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전혜리-
dc.creator전혜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6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6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로 편성된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목의 운영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통합 교과로서의 ‘사회’과목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통합‘사회’과목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그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통합‘사회’과목수업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수업 유형 및 운영 방식, 평가 방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들의 현장 경험을 통해 통합‘사회’과목이 앞으로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넷째, 통합 ‘사회’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고자 2014년부터 시행된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목을 교육과정에 편성 ․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내 고등학교 201곳의 교사 중 30명을 단순 무선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중 7명의 교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201개의 학교 중 3개의 학교를 선정하여 현재 ‘사회’수업을 듣고 있는 624명의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 자료, 심층 면담 자료, 문서 자료들은 연구 문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기존의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하여 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통합 ‘사회’과목에 대해서는 그 필요성에 대해 절반 이상이 동의하고 있었으며, 동의하는 사람들은 바람직한 통합 방식으로 다학문적 통합, 간학문적 통합, 탈학문적 통합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하지만 앞으로 통합 ‘사회’과목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자가 더 많았으며, 본인의 ‘사회’수업을 통해 사회과 목표에 도달한 정도는 흡족하다는 의견이 다수였지만 미흡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둘째, 교사들은 실제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새로운 수업 방식을 택하기보다는 기존의 수업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개념설명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대답하였으며,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된 토론 수업이나 프로젝트 수업은 일부 학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 운영방식은 일반사회와 지리 전공에 따라 교과서를 나누어 가르치는 팀티칭 방식을 따르고 있는 학교가 대다수였다. 또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수업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비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의 문제였다. 교과서에 대해서는 그 내용과 구성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이 통합 교육과정에 적합한가를 묻는 질문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목 각각의 중단원이 대부분 통합 교육과정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평가 방식에 대해서는 응답자 전체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가 혼합된 평가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방식과 풍부한 자료를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요청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앞으로 보다 발전된 통합 ‘사회’과목의 운영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전공에 대한 독립성을 확보해 달라는 의견과 학습 내용의 적정화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평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 방식 및 문제 유형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했다.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에 대한 실질적인 내용을 담은 연수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특히 수업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유형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넷째, 학생들은 중학교 사회과목에 비해 고등학교 1학년‘사회’과목이 흥미로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의 이해도도 높아졌다고 답하였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이 현재 평가 방식이 통합 ‘사회’과목에 적절하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거나 다양한 수업 방식을 활용한 수업을 선호했고, 앞으로도 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수업을 하고 싶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된 사회과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합적인 사고가 필요하며, 연구 결과에서 확인되었듯이 교육과정 개발자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는 교사들도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앞선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천 가능한 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 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통합 교육과정의 내용 측면에서는 교육 내용의 적정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그 운영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통합의 취지와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통합 ‘사회’과목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연수, 컨설팅 등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기존의 연수는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 수업시간에 적용이 어렵거나,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수업 시수 때문에 참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해 실제 교사가 학생의 입장으로 참여하는 교수-학습 방법 연수, 수업 내용에 관한 연수 등을 원격으로 시행하여 많은 교사들이 보다 쉽게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lass applied and executed since March of this year, 2014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30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re teaching the 1st grade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 of Seoul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contents consisted of 5 categories of national curriculum comprehension, class preparation and execution, evaluation, training programs, and opinions on high school ‘Social studies’. For students, 624 Seoul area students who are taking 1st grade ‘Social studies’ class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contents consisted of 3 categories of recognition of ‘Social studies’(interest, comprehension, evaluation validity) and opinions on that clas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eachers agreed that exist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id not work properly. But more than 60% of them agreed on need for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the teachers who agreed that curriculum chose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rdisciplinary approach, trans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method of the integration evenly. Nevertheless there are more teachers who think negatively about the realizable possibility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Second, teachers were follow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rather than select a new teaching method for a new curriculum in the class.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chose explaining for teaching the concept and class discussions and project learning method were available in some schools. Most of the schools follow the team teaching approach, according to the majors. And they think that the biggest problem of this system is shortage of non-major field knowledge. There were many comments about the textbooks that its content and configuration is insufficient. For the assessment, respondents used mixed evaluation methods which include the paper-based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request a variety of training for evaluation that provide resource enriched. Third, teachers suggested a variety of opinions for the operation of a more advanced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In terms of curriculum, they wanted to be independent in their field and demanded the rationalization of the contents for integrated social studies. For the evaluation, they the need for a different evaluation method and the type of questions. As well as the teachers need more training for teaching methods. Fourth, students responded that integrated social studies for high school freshman is more interesting than that of the middle school and they could understand easily. Also the majority of them said the evaluation system is properly for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Students were favored class using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handling the topics related to rea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bined for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efforts for the integr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be continued.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of ever-changing society, it is essential to develop integrate thinking ability. And curriculum developers, as well as teachers are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integr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grasp the problems of existing curriculum and requires efforts to develop an actionabl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on the contents and operation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Most of all, integrated curriculum requires rationalization of the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that this alternative also in the operating system. Therefor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s need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classrooms and the aim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a real help to teachers, such as teacher training and consulting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integrated curriculum. For teachers in highschool, it is really difficult to attend teacher training. And also existing programs had limitation on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Therefore, improved in teacher training system such as remote training systems and role model training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격 6 B. 통합 교육과정 7 1.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 7 2.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 9 C.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 14 D. 국내의 사회과 통합을 위한 노력 15 E. 선행 연구 21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설계 25 B. 연구 대상 26 C. 조사 도구 28 1. 설문 문항 제작 및 구성 28 2. 조사 도구의 신뢰도 30 D.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A. 교사 설문 결과 32 1. 교육과정 이해도 32 2. 수업 준비 및 실행 43 3. 평가 55 4. 연수 60 5. 제언 63 B. 학생 설문 결과 65 1. 고등학교 ‘사회’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65 2. 고등학교 ‘사회’ 수업 시험 준비 유형 67 3. 고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좋았던 점 68 4. 고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바라는 점 69 Ⅴ. 논의 및 결론 71 A. 요약 71 B. 논의 및 제언 73 참고문헌 77 <부록 1> 교사용 설문지 79 <부록 2> 학생용 설문지 87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0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 과목의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Highschool ‘Social Studies’ Subject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Jun, Hea Ri-
dc.format.pagexi, 91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contributor.examiner백남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