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이해니-
dc.creator이해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62-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교육은 얼마나 많은 양의 지식을 지녔는가가 아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읽어내고 분별력 있는 정보의 습득을 통해 이를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창의·융합능력과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와 같은 능력에 목표를 두고 있다. 그리하여 이성적 사고발달에 중점을 두던 과거의 교육과는 달리 감성 지능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감성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의 조화를 위한 교육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며 무용교육이 추구해야할 새로운 목표로써 댄스 리터러시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댄스 리터러시란 무용을 수행하고 창작하고 무용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감상하는 능력이다. 즉, 변화하는 문화적, 사회적 시대성을 반영하며 그 맥락 안에서 무용을 바라보고 무용을 통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다차원적이며 통합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댄스 리터러시는 미적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며 신체적 발달과 함께 상상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와 같은 능력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국내에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연구와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판적인 시각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을 추구하는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의미를 수용하여 감상학습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주안점을 둔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동화발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동화발레는 동화가 지닌 서정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으로 이야기형식으로 구성되어 어린이는 물론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메마른 감성과 동심을 자극하여 신체 감각을 발달시키고 통합적 사고와 조화로운 두뇌활동을 돕는다. 또한 동화발레는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적이며 논리적인 리터러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의 체계가 발달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발레수업이 가능한 방과 후 학교, 초등 돌봄교실의 특기적성 활동, 문화센터, 사설 학원 등에서 활용 가능한 동화발레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동화발레 프로그램 개발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무용을 즐기며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무용을 하나의 텍스트로 해석하여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르는데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크게 4개의 단원으로 하여 한 단원의 학습주제로 하나의 동화발레를 다루고 각 단원을 3단계로 세분화하였다. 1단계는 ‘기초배우기’, 2단계는 ‘작품배우기’, 3단계는 ‘창작·표현하기’로 나누고 모든 단계에서 ‘작품감상·토론하기’로 이루어진다. 수업의 과정은 도입, 전개, 정리 및 평가로써 도입과정에서는 인사와 준비운동, 학습내용과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전개과정에서는 수업의 3단계를 차시별로 다루며 정리 및 평가과정에서는 정리운동, 학습내용정리, 차시예고와 형성평가 및 총괄평가를 한다. 셋째, 수업의 지도방법으로는 학습활동의 특성에 따라 ‘기초배우기’에서는 지시학습을 통해 정확한 자세와 동작을 지도하고, ‘작품 배우기’에서는 지시학습을 통한 동작수행과 동시에 감성적 표현을 이끌어 내도록 한다. ‘창작·표현하기’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하며 창작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감상·토론하기’에서는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수업의 평가방법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과 수업의 효과적 목표 달성을 위해 실시하는 형성평가와 전반적 성취도와 만족도를 확인하는 총괄평가로 이루어진다. 형성평가는 매 차시별로 수업이 마친 뒤 교사의 질문을 통해 이루어지고, 한 단원을 마친 뒤 교사의 체크리스트와 학습자의 자기 평가지 작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총괄평가는 전체의 프로그램을 마친 뒤 교사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평가 내용으로는 인지적, 심체적, 정의적 측면에서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의 함양 정도를 평가한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의 함양을 위한 동화발레 프로그램은 동화의 스토리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상상력을 자극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동화발레 프로그램은 동심의 세계를 경험하고 미적체험의 기회를 통해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이루며 교훈적 메시지를 통한 삶의 지혜를 제공한다. 또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비판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무용교육현장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 간 통합된 교육의 형태로써 교육적 시너지 효과를 상향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s education requires the abilities such as creativity and fusion ability to grasp the trends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properly use the information acquired with discernment in a way that suits the situation, along with the problem-solving skill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knowledge. In addition, the focus of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way from the past education tha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rational thinking, and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an help achieve balance between emotional thinking and rational thinking. As a resul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vigorously on dance education as cultural arts education and we have witnessed the emergence of concept called "dance literacy" as a new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Dance literacy reflects cultural and social temporality changing with the ability to perform dance and appreciate artworks based on the knowledge of dance, and means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capability to understand the dance within the context of such cultural and social temporality and gain perspective towards the world through the prism of dance. This dance literacy provides opportunities for aesthetic experience and helps promote development of abilities such as imagination,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 and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physical development. However,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was a lack of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dance literacy and education measur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corporated the meaning of critical literacy pursuing the problem-solving skill through critical perspective. Under those circumstances, we developed a program designed to help cultivate critical dance literacy that focuses o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 through appreciation learning. Fairytale ballet stimulates barren