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최혜윤-
dc.creator최혜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교사의 신체활동운영과 관련된 내용지식, 교수방법, 유아에 대한 지식측면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며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을 향상시키고 연구자의 교육현장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한 교사,유아, 연구자의 변화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4세 학급에서 실시되었으며, 유아 22명을 대상으로 학급의 담임교사와 연구자가 협력하여 실행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 26일부터 8월 30일까지로 실행을 위해 면담(공식적인 면담 9회, 비공식적인 면담 수시), 저널작성(연구자 60회, 교사 24회), 참여관찰 48회, 객관화된 검사(신체활동 교수효능감, 신체활동 즐거움, 신체자아개념, 지각운동능력, 기초체력)와 문서자료 및 제작물(교육계획안, 사진)을 이용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별로 다르게 진행되었다. 질적 자료의 경우 자료통합, 자료 분석, 자료범주화, 범주분석 및 의미해석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객관화된 검사를 통해 얻게 된 양적 자료는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권리와 안전등을 보호하기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 승인(연구과제번호 72-10)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총 2주기의 실행주기를 거쳤다. 1주기에서 연구 집단을 형성하고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을 통해 인식하게 된 문제는 신체활동 실시와 관련한 교육목표가 분명하지 않고, 교육내용에 해당하는 다양한 기본운동기술 선정의 체계성 부족 및 기본운동기술에 따른 움직임의 방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부족, 그리고 충분한 시간제공의 부족에 대한 문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주기에 선정된 기본운동기술은 (높이, 멀리)뛰기, 평균대걷기, 구르기, 던지기, 한발서기이다. 기본운동기술 선정은 문헌연구를 통해 유아들의 일반적인 기본운동기술 발달단계를 고려하고 학급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전경험 및 유아의 현재수준에 대해 파악한 개별차를 고려하여, 유아들간의 편차가 크지 않은 운동기술을 먼저 선정하여 실시하기로 하였다. 동일한 기본운동기술을 주 3회씩 소집단별로 최소 30분씩 실시하였다. 1주기 동안 신체활동은 신체활동실에서 실시되었으며, 유아주도의 안내발견적 접근을 중심으로 교사의 신체활동이 진행되었다. 기본운동기술을 ‘경험을 통한 즐기기, 탐색을 통한 발견하기, 놀이를 통한 활용하기’의 단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주기 실행의 결과를 통해 교수방법에서의 한계가 발견되었고 이를 반영하여 2주기를 위한 계획이 진행되었다. 2주기는 차기, 앵금질, 굴리기, 받기의 기본운동기술을 시행하였다. 2주기의 선정 역시 유아들의 일반적인 발달 순서와 학급 유아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기본운동기술 종류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1, 2주기의 기본운동기술 종류를 다르게 선정하였다. 2주기에서는 1주기 평가를 바탕으로 기본운동기술의 종류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선정하여 이론과 실제가 연결되도록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따라서 교수방법에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실내와 실외의 공간에서 기본운동기술의 종류에 적합하게 신체활동이 실시되었으며 교사주도의 직접적 교수방법과 유아의 주도의 안내발견적 교수방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해 교사의 신체활동에 대한 교육내용지식. 교수방법 지식, 유아에 대한 지식이 함양되었으며 교사의 신체활동에 대한 교수효능감도 향상되었다. 연구과정을 통해 교사는 주체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해가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를 러닝메이트로 여기며 변화를 위한 실행을 유지해갔다. 유아는 신체활동 역량의 구성요소인 신체활동 능력, 신체활동 지식,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연구자는 연구과정을 통해 점차 관찰자에서 참여자로 변화해가며 학급 유아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 교사와 연구자는 상호호혜성을 추구하며 연구를 진행하였고, 신체활동에 대한 지식과 함께 현장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갔다. 또한 협력적 실행연구 진행을 위해 MacNaughton과 Hughes(2013)가 제안한 모형이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현장화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은 교사가 가진 신체활동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며 신체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육현장을 개선하고, 유아들의 신체활동 역량을 증진시켰으며, 연구자가 현장의 실제 맥락을 깊게 이해하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유아들의 신체활동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실시된 실천과정은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지원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make changes in terms of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to operate physical activity and knowledge on children, to improve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and to promote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er o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the collaborate action research between a teacher and a researcher. Detailed research problems for thi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ocess of the collaborate action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2. What changes teachers, children and a researcher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llaborate action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4-year old children’s class of a kindergarten annexed t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on 22 children together with a homeroom teacher. The period of the research was February 26th, 2014 to August 30th, 2014, and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using counseling (9 times official counseling, frequent unofficial counseling), journal writing (researcher 60 times, teacher 24 times), participant observation 48 times, objective testing (teaching 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pleasure of physical activity, physical-self concept, perceptual abilities, basic physical fitness) and documents and materials (education plan, photographs). Collected data was qualitative data and quantitative data,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 problems. For qualitative data, it has gone through data integration, data analysis, data categorization, categor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For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objective testing,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This research was authorized by Ewha Women’s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Research project no. 72-10) to protect the right and safety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wo sessions. In the first