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라반움직임분석을 통한 한국춤 메소드 연구

Title
라반움직임분석을 통한 한국춤 메소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Dance Methods through Laban Movement Analysis: Focused on Bae Jung-hye‘s ‘Bar Gibon(Basic)’
Authors
이민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본 논문은 라반움직임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 LMA)을 사용하여 한국춤 메소드를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춤을 추기 위한 훈련법으로서 한국춤 메소드를 기록한 문헌에서는 대부분 서술과 사진을 통한 움직임의 순간적인 형태를 묘사하는데 그치고 있다. 때문에 움직임의 특질을 기록하는 정밀도가 부족하여 움직임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실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춤 메소드를 설명한 문헌자료 중에서 DVD 영상과 함께 비교적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배정혜의 ‘바기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현존하는 움직임 분석 및 기록 방법 중에서 LMA는 과학적인 분석의 틀로 포괄적인 어휘를 제공해주는 움직임 분석 체계로서 움직임의 특질을 밝히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뿐만 아니라 움직임 관찰의 기술(Description)을 정교히 하여 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기본’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그 자체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분석과 기록 체계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여기서 드러나는 독특한 움직임의 특질을 담은 한국춤 메소드를 묘사하고자 하였다. ‘바기본’ 메소드는 한국춤에서 필요한 신체 원리를 습득시키는 데 목적을 둔 신체훈련법으로 12가지 하체호흡과 12가지 상체사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방법은『배정혜의 7일간의 춤여행』단행본을 토대로 여기에 수록된 영상을 관찰하여 LMA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불리는 신체(Body), 에포트(Effort), 셰이프(Shape), 공간(Space)에 따라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국제적 표준 언어인 모티프 라이팅(Motif Writing)의 에포트-셰이프 기록법(Effort-Shape Notation)으로 묘사 및 설명하였고 신체 및 공간은 기호를 괄호에 첨부하면서 설명을 덧붙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기본’은 전체적으로 에포트를 사용한 움직임이며 특히 전반에 깔려있는 흐름(Flow) 에포트 중 절제된 흐름(Bound Flow)이 자주 발견된다. 둘째, ‘바기본’의 구성요소들은 공통적으로 그라운딩(Grounding)이나 중심지지(Core Support)로 움직임을 시작하여 몸의 중심과 말단의 연결성(Core-Distal Connectivity)이나 머리와 꼬리의 연결성(Head-Tail Connectivity) 또는 하체와 상체의 연결성(Upper-Lower Connectivity)과 같은 방식으로 동적 신체 정렬(Dynamic Alignment)이 나타나는 하나의 움직임 원리가 적용된다. 셋째, 하체호흡 움직임에는 에포트의 유동적인 상태(Mobile State)와 깨어있는 상태(Awake State)를 보여주는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이 액센트(Accent)를 주로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강약의 리듬적 특질을 만들어 낸다. 넷째, 상체사위 움직임은 전체적으로 그라운딩(Grounding)과 중심지지(Core Support)로 움직임이 시작되어 절제된 흐름(Bound Flow) 에포트로부터 자유로운 흐름(Free Flow)과 간접적인 공간(Indirect Space) 에포트 조합으로 연결되는 움직임 특성이 발견된다. 또한 펼치는 셰이핑(Spreading Shaping)으로 볼륨감을 느낄 수 있는 호흡형태가 나타나며 호흡이 풀릴 때에는 우묵해지는(Hollowing) 셰이프 흐름의 신체형태로 표현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바기본’의 움직임을 정밀한 관찰의 눈으로 분석하고 객관적인 묘사 언어로 해석 및 기록함으로써, 추상적인 움직임 내용이 간결하고 명확한 개념으로 구체화 된 한국춤 메소드를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것은 교육현장에서 메소드로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특히 경험과 모방이 주된 한국춤 교육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인 훈련법을 창조하고 그 효율성을 높이는데 더욱 가치 있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Korean dance methods by using Laban Movement Analysis(LMA). Many Korean dance methods are merely recorded to describe the instantaneous forms of movements through pictures and descrip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per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clearly, due to a low degree of accuracy.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solutions for the lack of accuracy in the training of Korean dance method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literature explained by Bae Jung-hye’s ‘Bar Gibon(Basic)’ has been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because it presents Korean dance methods, not only through literature, but also with demonstrations through video clips. As a result, its descriptions of movements are relatively specific compared to other literature. Among the existing analyses of movements and recorded methods, LMA is widely acknowledged for providing a comprehensive vocabulary framework of scientific analyses: it is a fundamental standard that understands and analyzes the quality of movements, as well as being a powerful tool for elaborating descriptions of movements.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esent detailed analyses and recording systems for complementing Bar Gibon’s limits, but also to elaborate on the intricacies of the training methods used in Korean dance. Bar Gibon’s unique quality of movements can b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its movements by applying LMA. The Bar Gibon’s method is a physical training regime that consists of 12 breath lower body movements and 12 upper arm movements, which focuses on acquiring the physical foundation that is necessary to train in Korean dance.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movements in the attached DVD based on the book written by Bae Jung-hye, 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LMA’s four categories: Body, Effort, Shape, and Space. The results are explained and described by using the Effort-Shape Notation of Motif Writing,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language. The result also clarifies Body and Space by adding symbols in the brackets.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the Bar Gibon’s method is a movement that uses Effort. In particular, Bound Flow is often found in Flow Effort. Secondly, one movement principle is applied to the Bar Gibon’s method, and its components start movements with Grounding and/or Core Support. And then, Dynamic Alignment appears in the same way as the center of the body through Core-Distal Connectivity, Head-Tail Connectivity, or Upper-Lower Connectivity. Thirdly, in the breaths of lower body movements, various combinations of Incomplete elements show Effort’s Mobile State and Awake State. These elements produce rhythmic characteristics of dynamics that appear continuously with Accent. Lastly, the upper arm movements start with overall movements of Grounding and/or Core Support that connect to Bound Flow. Thereafter, their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are found when they are linked to the combination of Free Flow and Indirect Space. Also, the breathing form appears with Spreading Shaping allowing the sense of volume in Space. Finally, Hollowing Shape is expressed through the body formation when the “breaths” are release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concrete training methods of Korean dance, while supporting a clear concept by analyzing the Bar Gibon’s methods with the observer’s detailed analysis and objective description. Therefore, this thesis shows that LMA has a vast potential to be a beneficial teaching method,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field of Korean dance that mainly deals with experience and imitation. Hence, studying Korean dance methods by using LMA will greatly contribute to creating more organized training methods and boosting the efficiency of teaching Korean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