emotion and child-like innocence in all men and women of all ages through lyrical and didactic contents of fairytale, and furthermore, helps develop physical sensation to promote integrated thinking and harmonious brain activities. Moreover, the process of criticizing the fairytale ballet may lead to cultivation of analytical and logical literacy. In this study, we organized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for fairytale ballet which can be used in after-school hours, special aptitud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care class, cultural center,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etc., which the dance class can be provided for the 1st and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at the developmental stage of logical thinking ability based on aforesaid program and presented relevant example cases. This guidance plan is based on 12 classes with each lasting 50 minutes and allows the class and duration thereof to be expanded or reduc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fairytale ballet program development, desig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aims to help build up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interpreting the dance as a context in socio-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the enjoyment of dance, thereby cultivating wholesome human. Second, the program consisted of 4 Units, with each Unit focusing on one learning subject dealing with a fairytale ballet, and each Unit was subdivided into 3 stages. The first stage focused on basic learning, and the second stage concentrated on artwork learning. Meanwhile, the third stage placed primary focus on creativity and expression activities. All stages covered the artwork appreciation/debating. The course of class consisted of introduction, development, sorting-out and evaluation. The introduction course presented the greeting, warm-up exercis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objectives. The development stage dealt with the 3 phases of learning for each class. The sorting-out and evaluation course covered the finishing exercise, summary of learning contents, preview of the following class, formative evaluation of learning, and overall evaluation. Third, the teaching guidance plan provides correct posture and motion/movement through instructive learning in the 'basic lear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ctivities and induces emotional expression simultaneously with the performance of motion/movement through instructive learning in 'artwork learning'. The 'creation/expression' allows students to interact through collaboration and create artworks. The 'artwork appreciation/debate' wa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take the initiative in learning through the discovery-oriented learning when they appreciated artworks. Fourth, the evaluation method for class consisted of the formative evaluation that aims to attain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ass and facilitate effective achievement of class objectives and overall evaluation which validates overall achievement and extent of satisfaction. Formative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s asked by teachers after the class is over based on each class. Furthermore, the form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for students and checklists for teachers after each Unite of learning is completed. Overall evalua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checklists of teachers after the completion of overall program, and the results of learning are evaluated on the basis of scores. Regarding the contents of evaluation, the evaluation assesses the extent of cultivation of critical dance literacy from cognitive, physical, and definitive aspects. The fairtytale ballet program, which aims to develop critical dance literacy as presented above, induces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with the story of fairytale,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stimulating the imagination to raise efficiency of learning. In addition, fairtytale ballet program creates opportunity to experience innocent world of children and gain aesthetic experience, thus bringing the balance between emotion and reason, and provides wisdom of life through didactic. message. Moreover, the fairtytale ballet, which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 and critical and integrated thinking, has value for practical use in dance education site, and furthermore,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ducational synergic effect as inter-subject integrated form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6 A.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6 1. 리터러시에 대한 관점의 변화 6 2. 리터러시 교육의 기능과 형태 12 B. 댄스 리터러시와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 16 1. 댄스 리터러시의 개념 16 가. 무용교육학적 관점 18 나. 무용기보법적 관점 22 2.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 25 가.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교수전략 25 나.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의 교육적 효과 31 C. 동화와 발레교육 34 1. 문학과 발레의 연관성 34 2. 동화발레 수업의 효과 40 Ⅲ. 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동화발레 프로그램 개발 43 A. 프로그램 설계 43 B. 프로그램 구성 45 1. 수업의 목적 45 2. 수업의 과정 및 내용 47 3. 수업의 지도방법 55 4. 수업의 평가 58 Ⅳ.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예시 60 A. 교수-학습의 차시별 주제 및 학습내용 62 B.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 70 Ⅴ. 결론 92 참고문헌 95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65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크리티컬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동화발레 프로그램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irytale Ballet Programs for Critical Dance Literacy Cultivation-
dc.creator.othernameLee, Hae Nee-
dc.format.pageix, 102 p.-
dc.contributor.examiner조은미-
dc.contributor.examiner김영희-
dc.contributor.examiner신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