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무용치료 체험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위로」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치료 체험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위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Consolation」based on Dance therapy Experience
Authors
강수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무용치료는 신체움직임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관찰하고 표현함으로써, 깊이 있게 자기를 이해하고 진정한 자기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기 회복은 자신을 인생의 주체자로서 영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경제적, 물질적 가치에 쫓겨 스스로를 돌아보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자기를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다. 본래의 자기를 잃어버리면 그로 인한 우울함, 불안감과 같은 마음의 병에 들게 되어 결국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한 비난으로까지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기를 되찾아 마음의 병을 치유하는 무용치료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무용치료의 “호흡기법”, “바디스캔기법”, “신체상기법”, “특정한 곳에 집중한 움직임기법”, “움직임 대화기법”, “반영기법”, “무의식 움직임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체험하였고, 무용치료의 치료요인인 “자각,” “공감”, “표출”을 경험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무용치료 체험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위로」를 안무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치료를 받음으로써 진정한 자기를 찾아 마음의 병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본 작품의 주제 및 내용,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영상의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영상을 활용하였다. 영상은 무용치료 당시 장면이 담긴 것으로, 무용수와 어우러지게 활용하고자 무대의 뒷막 하수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하였다. 무대의 공간은 영상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는데, 치유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영상과 같은 선상에 있는 무대 하수 공간을 “치유의 공간”으로, 이와 반대되는 상수의 공간을 “슬픔의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무대 전체 공간에 따뜻한 위로를 상징하는 둥지 이미지의 조명을 작품의 도입부터 마무리 직전까지 비추도록 설정하였으며,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뜻하는 흰 천의 오브제 활용과 각 장의 내용과 분위기에 맞는 음악을 구성하여 위로를 통한 진정한 자기 회복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1장은 부정적인 내면에서 벗어나 자신의 모습을 자각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그리하여 부정적인 내면의 슬픔을 표현하고자 흐느끼는 듯한 허밍소리와 첼로의 찢어지는 듯한 선율을 음악으로 설정하였고, “슬픔의 공간”인 상수만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슬픔의 공간”인 상수만을 맴도는 제한된 이동경로와 신체를 탐색하는 움직임과 덮어쓰고 있던 흰 천의 오브제를 벗어내고 자신을 온전히 추스르는 움직임을 통해 자각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영상은 1장의 중반부터 자신의 통증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특정한 곳에 집중한 움직임기법”의 내용을 구성하여 아픔에 대한 자각의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2장은 공감을 통한 따뜻한 위로의 내용으로 전개된다. 그리하여 위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내용의 가사를 담고 있는 음악을 구성하고, 따뜻함을 의미하는 붉은 조명을 설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사선 조명을 함께 구성하여 치유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슬픔의 공간”인 상수와 “치유의 공간”인 하수를 가로지르는 이동경로에서 가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움직임을 구성하였다. 이는 공감을 통한 위로를 받음으로써 자신을 치유하고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2장의 도입부터 연구자와 치료사가 함께 움직이는 “반영기법”의 영상을, 무용수의 쓰다듬고 안아주는 움직임과 겹치게 활용하여 위로를 통해 느꼈던 심리적 안정감을 표현하였다. 3장은 표출을 통해 마음의 병을 치유함으로써 부정적인 내면을 극복하고 진정한 자기로 회복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그리하여 표출과 치유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빠른 템포의 음악을 설정하고, “치유의 공간”인 하수에 치유를 의미하는 파란색 조명을 비추었다. 그리고 “슬픔의 공간”인 상수에서 “치유의 공간”인 하수로 나아가는 이동경로와 리듬을 타는 움직임과 오브제를 밟고 일어서는 움직임을 구성하였다. 이는 표출을 통해 부정적인 내면을 극복하고 진정한 자기로 회복하였음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3장의 도입부터 마무리 직전까지 자기 내면을 신체로 자유롭게 표출하는 “무의식 움직임기법”의 영상을 무용수의 움직임과 동시에 구성하여 표출을 통한 치유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 「위로」는 무용치료를 통해 사회 일원으로서 적극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람으로 회복될 수 있음을 전달하고자 하였다.;Dance therapies can help us truly understand ourselves and become who really we are by observing and expressing the inner side of ourselves with body language. This self-restoration is very important due to the fact that we can lead our own lives as the owners. However, contemporaries have difficulties with understanding and becoming aware of themselves because they do not look after themselves whilest tracing economic and material values. Hence, they lead their lives losing their true egos. It is very problematic because it can cause an illness of the mind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onsequence, they blame their raison d'etre which is very serious. Therefore, dance therapies mean a lot to contemporaries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 help us out having us brought to ourselves and