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박재진-
dc.creator박재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것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의 양상은 어떠한가? 1-1. 부모공동양육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생각은 서로 관계가 있는가? 2. 부모공동양육과 자녀의 자아탄력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1. 유아 자아탄력성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부모 각각의 부모공동양육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서로 관계가 있는가? 2-3.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생각의 차이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서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1곳과 공립유치원 1곳의 5학급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 119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을 측정하기 위해 Van Egeren과 Hawkins(2004)가 공동 개발한 coparening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유아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가이던스에서 김지혜, 조선미, 홍창희, 황순택(2005)이 공동 개발한 한국 아동 인성 평정척도(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C)의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의 점수범위를 산출하였고, 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은 모두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일치와 지지 각각은 아버지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일치, 지지 각각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아버지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비난과 공유 각각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비난과 공유 각각은 아버지의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일치, 지지 각각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비난, 공유 각각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점수가 높은 편이었으며, 남아와 여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없었다. 부모공동양육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경우는, 부모공동양육 하위요인 중 지지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나머지 하위요인인 일치, 비난, 공유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경우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어머니의 부모공동양육의 하위요인 중 일치와 지지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비난과 공유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공동양육의 부모 간 생각의 차이와 자녀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생각의 차이와 자녀의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tendency of father's and mother's coparenting and child's ego-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oparenting and ego-resilience of their child.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oparenting aspect? 1-1. How is the father's and mother's general tendency of coparenting? 1-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father's coparenting and mother's coparenting?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parenting and ego-resilience of their child? 2-1. How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s ego-resilience? 2-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coparenting and ego-resilience of their child? 2-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n coparenting and child's ego-resilience? This research was applied to 3, 4, 5 year 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which ar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For measuring a coparenting of parents, coparenting measure which was developed by Van Egeren and Hawkins(2004) was adapted and then used by researcher. And for measuring an ego-resilience of children, KPRC(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which was developed by Kim, Cho, Hong and Hwang(2005) was used by researcher.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maximum value, minimum value,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and mother's coparenting support is the highest average score among 4 coparent subscales. While mother's coparenting solidarity and father's coparenting solidarit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mother's coparenting solidarity and fa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shared parenting were negatively related. While mother's coparenting support and father's coparenting solidarit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mother's coparenting support and fa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shared parenting were negatively related. While mo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and father's coparenting solidarity,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mo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and fa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shared parenting were positively related. While mother's shared parenting and father's coparenting solidarity,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mother's shared parenting and fa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shared parenting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 average score of child's ego-resilience was high and there was no distinction of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der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coparenting and child's ego-resilience,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coparenting support and child's ego-resilience. Mother's coparenting solidarity, support, and child's ego-resil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but mother's undermining coparenting, shared parenting and child's ego-resilience were negatively relate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of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n coparenting and child's ego-resil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 6 1. 부모공동양육의 개념 6 2. 부모공동양육의 하위요인 10 B. 자아탄력성 12 1. 유아 자아탄력성의 개념 12 2.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도구 20 C. 연구절차 23 D.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26 A. 부모공동양육 26 1. 부모공동양육의 영역별 분포 26 2. 부모 간 공동양육의 관계 28 B.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29 1. 유아의 자아탄력성 분포 29 2.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자아탄력성의 관계 30 3. 부모공동양육 차이에 따른 유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31 Ⅴ. 논의 및 결론 33 A. 논의 33 1. 부모공동양육 33 2.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자아탄력성 35 B.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3 부록 50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64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공동양육(coparenting)과 유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coparenting and ego-resilience of their child.-
dc.creator.othernamePark, Jae Jin-
dc.format.pagev, 60 p.-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