session, problems recogniz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search group and the cooper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research were an unclear education object, lack of systemicity when selecting various fundamental motor performances and lack of precise knowledge on motions according to fundamental motor skills and lastly lack of enough time. To solve those problems, fundamental motor skills selected in the first session were (high, long) jump, walking on a balance beam, rolling, throwing and single leg standing. When selecting fundamental motor skills, motor skills with low deviation among children were selected and conducted regarding the general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for motor skill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dividual difference found by pre-experiences carried out on children of the class. The same fundamental motor skill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at leat 30 minutes by small group. During the first session, physical activity was conducted in the physical activity room,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of the teacher focusing on self-guidance-discovery approach led by children was progressed. Fundamental motor skills were gradually carried out through the stages such as ‘Enjoying through experiences, discovery through exploration and using through play.’ The limit of teaching method was foun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first session, and based on this, the plan for the second session was made. In the second session, fundamental motor skills such as kicking, hopping, rolling and receiving were carried out. When selecting motor skills during the second session, also the general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and the level of children in the class were considered, and different fundamental motor skills from the first session were chosen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Based on the assessment on the first sessio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for each type of fundamental motor skills was selected in the second session to put a theory into practice. Therefore, teaching method has changed. Physical activity appropriate for each type of fundamental motor skills indoors and outdoors was carried out, so direct teaching method led by the teacher and self-guidance-discovery teaching method led by children can be used efficiently. Second, knowledge of a teacher on teaching physical activity, teaching method and children was cultivated, and teaching efficacy of a teacher on physical activity was also improved through the cooperative action research. The teacher wanted to concern and handle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independently through the research, and also the teacher considered the researcher as a learning mate to continue actions for changes. Children ha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elements for physical literacy such as abilities, knowledge and attitude on physical activity, and the researcher has improved understanding on children as changed gradually from an observer to a participant through the research.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research pursuing the reciprocal interaction, so they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n the field as well as knowledge on physical activity. Also, for the collaborate action research, the model suggested by MacNaughton and Hughes(2013) was modified and practiced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Likewise, the collaborate action research of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to improve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solve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bou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mproved the education field in which physical activity is carried out, enhanced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and made the researcher understand the real context of the field deeply. Therefore,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conducted to increase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could be a substantial and practical way of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8 C. 용어의 정리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신체활동 역량 10 1. 신체활동 역량 10 2. 신체활동 14 B. 신체활동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방법 23 1. 교사역할의 중요성 23 2. 신체활동 교수방법 25 C. 협력적 실행연구 31 1. 실행연구 31 2. 협력적 실행연구 35 Ⅲ. 연구 방법 39 A. 연구현장 39 1. 연구 유치원 39 2. 연구교실 40 B. 연구 참여자 41 1. 연구자 41 2. 교사 44 3. 유아 47 C. 연구절차 48 D. 자료수집 및 분석 56 1. 자료수집 56 2. 자료분석 63 3. 윤리적 고려 67 Ⅳ. 연구 결과 68 A.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의 과정 68 1. 1주기 68 2. 2주기 105 B.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119 1. 교사의 변화 119 2. 유아의 변화 133 3. 연구자의 변화 143 4. 교사와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이해 153 Ⅴ. 논의 및 결론 158 A. 논의 158 1.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 158 2.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변화 162 B. 결론 및 제언 171 참고문헌 176 부록 196 ABSTRACT 2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686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Collaborate Action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teracy of Children-
dc.creator.othernameChoi, Hye Yoon-
dc.format.pageviii, 254 p.-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contributor.examiner이진화-
dc.contributor.examiner전홍주-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