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요나콤플렉스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여기, 다시 이곳에」에 관한 연구

Title
요나콤플렉스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여기, 다시 이곳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Here, Here Again」Based on Jonah Complex
Authors
정찬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Art is creative act attributed to the desire for the confirmation of existence. Among others, the dance art represents a practical act formed through physical experience with the occurrences in space. The meaning, generated from space through movements of dancer, has the value as creative expression. The existential human beings achieve self-realization, make their existence manifested, and occupy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le residing in the space. This shows that the space is working as essential element which also influences all behaviors of humanity including all things perceived and felt as physical location. Generally, human beings have the desire to regain primitive rest in confidential space. The image of space as a shelter symbolizes mother's womb as the space of absolute tranquility. Gaston Bachelard, the French philosopher who focused on such symbolic meaning of space, defined "Jonah Complex" as the concept that symbolizes the homing instinct for cozy and warm prenatal womb condition. That arises from intrinsic human attachment to space, and means the change in symbolicity of space based on images and imagination created through experience.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cept of Jonah Complex, along with the background that led to emergence of Jonah Complex and it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different definitions and interpretations of scholars with respect to the space found in preceding studies, and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Jonah Complex, a psychological behavior caused by the space, by diving such space into two difference space, i.e., actual space and perceptive spa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pace mentioned by Bachelard, and based on that, choreographed and analyzed "Here, Here Agai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rough tha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convey the message that this Jonah Complex would not simply mean the yearning for mothers' womb, but represen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human, and all space which were experienced in overcoming such yearning would be set and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meaning and symbolism would be assigned by self. The Scene 1 of the artwork expressed the appearance of fetus resting in the womb. The object behind the upper part of stage was set as intrauterine space, and all motions and movements in Scene 1 are performed only within the object under the top light. Dancers are moving slowly, as if they were swimming in water, in such a way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pace called 'womb'. Dancers' motion showed coziness and comfort felt by fetus in the placenta of mother through the movements using the fingertips and tiptoes while crouching down. The intrauterine space was visualized as a image by using the circular sofa object and music revealing the quiet and primitive beauty. The Scene 2 themes around the anxiety and fear felt by fetus separated from the womb. The extrauterine space was set in a limited way through visual lighting, and the experience of another space formed through the lighting expresses the situational spatiality faced by the body of dancer and is manifested as the attribute of perceptive space that has the meaning of 'separation'. The passive behavior arising from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fetus after exiting the womb, a comfortable shelter, was expressed by the motion/movement of low physical level. That represents psychological effect wishing to return to the past, unable to be adapted to reality, and such psychological state is culminated by the motion of dancer to lift the vinyl object and cover her body with it. The unstable step shown during the movement from objects toward the center of stage embodies the loss of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physical movement which is gradually expanded suggest the transitionability to a new space. In addition, the music with gloomy melody and beat that raise tension was used to express the loss of direction and yearning for mothers' womb. The Scene 3 expressed growth of human beings through constant conflict between anxiety and peace. The escalating tens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fast and complex motions such as large motion of jump and turn, etc., and broadens scope of movement and motion so as to expand energy. This implies the desire of self-realization for developing themselves, which means overcoming the Jonah Complex. The music that had fast tempo was overlapped with quiet and peaceful lyrical music used in the Scene 1, and dancers are turning their backs form objects and walking slowly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stage. That represents an embodiment of possibility that the peace of intrauterine space can be found in the space outside the womb by assigning new spatiality to physical space which is a place manifesting the existentiality.