healed our illness of the mind. Actually, I took a dance therapy as a patient in person, was able to experience its main factors such as “self-awareness, sympathy and expression” created a work of dance called 「Consolation」 with this experience, The attempt of this work is to show how it was able to bring me to myself and recover my illness of the mind with the therapy. The theme and contents of this work, the composition of the stage in accordance with each scene and dancer's moving path, movement and images were analyzed thoroughly in this thesis. First and foremost, images are utilized in order to express the theme effectively. At this stage, images contain my actual therapy process and are arranged in the background of the stage in an attempt to be utilized with the dancer. With these images as the center, the space in the background of the stage is set as "the space of healing", and the other one, at the foreground of the stage is done as "the space of sorrow"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trast between them. The stage lighting of the image of nest symbolizing heartful consolation is set to be 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work onto the whole space of the stage. In addition, the white fabric is utilized to express "the negative side of ours" as an object, and the music is set that matches with the contents and atmosphere of each chapter. This is an attmpt to how the true self-restoration with consolation is shown effectively with this composition. In the first chapter, the content shows that a dancer overcomes his or her mental agony and realize who really they are. In order to express his mental agony, humming like sobbing and cello’s squeaks are set as the music, and the space of sorrow is only used for the performance. In this way, the image of self-awareness is shown with the limited moving path in the space, movements searching for the body and a motion to get themselves together whilest taking off the object of the white fabric. From the middle stage of the first chapter, images emphasize the necessity of self-awareness about pain with composition of a method with motions focusing on the specific part that expressing his feeling about the pain. After that, the second chapter unfolds with heartful consolation with sympathy. In order to express this image clear, it is comprised of the music containing the lyrics that is accordant to the theme and a red light meaning warmth. The willingness for being cured is set to be shown with an oblique illumination including other methods mentioned above. Plus, in the moving path crossing "the space of sorrow" and "the space of healing", movements are comprised to express lyrics directly. In this way, it is thought that the dancer is willing to treat and recover himself or herself by being consoled with sympathy.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hapter,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consolation is expressed with the methods such as showing the images of reflection technique that the patient and therapist make movements together, and the dancer's movement of petting and hugging which is utilized by overlapping with the other. In the last chapter, the dancer eventually succeeds in having his illness of the mind cured with. He or she overcomes his negative inner side and recovers into his real ego. In order to express this theme, the fast tempo of music is set to emphasize the images of and healing, and the blue light meaning being cured is shed onto "the space of healing" to maximize the consequence of being cured. In addition, the stage is comprised of the moving path from "the space of sorrow" to "the one of healing", the movements with getting into a rhythm and other movement stepping on the object and rising on his or her feet. It expresses that he or she finally overcomes his negative inner side and resile from mental agony with. From the beginning of the last chaper to the end of it, the status of being cured is shown with simultaneous composition of the image method of unconscious movements that expresses freely his or her inner side with their body in company with showing their motions. Overall, the work of dance 「Consolation」 shows how we can regain our lost egos and have an illness of the mind cured with dance therapies and how to recover genuine ourselves. Thereby, it endeavors to inform audience of the importance of genuine self-restoration with consolation, and furthermore, provide publicity for dance therapies as a method for consolation in the sake of self-resto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