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김언경-
dc.creator김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서 동시성의 경향을 분석하고,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와의 사회적 갈등 상황에서의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교사와 유아 쌍의 맥락이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규명해보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은 어떠한가? 1-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은 어떠한가? 1-3.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은 어떠한가? 2.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만 4세 유아 40명과 교사 20명이다.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은 일대일 놀이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동시성의 구성요소인 상호 호혜성, 정서 공유, 상호간 시도와 순응의 균형과 동시성이 나타난 상호작용의 길이에 대해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Harrist et a., 1994; Lindseyet al., 2009; Mize & Pettit, 1997).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중 인지 조망수용능력(신현옥, 1996; Hudson et al., 1982)과 정서 조망수용능력(안라리, 2005; Farrant et al., 2012), 대인문제해결능력(Yajna, 2011)은 그림을 활용한 이야기 과제를 가지고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변인들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대응표본 t 검증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에서 완전한 균형을 이루며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약간의 상호 호혜성을 보였으며 긍정적, 중립 정서를 주로 공유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도에서는 서로에게 상호작용을 시도한 빈도가 달라 균형을 이루지 못했지만 순응에서는 높은 비율로 균형을 이루는 동시성의 특성을 보였다. 동시성이 나타난 상호작용의 길이에서 유아보다 교사가 시도했을 때 상호작용을 더 길게 한 편인데 대부분은 한 사람이 시도하며 그 시도에 순응만 하고 끝이 났으며, 2회 이상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적은 편이었다. 유아의 성에 따라 여아가 교사와 긍정적 정서 공유와 교사가 시도한 1단위 상호작용에 순응을 더 많이 하였으며 남아는 교사와 중립 정서를 더 많이 공유하는 동시성의 경향을 보였다. 3~5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서 다른 경력의 교사들보다 높은 상호 호혜적인 동시성이 나타났다.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중에서 인지 조망수용능력보다 정서 조망수용능력이 약간 더 높은 편이었으며 인지 조망수용능력 중 타인 의도보다 타인 사고 조망수용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사회적 갈등 상황에 대해 유아는 대체로 부정적으로 인식하지만 명확한 정서로 표현하지 못하였으며 이런 상황에서 긍정적 부정적 전략 선택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은 일부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정서를 공유하지 못할수록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능력은 낮은 편이며 상호 호혜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정서 조망수용능력은 높은 편이었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에서 중립 정서를 공유할수록 또래와의 사회적 갈등 상황에서 유아는 부정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긍정적인 방법을 적게 사용할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를 공유하지 못하며 서로 다른 정서를 보일수록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에서 정서 공유와 상호 호혜적인 동시성은 유아의 사회인지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동시적이고 조화로운 질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호작용에서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태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필요한 유아의 사회인지 능력과의 관련성을 통해 유아의 관계 경험과 발달을 위해 쌍의 상호작용 맥락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actional synchrony between teacher and child, and to look into the tendency of synchrony in accordance with child's gender and teacher's work experience.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of teacher-child interactional synchrony with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in social conflict situations with peers, this research aim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child dyad context and child's social-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al synchrony between teacher and child,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1-1.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al synchrony between teacher and child? 1-2.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1-3.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al synchrony with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40 four-year-old children and 20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look into the interactional synchrony, one-to-one pl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was observed in three kinds of situations, teaching a board game, building blocks and free-play. The data was analyzed into reciprocity, sharing of emotion, balance of mutual initiation and compliance, which are the components of synchrony, to examine the style of teacher- child interactional synchrony in dyad. Vignettes with pictures were used to question children in examining their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interview, child's cognitive level and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level, and the child's perception about emotional response and positive, nega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in a social conflict situa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pects of synchronous interaction assume that teachers and children mutually interact and show interrelationship, but this was not in perfect balance, and the participation was not equal. While interacting, teacher and child mostly shared positive, neutral emotion. The interaction initiating frequency differed so initiation lost balance, but compliance was well balanced. Interaction lasted longer when teacher initiated it than when the child did. But most of the interaction ended after one person initiating and the other complying to it, and interaction with two ore more complies with turnovers were a little. The sharing of positive, neutral emotion in synchrony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teachers with 3~5 years of work experience did the most synchronous interaction by interacting mutually and showing high quality interrelationship than other teachers with less or more work experience. Child’s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level was higher than cognitive. In child’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child's perception about emotional response was not clearly but was perceived as undefined negative situations, and child perceived using similarly positive and nega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in a social conflict situation. Second, the reciprocity and sharing of emotion in synchrony were correlated to the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reciprocty was correlated to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unshared emotion was correlated to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hared neutral emotion was correlated to respond by positive and nega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unshared emotion was correlated to no strategy for problem-solving. This study present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al synchron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will help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dyad interaction that can improve the social cognitive ability essential to the child's social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9 Ⅱ. 이론적 배경 10 A.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 10 B. 조망수용능력 20 C. 대인문제해결능력 25 D.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27 Ⅲ. 연구 방법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 도구 34 C. 연구 절차 48 D. 자료 분석 54 E. 윤리적 고려 55 Ⅳ. 연구결과 56 A.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의 경향 56 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 56 2.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62 3.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64 B.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66 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66 2.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67 Ⅴ. 논의 및 결론 68 A. 논의 68 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의 경향 68 2.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79 B.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7 부록1. 보드게임 가르치기의 시나리오와 보드게임 교구 99 부록2. 블록구성물 완성하기의 구성물 사진 101 부록3. 조망수용능력 검사 도구 102 부록4. 대인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 105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7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Child Interactional Synchrony and it's Relationship with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Eon kyung-
dc.format.pagevi, 107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contributor.examiner박정선-
dc.contributor.examiner김혜경-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