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
Authors
이수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The increasing unemployment rate in the youth these days makes students finishing high schools look for alternatives to entering colleges. Due to the benefits of fostering task ability and earning a diploma, vocational training schools, one of th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under the credit-bank system, mushroomed. In 2013, 104 schools were under operation in Korea (Kang Hyun-duk, 2013). However, despite the purpose of educating specialized individual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ents who had found their inborn specialty and chose their majors based on it. On the contrary, many students choose vocational training schools noting that they can enter the schools easily just through interviews regardless of SAT or high school records, and also can get diploma in short term by taking credits with their certificates. Therefore, it often makes students stop their study, not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careers with certainty of their majors. However, we have little solutions to handle the career issues of those students. Some stu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 career training at schools explore and prepare for careers by themselves by relying on additional courses at private schools or personal consulting. On the other hand, faculty members who desperatel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coaching at schools say that they lack of specialized and diverse career programs depending on majors, grades and various students’needs. In order to resolve the career issues for the students in vocational training schools, systematic care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one by designing career program per students’characteristics.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how in this study the way needed to career coaching by understanding the preconditions and interactions for the students to make themselves committed to and prepared actively for the careers. So far, the researches of career path are only focused on the variables of cognition and attitude, but Kim Bong-hwan(1997),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ggested variable that unless careful preparation behaviors do not come together with matured mind-set and attitude, reasonable and efficient career achievement is hardly attain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fers to practical and concrete action for decided career objectives. (Kim Soo-ri, 2004). Theref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 vital variable in the career research for the students in vocational training schools because it makes them carry out practical and specific actions for their targets. In the meantime,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tend not to be sure of their career targets, showing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of not committing to their careers even after they already chose specific majors related with their careers. But, Marcia (1993) insisted we could overcome this kind of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such as anxiety, doubt and fear which we cannot but feel after choosing our careers, by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for us is, the better plan and preparation to achieve the goal and also overcome the hurdles we have(Harren, 1979). Judging from these researches, we can tell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s an important variable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forecas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need to check the factors which can solidify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lustein(1988) said the environmen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exploration behavior on themselves is closely related to personal inner motive. It means autonomous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i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revealed wh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s made actively without any forced influence from surroundings. Personal inner motive can be explained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is based on three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hen those three needs are met, personal inner motive is fortified and an individual is likely to experience sound development of learning and growing, and recognize psychological well-being. (Reeve, 2009; Reeve & Jang, 2006). Blustein(1989) in the study of Self-Determination and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said if Self-Determination is high, they tend to actively explore their characteristics and also react to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career. In a study of relation between cluster patter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career motivation level (Lee Ye-jin & Lee Gi-hak, 2010), a group with the high Self-Determination empirically marks the best scor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we can infer Self-Determination which is revelation of inner motive forecasts positive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ill mediate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under the influence of Self-Determination. This study, based on several case studies intends to analyze empirically whether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ives students confidence and affection on their career, and solidify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oreover, by dividing Self-Determination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hich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to sub-variables of each, i.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and Tendency To Foreclose respectively, analysis of more practical and solid relationship is intended. The questions below are the research topics in this paper. 1. Doe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Autonomy of the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1-1. Does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Autonomy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1-2. Does Tendency To Foreclos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Autonomy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2. Doe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Competence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2-1. Does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Competence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2-2. Does Tendency To Foreclos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Competence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 Doe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Relatedness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1. Does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Relatedness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2. Does Tendency To Foreclose a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Relatedness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d 258 students in A Vocational Training School in Seoul who took a lecture together. Collected data are processed for analysi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rough SPSS Statistics 18 for Windows, and the mediation analysis of Judd & Kenny(1981) was us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 that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does mediating roles for student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s confirmed. In order to intensify students’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here they can explore themselves, going through serious process of exploration to their career. The program should satisfy students’Competence by making them participate freely and providing with relevant feedback to assigned tasks per each studen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ols to strength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helping students have affection and confidence on the careers chosen by themselves under such environment. Secondly, it is shown that Tendency to Foreclos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ndency To Foreclose is a prerequisite factor to make students’anxiety about their majors relieved and give them more confidence.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at students are led to set achievable goals by themselves or made to commit themselves to careers with good strategy by step to get careers. Thirdl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re all proven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aningfully. In particular, Relatedness is the most influential one. In spite of the difference from normal colleges, the relationship with faculty members, graduates and school administration staff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strength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owever, vocational training schools aim mainly getting diploma, so communities like students association or circles are not so active, and there are not much interchange among the students. However,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is paper, as Relatedness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in career coaching and class activities which can promote community organization will be effective to solidify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urthly, follo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Autonomy forecas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 should help students choose their paths voluntarily, satisfying their desire to Autonomy. Moreover, faculty members are forecasted to prepare more self-controlling class environment rather control students’behaviors directly. Fifthly, Competence is a variable