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94 Download: 0

1,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Title
1,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rerations
Authors
최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준비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준비 실태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은퇴준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하여 은퇴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으로 모두 기혼자로 선정되었으며, 1955년에서 1963년에 출생한 1차 베이비붐 세대와 1968년에서 1974년까지 출생한 2차 베이비붐 세대 433명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의 적합성을 판단한 후 코딩하여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Cronbach의 알파값 사용), K-Mean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교차분석과 카이제곱(Chi-Square)검증, 일원배치분석(One-Way ANOVA)와 사후검정 Duncan Test방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준비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 V 21.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은퇴준비 실태 결과, 희망하는 은퇴 시기는 60대 후반이 가장 많았고, 은퇴 후 중요한 것은 건강이 가장 많았으며, 은퇴준비 시작 시기는 아직 준비 시작을 하지 못했다는 비율이 가장 많은 192명으로 나타났는데, 준비를 못한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어서였다. 은퇴준비 항목으로 경제적 준비가 가장 높은 응답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기대하는 주요 수입원으로 공적 연금이 가장 높았으며, 은퇴 후 일을 하기를 원하는 이유로 건강, 사회에 이바지, 자아실현 및 시간활용을 위해서가 대부분의 이유였다. 그리고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차이가 나타난 것은 희망하는 은퇴 시기, 은퇴준비 시작시기, 은퇴 후 기대하는 주 수입원의 항목이었다. 둘째,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실행추구, 유행추구, 지위추구, 자극추구, 새로움추구, 원칙추구의 6요인이 추출되어 이를 바탕으로 노력형, 실현형, 호기심형의 총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들 군집별 사회․인구학적 특성분석에서 거주지역, 직업, 학력, 월평균소득, 보유자산에서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 유형 집단 분류상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 간의 세대별 차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집단의 비율이 비슷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이하 분석에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만 은퇴준비 실태 분석 및 성공적인 노화인식, 은퇴기대, 은퇴준비 분석을 진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집단별 은퇴준비 실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 유형 집단별 성공적인 노화 인식, 은퇴준비, 은퇴기대의 요인별 차이는 매우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실현형은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용이성, 원만한 사회관계성 요인 모두 가장 높은 요인평균값을 보였다. 은퇴준비는 실현형이 신체적 준비, 관계적 준비, 경제적 준비, 시간활용 준비 요인 점수가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기대에서는 새로운 기회 요인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실현형이 노력형과 호기심형보다 요인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기대를 매개로 하여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 모두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소외 및 상실) 간의 경로계수,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새로운 기회) 간의 경로계수, 은퇴기대(소외 및 상실)와 은퇴준비 간의 경로계수, 은퇴기대(새로운 기회)와 은퇴준비 간의 경로계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개별 집단별 차이는 다음과 같다.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소외 및 상실로 하는 정도가 낮았다. 또한 성공적 노화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은 은퇴 후 삶을 인생에서 또 다른 새로운 일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성공적인 노화인식이 은퇴준비 행동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의 관계에서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기대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성공적인 노화와 소외와 상실의 은퇴기대, 성공적인 노화와 새로운 기회의 은퇴기대, 은퇴준비 모두 1차 베이비붐 세대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런데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2차 베이비붐 세대는 반대로 은퇴기대를 소외와 상실로 여길수록 은퇴준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기대를 새로운 기회로 여기는 정도가 높은 경우에도 은퇴준비를 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났다. 결론적으로 1, 2차 베이비붐 세대 모두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는 은퇴준비행동을 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세대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국가의 정책 수립과 교육 프로그램 수립 시 각 세대의 특성에 관한 좀 더 심도 있고 다면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은퇴준비의 중요성과 이에 관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현재 많은 연구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준비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의 은퇴 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경제적 준비 뿐 아니라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을 모두 포함한 건강의 체계적인 관리와 사회적 관계를 위한 준비, 여가 시간 활용 준비도 필요하다. 일부 퇴직자에게 시행되고 있는 은퇴준비 프로그램이 더욱 심도 있게 개발되고 교육대상이 확대되어야할 것이다. 은퇴에 직면해서 이루어지는 은퇴적응 프로그램 뿐 아니라 생애주기 프로그램에 은퇴 후 삶에 관해 많은 부분을 할애하기를 희망해본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은퇴기대,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이들에 관한 다차원적인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되길 바라는 바이다. 넷째, 세대 간 특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 수립 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세대가 성장해 온 배경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코호트집단의 고유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사회내의 세대 간 갈등의 최소화 및 해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s in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d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status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ir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in accordance with their life styl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s affects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ir retirement expectations as a parameter. The sample of the study was 433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the first generation was born in between 1955 and 1963 and the second in between 1968 and 1974. All of the subjects were working, married and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a survey determines the adequacy of the data coding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using the alpha value of the Cronbach), K-Means Clustering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tabs, and chi-square verification, One-Way ANOVA and post-test was conducted Duncan Test method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s was verified using AMO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status, the most desired retirement period was the late sixties. Health was answered as the crucial factor of the retirement. 