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5 Download: 0

초등학생의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초등학생의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Authors
장유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학교 교육과 관련된 많은 사람들은 학습자 동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동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학습 환경 속에서 학생들은 흥미와 의지가 감소되고 자신의 미래나 꿈에 대해 주도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스로 동기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자기결정력이 필요하다. 자기결정 이론에서는 동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외적 보상이나 처벌을 피하기 위한 어떤 행동에 있기보다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 행동한다고 스스로 지각하는 자기결정에 있다고 본다. 자기결정은 주체적으로 개인의 의지를 사용하는 과정이지만 환경을 고려하여 행동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자기결정 이론에서는 학생의 동기를 보다 자기결정적인 상태로 내면화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에서는 이 점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환경을 고려한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위하여 최근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는 생태학 분야의 논의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결정력 신장에 기여하는 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1.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2.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3.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 요구조사는 실험집단이 소속된 서울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를 포함해 2개 초등학교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그리고 학생 요구조사는 실험집단이 소속된 학교 5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행 연구를 위해 5학년 2개 학급 아동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양적 분석은 자기결정력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실험집단 학생의 활동일지와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에서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자기결정 및 생태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목표, 내용요소, 교수전략으로 구체화되었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표는 자기결정력의 하위영역(자기 이해 능력, 환경 이해 능력, 목표 설정 및 실행 능력, 자기 점검 능력)이 상호작용하여 자기결정력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내용요소로 자기 이해, 환경 이해, 목표 설정 및 실행, 자기 점검을 포함하였다. 셋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학급환경 조성을 통해 자기결정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교수전략을 설계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ADDIE 교수체계설계의 기본과정에 따라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첫째, 분석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분석하였고,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영역별 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계 과정에서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를 진술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교수전략을 설계하였다. 셋째, 개발 과정에서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분석 과정 및 설계 과정에서 얻은 결과들을 반영하여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24차시 활동을 계획하였다. 넷째, 실행 과정에서는 차시별 활동 계획을 토대로 활동 프로그램 과정안을 작성하고,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다섯째, 평가 과정에서는 자기결정력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일지와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효과는 자기결정력 검사와 학생의 활동일지 및 면담 내용을 통해 검증되었다. 검증 결과, 첫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은 학생의 자기 이해 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자기 이해 능력 신장의 양상은, 학생들은 몰랐던 자신에 대해 발견하기도 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에 대해 알게 되면서 자신감이 생기고 자신의 모습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은 학생의 환경 이해 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환경 이해 능력 신장의 양상은, 학생들은 환경을 넓게 보게 되었으며, 나와 다른 생각들을 받아들이게 되고, 상대방의 이야기 듣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은 학생의 목표 설정 및 실행 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목표 설정 및 실행 능력 신장의 양상은 목표 설정의 중요성에 대한 깨달았고,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하게 되었으며, 목표 실행에 자신감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은 학생의 자기 점검 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자기 점검 능력 신장의 양상은 결과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는 능력이 생겼고, 더 나은 결과를 위해 행동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잘할 수 있다는 자기 기대를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기타 효과로, 자율성 증진 교수전략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견을 내고, 자신감을 갖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고, 유능성 증진 전략은 더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유롭게 자기결정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 증진 전략은 수업에 더 열심히 참여하게 되는 동기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효과로,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의 생각과 결정에 대한 자기 신뢰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들과 친하게 되었고, 학급 전체가 토론하고 화합하는 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이 신장되었다. 이는 교육을 통해서 자기결정력이 신장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신장을 위해서는 환경을 고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의 내용요소에 환경 이해를 포함하였고, 환경 이해는 성숙한 자기결정과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자기결정 실행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신장을 위해서는 환경 조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에 학생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학급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포함하였고, 교수전략은 학생의 내재적 동기 유발 및 외재적 동기의 내면화에 영향을 주어 자기결정력 신장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은 학급 문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신장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교수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급환경을 조성하였고, 학생들은 자기결정적으로 표현하고 의견을 공유하면서, 토론하고 화합하는 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위한 학급 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대를 확장할 필요가 있고, 비교집단을 설계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수전략에 대한 분석을 면담과 더불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고, 학생의 내재적 동기 및 자기결정력 신장을 도울 수 있도록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Many people relevant to school education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arner motivation and performing various researches. However, under current Korean learning environment, there happen the cases that students have decreasing interest and motivation and lose autonomy of their own future and dream. Consequently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is necessary to lead their own life independently and actively with motivation for themselves. According to self-determination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cause of a motivation lie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elf-awareness to act by their own will power rather than on any action to gain extrinsic reinforcement or to avoid penalty. The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selecting actions though the self-determination is a process to use the personal will power.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sserts that environment be important for students’ motivation to be internalized in a self-determined condition. However, this improvement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ability did not directly cover this point. In order to make the environment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ability, recently it is necessary to refer to a discussion in ecological field focusing on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his study was ultimately aimed to contribute to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by developing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analyzing its effect.