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eacher's critical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Authors
우라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a critical doubt that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re unfair to students according to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s. However, advanced researches of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have not considered this unfairness of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the teacher's critical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by using narrative inquiry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questions for analyzing experiences of the study’s participant are as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ritical curriculum reconstruction?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which teachers have through critical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hird, what kinds of suggestions can we draw from the experience of teacher’s critical reconstructions of national curriculum?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tries to divide existing researches into two categories, functional reconstruction and critical reconstruction, by the approach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Researches on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have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of reconstruction such as methods and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ese researches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re considered as ‘given things. However,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unfair to students, according to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s.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 of an English teacher’s critical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o understand subject’s experience as an English teacher in Korea, it utilizes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With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takes narrative inquiry as a main approach. Because this study’s main method of collecting data is interview. And narrative inquiry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wholeness of experience of teacher’s critical reconstruction. Narrative inquir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researcher and subject and this feature can bring a new perspective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research which has the gap with the fiel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ree parts, one part is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ritical curriculum reconstruction, second part is teacher’s difficulties in this process and the third is suggestions. First,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on turn out to be authenticity, relevance, sociality. Subject reconstructs curriculum using authentic materials such as video clips, news and books to give more chances of experiencing authentic English to students who have little or no experience of native English because of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s. Also, subject of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household and communi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eacher uses contents more related to students’ lives. Besides, subject tries to extend students’ experience and critical thinking, using contents related to social issues in their society. The teacher expects students to become critical thinkers and then to participate in society’s problems as social members. When reconstructing critically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 has many difficulties. First, although her local background is similar to that of students, she has the cultural capital as an English teacher which students could not have. As a result, the teacher ha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udents’ difficulties in speaking English fluently. Second, she has limitations in using deeper knowledge of other fields as an English teacher. And in this process, the teacher has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and limited authority of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is English teacher’s experience about critical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is study gives some suggestions fo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issues about the contents are not considered thoroughly in the functional reconstruction which focuses only on the aspect method. To solve this limitation the reflective perspective is proposed and for this the need for teachers’ community as scholastic community is required as well. Also, English teacher’s critical curriculum reconstruction showed that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do not equally affect all the students. Consequently, teachers’autonomy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consider this unfairness through critical reconstruction. Like this, the study’s participant utilized her cultural capital to teach what students fundamentally need beyond what English textbook suggests. Moreover, in spite of many limits that a public school teacher could have, in the process of the curriculum’s implementation she showed how critical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could be applied and carried out in the field. Whereas to discuss future critical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n depth, the examples of the teacher community should be analyzed beyond individual teacher level. Furthermore, other subjects besides English ought to be examined. Lastly, as regards the selection of the class materials for critical reconstruction, teacher is required to analyze concretely the process like standard and means of selecting contents for the study in depth.;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를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특징과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것이 교육과정 재구성과 국가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셋째,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교육과정 재구성과 국가 교육과정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의 연구들을 그 접근방식에 따라 기능적 교육과정 재구성과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교육과정 재구성은 방법이나 효과성과 같이 기능적인 면에 주목하는데, 이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재구성의 대상이 아닌 ‘주어진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학생에게 다르게 다가갈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때 연구 참여자가 영어 교사로서 영어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Bourdieu의 문화자본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이 면담이며 교사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에 주목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여전히 현장과의 간극이 큰 교육과정 재구성 분야에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선정된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시사점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영어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은 크게 실물성, 관련성, 사회성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먼저, 연구 참여자는 문화자본으로서 영어가 갖는 차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직접 접하기 어려운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영어를 경험하게 해주고자 하였다. 이에 교과서 이외의 동영상, 뉴스, 원문 서적 등의 다양한 실물 자료를 통해 진정한(authentic) 영어를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이를 실물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는 학생들의 지역적, 가정적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여기에서 나아가 연구 참여자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 속에서 비판적인 의사결정자가 될 수 있도록 사회에서 일어나는 이슈들을 다뤄주며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었다. 이때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연구 참여자는 동일한 지역 배경을 가졌지만, 영어라는 문화자본을 성공적으로 가진 사람으로서 학생들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내용들을 다뤄주는 데에 있어서 보다 심화된 내용을 제공하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동료 교사와의 협력의 어려움과 공립학교의 교사로서 교육과정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으로 인한 어려움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과 국가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각각 살펴보았다. 먼저, 방법적인 측면에 주목한 기능적 교육과정 재구성에서는 내용에 대한 부분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반성적 시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문적 공동체로서 동 교과 간, 타 교과 간의 교사협의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은 국가 교육과정이 다루는 내용이 모든 학생들에게 동등하게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을 교사가 재구성을 통해 다루어 줄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자율권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영어 교사로서 가지는 문화자본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립학교의 교사로서 갖는 많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제로 실행하는 모습을 통해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사 수준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반면, 향후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을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 수준을 넘어서서 교사공동체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사례를 선정하여 경험을 분석하고, 영어 이외의 다른 교과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또한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내용 선정과 관련하여 선정 기준, 방법 등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