192 people responded that they had not started to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the major reason was due to th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mong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s items, financial preparation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The major financial resource after retirement that the subjects anticipated was the pubic insurance. The reasons the respondents wanted to continue working were health, contribution to society, self-realization, and time management. The discrepancies in the respond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 were observed in retirement age, retirement starting time, the main source of income after retirement Second,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classify the life style of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 Six factors - execution pursuit , pursuit of fashion , status seeking, stimulus seeking, novelty seekin - are extracted. On the basis of the six factors, three groups of Strivers, Innovators , Curiosities were defined. In the analysi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ignificant discrepancies were observed among the residence area, occupation, academic achievement, average monthly income, and asset.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styles among group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by boom generations. Similar ratios of the lifestyle groups were observed in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 Therefore,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retirement expectations,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lifestyle. No significant discrepancies were found in the retirement readiness status in accordance with the groups according to life styl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screpancies in each factor of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retirement expect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groups of life style. Innovators rated high in self-efficacy, ease of daily living, and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s. In terms of retirement readiness, Innovators showed highest averages in physical preparation, relationship preparation, economic preparation and time management preparation. Regarding retirement expectations, only new opportunity factor was significant: Innovators rated higher than strivers and Curiosities. Third, to examine how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ffects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retirement expectations as a parameter, was used.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were also examined.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s,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s- alienation and loss-; between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s-new opportunities;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s and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s -new opportunities-and retirement readiness.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are as follows. In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 the higher rated the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the lower rated alienation and loss in retirement expectations, which indicates that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aging process helps them recognize retirement as a new opportunity to begin another job. However, the first baby-boom generation's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did not result in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 In terms of retirement expectations and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 the more the first baby-boomers recognized retirement expectations as alienation and loss, the less they were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the more they viewed it as a new opportunity, the more they were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The second baby-boomers showed the same results as the first baby-boomers in; the successful aging and alienation and loss in retirement expectations; the successful aging and new opportunities in retirement expectations;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However, the opposite result was examined: when the first baby boomers recognized retirement expectations as alienation and loss, they tended to have a lower preparation for retirement. Whereas, the second baby-boomers were more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when they viewed retirement expectations as alienation and loss. And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second baby boomers who generally regard retirement as new opportunities are still more likely to respond better in preparing for retirement. In conclusion, positive anticipation of post-retirement life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baby boomers is linked to an important factor for their response to the retirement readiness plan. Based on these findings, here are the key focuses of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irst, continued research on the clear definition and generation of the baby boomers are required. If National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can be established, the various study of more depth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can be done and it can lead to more effective results. Second,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its related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are being greatly needed. Many research studies have shown that the retirement preparation level of the current baby boom generation is inadequate. Accordingly, systematic preparation in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post-retirement life is need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various aspect of preparation is needed including financial readines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social literacy, and ability to enjoy free time. Some retirement readiness program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for very limited retiree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and the number of recipients of thes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I share my hope that these programs can dedicate much more efforts to post-retirement life as part of the normal life span of human being in addition to eminent retirement adjustment program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tirement expectations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However, we have seen there are man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 for retirement. I hope further multidimensional researches on these very subjects continue. Fourth, the study of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mong generations will help greatly in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Research that analyz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hort that is from different background are thought to be helpful in minimizing and resolving conflicts among generations in the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