as forecas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in general have low Competence due to experience of failures or low public awareness toward the schools. Thus, lecturers should consid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ndu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can maximize students’competence in clas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the nex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survey of 258 students at A Vocational Training School in Seoul, which comprise 186(72%) males and 72(27.9%) females. In addition, 133(51.5%) students are studying Aeronautical Maintenance as their major. However, as there can be difference in Self-Determination(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Tendency To Foreclose) depending upon the sex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fore, I propose studies in the future check the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sex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empirically. Secondly, in this stud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used as variables to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it is needed for us to consider more variables, such as interaction with lecturers, practicality of the task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in following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which foreca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in vocational training school. Lastly,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 propose that we need to design systematic career coaching program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study to enhance the degree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heck gap analysi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inspection of pre and post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오늘날 늘어나는 청년층 실업률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대학진학보다는 새로운 대안을 선택하게 하고 있다.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교육훈련기관 중 하나인 직업전문학교는 직무능력 배양과 학위취득이라는 이점으로 인해 지원하는 학생 수가 늘어 2013년 현재 전국에 총104곳에서 운영 중인 만큼 양적인 팽창을 하고 있다(강현득, 2013). 그러나 전문기능인 양성이라는 직업전문학교만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자기의 진로를 충분히 고려한 후 적성에 적합한 전공을 찾아 입학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수능과 내신점수가 반영되지 않고 100% 면접 선발이라는 입학의 용이성 그리고 자격증을 학점으로 대체하여 단기간에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이끌려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입학 후 학생들은 전공에 대한 확신이 없어 자신의 진로에 몰입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일부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특정 직업의 입직만을 타겟으로 한 학원을 추가로 수강하거나 개인 컨설팅 등을 의뢰하여 진로에 대한 탐색과 준비를 하고 있다. 한편,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은 진로지도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전공 별, 학년 별, 학습자 특성이 고려된 체계적인 진로프로그램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진로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이 진로에 몰입하고 진로준비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전제되어야 할 조건들을 파악하여 그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진로와 관련된 연구는 인지(cognition)와 태도(attitude)변인에 치우져 진행되어 왔으나 김봉환(1997)은 진로준비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진로에 대한 의식이나 태도가 성숙되어 있어도 그에 따르는 준비행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진로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하였다. 진로준비행동(career preparation behavior)은 결정된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에서의 행위를 의미한다(김수리, 2004). 따라서 사회입문을 앞두고 있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에게 있어 진로준비행동이라는 요인은 자신이 정한 목표를 위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을 실천하게 하는 것이므로 진로연구를 함에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은 이미 직업과 연관된 구체적인 전공을 선택한 경우임에도 진로에 몰입하지 못하는 부정적 심리 상태를 보이며 진로목표에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Marcia(1993)의 주장에 의하면 진로를 결정한 후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이러한 불안감, 의심, 공포 등의 부정적인 심리상태는 진로결정몰입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진로결정몰입의 수준이 높은 개인일수록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며, 본인이 선택한 목표를 이루는데 있어 장해물을 극복할 준비가 강화된다고 하였다(Harren, 1979). 이러한 연구들에 근거하여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진로결정몰입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한다면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Blustein(1988)은 진로결정몰입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과 자신에 대한 탐색행동은 개인의 내적 동기와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진로결정몰입이 이루어지는데 자율적인 의사결정능력이 중요하며, 강요되거나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진로결정몰입이 이루어졌을 때 진로를 위한 준비행동이 발현된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 내적 동기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세 가지 기본적인 심리욕구 즉, 자율성(autonomy), 유능감(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우 개인의 내적 동기가 강화되어 개인이 학습하고 성장하는 건강한 발달을 경험하고, 심리적 안녕을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Reeve, 2009; Reeve & Jang, 2006). 자기결정성과 진로탐색몰입과의 연구에서 Blustein(1989)은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자신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진로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응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기결정성과 진로관련 연구에서 실제로 이예진과 이기학(2010)의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연구에서 자기결정성이 높은 수준의 집단이 진로준비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적 동기의 발현인 자기결정성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몰입을 긍정적으로 예측하며 진로결정몰입은 자기결정성의 영향을 받아 진로준비행동 을 예측하는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여러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몰입변인이 진로에 대한 확신과 애착을 갖게 하여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인 자기결정성과 진로결정몰입을 각각의 하위변인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그리고 진로탐색몰입, 진로대안배제경향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 결정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1-1.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탐색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1-2.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대안배제경향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유능감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결정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1.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유능감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탐색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2.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유능감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대안배제경향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결정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1.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탐색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2.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진로대안배제경향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A직업전문학교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Judd와 Kenny(1981)가 제시한 매개분석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상의 연구가설 검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진로탐색몰입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몰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입학 후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진로에 대한 진지한 탐색과정을 거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은 학생 스스로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고 각자의 능력에 맞는 과제를 부여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유능감이 충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자기결정성 욕구가 충족되는 환경에서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애착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대안배제경향은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진로대안배제경향은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에게 많이 보이는 전공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확신을 갖게 하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 학생 스스로 성취 가능한 진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거나, 단계 별 취업 전략 등을 제시함으로써 진로에 몰입하도록 하는 것이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모두 진로준비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중 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영향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직업전문학교가 일반 대학과는 다른 학위취득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학우와 교사, 선후배, 교직원 등과의 대인 관계가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업전문학교는 학위취득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학생회나 동호회 등과 같은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하지 않고, 선후배 간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행사 등도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관계성 욕구가 진로준비행동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진로지도 및 학교 학습활동 시 적절한 커뮤니티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이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이라는 연구결과에 따라서 진로결정에 있어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여 자율성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수업현장에서 교수자는 학생의 행 동을 직접 통제하는 것보다 좀 더 자율성이 지지되는 수업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다섯째, 유능감 또한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경험이 많거나 직업전문학교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인하여 유능감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수자는 수업현장 및 진로지도에 있어서 학생들의 유능감 발현이 최대화될 수 있는 교수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진로준비행동을 끌어내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직업전문학교 학생들 258명을 대상으로, 최종 설문응답 성별 구성은 남학생이 186명(72.1%), 여학생이 72명(27.9%)이었고, 항공정비학부 학생이 133명(51.5%)이었다. 그러나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 진로대안배제경향)에 대한 성별 및 학부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후의 연구들에서 성별과 학부 특성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볼 것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사용하였으나, 진로지도를 하는데 있어 교수와의 상호작용, 과제의 실재성 등 좀 더 다양한 변인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으나, 이 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결정몰입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분석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