research paper presents new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stemming from an analysis of writers belonging to the New Generation in 1950's Korea. Writers of this school used themes reflecting a common will for practical reform, and analysis of such themes can shed light on writers' political sympathies. Such an approach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novels written in 1950's Korea were created in an idealistic and dynamic age that represented a departure from the spirit of recent deprivation. More importantly, with the collapse of feudal caste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the spirit of equality in Korean society spread while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commoners reached unprecedented levels. This political awakening gave rise to civic consciousness and a willingness to confront societal problems head-on. The novels of the New Generation writers expressed this consciousness. The works of Chang Yong-hak, Kim Seong-han, and Son Chang-seop combine the themes of objectification and immorality in novels portraying negative social aspects. Chang Yong-hak's works point out that man-made regulations tend to objectify people. His prime example is ideology, as conflicting ideologies were the root cause behind the Korean War and were used by dictatorial leaders in both the South and North to justify their postwar regimes. Kim Seong-han's works portray the privatization of the law and public authority while revealing the deceit, hypocrisy, corruption and incompetence of the Korean ruling class. Son Chang-seop's novels seek to refute the totalitarian ideology that the family and the people are part and parcel with the state. His works are a negation of the idea of mandated individual sacrifice in the pursuit of collective aims. Each of these novelsseeks to overcome societal issues in their own way based on a spirit that rejects the status quo. Chang Yong-hak portrays man without liberty, entrapped by rules, and espouses a return to freedom. He believ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ower of reason before freedom can be restored. When reason reigns, people will be able to reflect on the harm caused by regulations and overcome these obstacles. In this process, humans who regain their freedom become somehow 'not human'. Creative spaces where the subject of thought can escape from a state of objectification are given the names of 'cave' and 'mountain'. Chang uses opaque and contradictory language to convey his wariness of a pathological world. Chang intentionally avoids clear exposition and smooth narrative in favor of fragmented and varied sentences that make for challenging reading that realize a regenerative aesthetic. Kim Seong-han’s works subvert and cut to the essence of the injustices committed by the ruling class through playful portrayals of the oppressed. Although the ruling elites seek to portray themselves as heroes, their deception is ultimately revealed. Through this process, the oppressed realize that the elite are nothing more than third-rate clowns, unworthy of dread. By revealing the illusory nature of Korea's social hierarchy, Kim's works transform the oppressed from passive victims into those who can shape their own destinies. In addition, by ‘ignoring’ the social hierarchy, the oppressed undermine the status quo. By acting as if the power of the elite doesn't exist, its actual influence ends. This poses such a threat to the ruling class that they beg the oppressed to obey them. Finally, the oppressed denounce the unjust laws of the powerful and declare new laws in the dramatic spaces of the 'stage' and 'courtroom'. Kim’s use of ambiguous language weaves between boundaries of status quo semantics as a form of linguistic play. His prose takes advantage of metaphor and narrative rhythm to create an aesthetic of subversion characterized by unexpected transitions in meaning. The third writer, Son Chang-seop, rejects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s into the group in his works and champions the preservation of individuality and coexistence with others. Sympathy plays a crucial role in Son's works. Sympathy is similar to, yet distinct from compassion, yet conveying these emotions requires that each individual recognize the individuality of others. When individuals discover points of similarity or consistency in the lives of others, they feel sympathy with other individuals that is mutually protective against group integration that obliterates individuality. People who feel sympathy for one another can possess different desires while maintaining bonds of solidarity in ‘roads’ and ‘rooms’ serving as venues for communication. Son's heterogeneous language portrays coexistence while evoking individuality. In his works, character dialogue has an independent streak, breaking away from the cliches espoused by the ruling class while managing to be both focused and diffuse through use of literary counterpoint that creates a polyphonic aesthetic. Even today, there is a tendency to interpret New Generation novels from the 1950's through a lens of frustration, futility, and self-destruction. There is a pressing need, however, to analyze these work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ifties in order to correct some misconceptions about the period’s writers. The new generation novelists in 1950's South Korea expressed their civic consciousness in protest against the anti-communist government and reactionary trends in literary circles. This movement has both historical and literary significance because it represents an attempt to liberate 1950's South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by attempting to reverse reactionary trends. The contribution of New Generation novelists is even more significant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ir work influenced many citizens who took part in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which toppled the corrupt Syngman Rhee government. The 1950's were a period in which all the conditions for revolution began to ripen. The novels of this era embodied a dialogue of resistance and developed along with other mediums of communication to create public consensus and raise mainstream political awareness for the first time. The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into politically-aware multitudes was fostered by these novels which provided an appropriate medium for political expression. In summary, politicized themes of freedom, play, and coexistence in the works of new generation writers in 1950's Korea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helped pave the way for revolution while also representing 'art of the multitu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18 Ⅱ. 1950년대 한국 사회와 신세대(新世代)의 정치의식 30 A. 반공주의 파시즘과 시민적 부정의식 30 B. 문단(文壇)의 국가기구화와 세대적 부정의식 41 Ⅲ. 물화(物化) 부정과 자유의 정치성 : 장용학 56 A. 이성(理性)의 구상력(構像力)과 사유 주체 56 1. 성찰적 이성의 강화와 이념의 탈신격화 56 2. 자기대결의 변증법과 ‘비인(非人)’의 세속지향성 66 B. 인간성 실현의 충동과 생성 공간 76 1. 생명력의 선(線)적 운동과 ‘동굴’ 76 2. 지도 그리기의 확산 운동과 ‘산’ 85 C. 반합적(反合的) 언어의 이미지즘과 재생의 미학 93 1. 명령어의 분해와 감각적 서술 93 2. 병렬 구조의 변주(變奏)와 모자이크식 대안-서사 103 Ⅳ. 불의(不義) 부정과 유희의 정치성 : 김성한 113 A. 가장(假裝)의 제의(祭儀)와 놀이 주체 113 1. 허위의 포착과 주권의 회복 113 2. 계약 관계의 형성과 위계의 창조적 변환 122 B. 법의 발명과 극(劇)적 공간 135 1. 패권의 상실과 관객 주도의 ‘무대’ 135 2. 정의(正義)의 정립 투쟁과 ‘법정’ 143 C. 중의적 언어의 개방성과 전도(顚倒)의 미학 153 1. 위치의 전복과 음악적 서술 153 2. 입체적 조감과 연작 구성의 서사 162 Ⅴ. 통합 부정과 공존의 정치성 : 손창섭 173 A. 대항적 개별성의 발현과 공감 주체 173 1. 소외의 극복과 적대적 차이의 인정 173 2. 개별성의 접합과 상생(相生)의 공동체 185 B. 욕망의 혼종적 연대와 소통 공간 198 1. 도시 스펙타클의 재전유와 ‘길’ 198 2. 상호침투의 공론장과 ‘방’ 205 C. 이질적 언어의 소격화(疏隔化)와 다성(多聲)의 미학 215 1. 자기담론의 개발과 직접인용의 서술 215 2. 초점의 분산과 대위법적 서사 224 Ⅵ. 결론 232 참고문헌 242 ABSTRACT 2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641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정치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into the Political Leanings of New Generation authors in 1950s South Korea-
dc.creator.othernameJeong, Bo Ram-
dc.format.pageiv, 258 p.-
dc.contributor.examiner정우숙-
dc.contributor.examiner정호웅-
dc.contributor.examiner김경수-
dc.contributor.examiner연남경-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