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Here, Here Again" showed the self-realization process of humanities through the symbolism of spac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based on Jonah Complex. The whole space that are experienced at this time manifested variation of symbolism based on new perception of the self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experience and assignment of meaning, thus revealing the lives of humanities who ar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growth towards maturity. Therefore, the message intended to be conveyed was that incessant inner conflicts and efforts to resolve such conflicts represent a step forward another turning point, which would be a driving force facilitating the realization of a living worthy of human dignity through the creation of new value of individuals.;예술은 존재 확인에 대한 욕구로부터 출발하는 창조적 행위이며 그중에서 무용예술은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체의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실제적 행위이다.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공간에 생겨나는 의미들은 창조적 표현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실존하는 인간은 공간 속에 거주하면서 자아를 실현하고 존재성을 발현하며 3차원의 공간을 점유한다. 이는 공간이 물리적 장소로서뿐 아니라 지각하고 느끼는 것을 포함한 인간의 모든 행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보편적으로 인간은 내밀한 공간에서 원초적 휴식을 되찾기 원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공간이 가지는 이런 안식처로서의 이미지는 절대적 평온의 공간이었던 모태를 상징한다. 이와 같은 공간의 상징적 의미에 초점을 둔 프랑스의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는 모태귀소본능의 아늑함과 따뜻함을 상징하는 관념을 ‘요나콤플렉스(Jonah Complex)’라고 정의했다. 이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간에 대한 애착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체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미지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공간의 상징이 변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공간에 대한 학자들의 각기 다른 정의와 해석을 토대로 요나콤플렉스의 개념과 발생원인 및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공간으로 인해 일어나는 심리적 행태인 요나콤플렉스를 실제적·지각적 공간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슐라르가 언급한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용창작작품 「여기, 다시 이곳에」를 안무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는 요나콤플렉스는 단순한 모태에의 그리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 확립 과정이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공간은 스스로가 어떤 의미와 상징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인식됨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모태에의 안식을 누리는 태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상수 뒤쪽에 위치한 오브제는 ‘자궁 내 공간’으로 설정되었으며 1장에서의 모든 움직임은 탑 조명아래의 오브제 안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는데, 자궁이라는 실제적 공간의 성격에 부합하도록 태아로 설정된 무용수는 물속을 유영하듯 느리게 움직인다. 무용수는 몸을 웅크린 상태로 손과 발의 끝부분을 사용하는 움직임을 통해 어머니의 태반 속에서 태아가 안락하고 편안함을 느낄 때의 동작을 형상화 하였다. 잔잔하고 원시적인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음악과 원형의 소파 오브제의 사용을 통해 자궁 내 공간을 이미지화 하였다. 2장에서는 모태에서 분리된 태아의 불안함과 두려움을 주제로 표현하였다. 사각조명을 통해 ‘자궁 외 공간’을 제한적으로 설정하였는데, 조명을 통해 형성된 또 다른 공간의 체험은 무용수의 신체가 직면한 상황적 공간성을 두려움으로 표출시키며 ‘분리’의 의미를 가진 지각적 공간의 속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편안한 안식처인 모태에서 벗어난 뒤의 불안과 공포, 낯선 현실로 인한 과거로의 회귀 등의 무의식적 심리묘사는 낮은 신체 레벨의 소극적인 동작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내면의 표출은 무용수가 비닐 오브제를 다시 몸에 덮으려는 듯한 움직임을 통해 절정을 이루며, 무대 중앙으로 이동하는 불안정한 스텝은 방향성의 상실을 보여준다. 동시에 긴장감을 조성하는 비트와 음울한 멜로디의 음악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신체 움직임에 가시적 효과를 더하여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불안함과 평안함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성장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큰 점프와 턴 등의 빠르고 복잡한 움직임을 통해 고조되는 긴장감 보여주며, 움직임의 범위를 넓혀 에너지를 확장시킨다. 이는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자기실현의 욕구, 즉 요나콤플렉스의 극복을 의미한다. 빠르게 진행되던 음악은 무용수가 오브제 앞에 다시 섰을 때 1장에서 사용된 고요하고 평온한 서정적인 음악으로 오버랩 되고, 무용수는 오브제로부터 등을 돌려 천천히 하수 앞쪽을 향해 걸어간다. 이는 존재성을 발현하고 느끼는 장소로서 물리적 공간에 새로운 공간성을 부여하여 ‘자궁 내 공간’과 같은 평안을 ‘자궁 외 공간’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표현한 것이다. 무용창작작품 「여기, 다시 이곳에」는 요나콤플렉스를 바탕으로 물리적 특성과 심리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공간의 상징성을 통해 인간의 자아실현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때 경험하는 모든 공간은 체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주체자의 새로운 인식과 의미부여에 따라 공간이 주는 상징성이 변화함을 나타냄으로써 완숙을 향한 계속적인 성장 과정에 놓인 인간의 삶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를 통해 끊임없는 내면의 갈등과 그의 해소를 위한 노력은 또 다른 전환점을 향해 내딛는 한걸음이 될 것이며, 이는 개인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통한 인간다운 삶의 구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원동력이 될 것임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