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Development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for Intensive Care Units in a Korean Tertiary Hospital

Title
Development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for Intensive Care Units in a Korean Tertiary Hospital
Authors
김정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명·약학부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병구
Abstract
Objective: To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pharmacists’ intervention service by determining factors which affect pharmacists’ prescription interventions. Setting: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CUs)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s. Methods: Data including age, gender, clinical departments, length of hospital stay, status of organ dysfunction, intervention status, frequently intervened drugs, and health care providers’ question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in ICUs in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2. Main outcome measure: Primary outcome was factors which affect pharmacists’ prescription interventions. Secondary outcomes included frequencies of the intervention, intervention acceptance rates, intervention issues, and frequently intervened drugs. Results: A total of 1,213 prescription interventions were reviewed for 445 patients (33.1%) of the 1,344 patients. Length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patients in pharmacists’ interventions group (p < 0.001). Pharmacists’ interven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kidney impairment (p < 0.001). The percentage of intervention accepted was 96.8%, and interventions were made as follows (in order): therapeutic drug monitoring, dosage, dosing interval, dosing time, and total parenteral nutrition consultation. The five medications with the most frequently intervened were (in order) vancomycin, famotidine, ranitidine, meropenem, and theophylline. Issues of intervention were various depending on medications. The highest frequency issue of the interventions was the clinical PK service, with 85.2% for vancomycin; Dosage decrement and dosing internal increment accounted for 67.7% and 62.1% in famotidine and ranitidine, respectively. Adverse drug reaction related intervention was 19.0% by ranitidine dosage change due to renal impairment. Conclusion: Pharmacists’ prescription interventions were required most among patients with extended length of stay and with kidney dysfun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escription intervention activities would be encouraged especially with severely ill patients. The results could be utilized in countries which are planning to develop pharmacists’ intervention service.;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의 임상약학이 발달한 나라 들 만큼 병원약사 들의 임상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여전히 조제업무 비중이 높고 약사들의 임상업무와 관련한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 병동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약사의 처방중재 활동이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 한 상급종합병원의 내과계 중환자 병동에 입원한 환자(1,344명)를 대상으로 두 명의 전담약사들이 처방 중재업무를 하면서 그 중재내용을 전향적으로 기록하였다. 자료는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 성별은 물론, 진료과, 재원일수, 장기부전 여부를 조사하였다. 약사들의 중재 업무에 대해서는 중재 형태, 중재 빈도가 높은 약물 그리고 의료진과의 질의 응답 내용을 수집하였다. Primary outcome으로 약사의 중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Secondary outcome으로 중재 빈도, 중재 수용율, 중재 내용, 다빈도 중재약물 등을 분석하였다. 전체 1,344명의 환자 중, 445명(33.1%)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1,213건의 처방 중재가 있었다. 약사의 중재가 필요했던 그룹에서는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길었고(P<0.001), 신부전이 있는 환자 그룹에서 약사의 중재 요구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중재 수용율은 96.8%였고 중재 내용은 약동학자문, 용량 혹은 투여간격, 투여시점 그리고 TPN자문의 순으로 많았다. 중재 빈도가 가장 높았던 5위까지의 약물은 Vancomycin, Famotidine, Ranitidine, Meropenem, Theophylline의 순이었고 중재 내용은 약물별로 유의하게 다른 분포를 보여서 Vancomycin의 경우는 약동학 자문이 대다수로 85.2%였고 Famotidine 및 Ranitidine의 경우는 용량 감량/투여간격 연장이 67.7%, 62.1%였으며 Ranitidine의 경우는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건수가 19.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내과계 중환자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 중, 재원일수가 길었던 환자에서, 신부전이 있었던 환자에게서 약사의 처방 중재 필요도가 높았으며 약사의 중재에 대한 의료진의 수용률은 96.8%, 중재 내용은 약물용량(장기 기능에 따른 용량변화)과 관계된 부분이 제일 많았다. 그러므로 중환자 병동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약물 투여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부터 약사의 처방 중재활동이 보다 폭넓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임상업무들을 통해 국내 병원약사의 임상업무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