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2. What is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3. What is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A demand survey was performed to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The teacher demand survey was conducted to 75 teachers from 2 elementary schools of experiment group in Seoul and the student demand survey was conducted to 82 learners of the 5th year of experiment group. As for execution research, 2 classes of the 5th year were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qualitative u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combin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self-determination ability test tools were produced and appli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analyzing work journals of the controlled group to complement the limi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from above performance are as follow.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1, the components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ere explored and the purpose, content element, and teaching strategy were embodied by reference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and ecology. First, the goal of the program was set as the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subdivisions(self-understanding ability, environment understanding ability, goal setting and practice ability, and self-monitoring ability). Second, self-understanding, environment understanding, goal setting and practice, and self-monitoring were included as content elements. Third, the teaching strategy was designed for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by creating class environment to satisf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demand.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2,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basic course of ADDI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by the proces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irst, Analyses were processed on lea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demand survey result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subjects assortively to program content elements. Second, in the process of Design, specific objectives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ere mentioned, test tools were produc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teaching strategy was designed. Thir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 mode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Design process. 24 periods of activity were planned depending on the model. Fourth, in the process of Implement, activity program lesson plans were prepared depending on activity plan of each period.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 group. Fifth,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results of Implement process, students’work journals, and the content of interview were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3,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verified by self-determination ability test, students’work journals, and the content of interview. First,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verified effective for students’self-understanding ability. The aspects of students’self-understanding ability improvement were that students discovered themselves they even didn't know and came to realize what they wanted. It was revealed that after they knew about themselves, they felt more confident and content about their own selve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effective for students’environment understanding ability. The aspects of students’environment understanding ability improvement were that students came to have wider view of environment, accept different ideas from theirs, and listen to other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students properly expressed what they wanted.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goal setting and practice ability. The aspects of goal setting and practice ability improvement were that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goal setting and came to manage time efficiently and feel confident about goal practice.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self-monitoring ability. The aspects of students’self-monitoring ability were that they came to have an ability to figure out the cause from the result, act for the better result, and have self-expectation to do better. As the other effects of the improvement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ability,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ing strategy of autonomy improvement was helpful for the ability to propose their ideas and the confidence and the competence improvement strategy was helpful for the confidence and the displaying ability of self-determination.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trategy was revealed effective for motivation to be involved in class. As another effect, the program enabled student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came to have self-trust on their own thought and determinatio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their friends and built cooperative atmosphere of class discus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was enhanced by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which significantly means that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can be enhanced by education. Second, for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improvement, environ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research included environment understanding as a content element of 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It wa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 understanding supported mature self-determination and practice ability of harmonious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rd, for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improve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his research included the teaching strategy of creating class environment. It was verified tha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facilitation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self-determination ability improvement by influencing intrinsic motivation improvement and extrinsic motivation internalization.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self-determination ability affected class atmosphere. The teacher proceeded the program to improv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created class environment by teaching strategy. It was shown that students expresses themselves self-determinedly and shared ideas, and the whole class formed a cooperative atmosphere for discussion. This kind of result had a significance to teachers who wanted to create a class atmosphere of students’educational growth. Based on the research conclusion,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 There is a necessity to expand age group of research objects and add comparative group to research design. The teaching strategy needs to be complemented by objectively testing tools as well as interview. To promote total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a qualitative research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cess of students’ change in depth. To improv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t is considered that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teachers and par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