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R.Schumann의「Fantasiestücke, Op.12」와 E. T. A. Hoffmann 문학의 이중성 인식 연구

Title
R.Schumann의「Fantasiestücke, Op.12」와 E. T. A. Hoffmann 문학의 이중성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cognition of duality related to「Fantasiestücke, Op.12」 of Schumann and litrature of E. T. A. Hoffmann
Authors
김효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윤보
Abstract
This is a study of 「Fantasiestücke Op. 12」 by Robert Schumann, one of the works played during the recital for the completion of Master's degree. The research particularly focused on how Schumann composed 「Fantasiestücke Op. 12」 through the novel scene where E. T. A. Hoffmann showed his own value and artistic viewpoint through dual recognition in 「Der goldne Topf」 from 「Phantasiesücke in Callot’s Manier」 and it also placed its emphasis on the recognition of duality which is the common core factor of both artists. Schumann shaped his inner self by following the spirit of artistic trend that desired to express inner feeling in the Romantic era along with recognition of duality in Hoffmann literature and such shape created by following recognition of duality was implemented in his musical work or music critique. Schuman observed the inner split and conflict of Kapellmeister ‘Kreisler’, the fictional character in Hoffmann’s novel and made a fictional organization called ‘Davidsbündler’ by embracing the similarities of the character’s inner part with him. ‘Davidsbündler’ was progressive; it expressed human’s inner feeling and pursued higher level of musical ideals and it was the musical sight Schumann pursued. Besides, ‘Florestan’ and ‘Eusebius’, the fictional characters of ‘Davidsbündler’ members became the medium of delivering Schumann’s world of spirit and musical point of view in works and critiques of Schumann. Even in 「Fantasiestücke, Op. 12」 studied in the research, Schumann’s recognition of duality is expressed through comparison or coexistence in all pieces. Schumann’s dual ego can be analogized in 「Fantasiestücke, Op. 12」 and he quoted its title as he was inspired by Hoffmann’s 「Phantasiesücke in Callot’s Manier」. Compared to Schumann’s other works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ure of Hoffmann, 「Fantasiestücke, Op. 12」 is generally known to have lesser connection with literature. However, as the title is similar,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nection between two works, starting from the title quotation. As a result, it can be analogized that contents suitable for all 8 pieces of 「Fantasiestücke, Op. 12」 have connection with various scenes in the novel, 「Der goldne Topf」. It was possible to observe Hoffmann’s recognition of duality, Also it was able to understand Schumann’s recognition of duality in 「Fantasiestücke, Op. 12」 who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same aspect in 「Der goldne Topf」. Besides, Being introduced the scenes and characteristics in 「Der goldne Topf」, the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deas which would be helpful in music performance by studying the selected works with recognition of duality among other piano works of Schumann and understanding the title and development of 「Fantasiestücke, Op. 12」.;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의 곡목 중 하나인 슈만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작품 「환상소곡집 (Fantasiestücke Op.12)」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E. T. A. 호프만 (Ernst Theodor Amadeus Hoffmann, 1776-1822) 이 소설 「칼롯 풍의 환상곡집 (Phantasiestüke in Callot’s Manier)」 중 「금 항아리 (Der goldne Topf)」 에서 이중적 인식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과 예술세계를 나타낸 것을 슈만이 소설 장면을 통해「환상소곡집」을 작곡한 것의 연관성을 연구하였고, 또한 두 예술가의 공통 핵심 요소가 되는 이중성의 인식에 대해 중점을 두고 알아보았다. 호프만 문학에서의 이중성의 인식과 더불어 낭만주의 시대에 자신의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던 예술 사조의 정신을 따라 슈만은 내적 자아를 형상화시켰고, 그렇게 결합되어 만들어진 슈만의 이중적 인식에 따른 형상화는 그의 음악작품이나 음악평론에 구현되었다. 슈만은 호프만 소설의 가상 인물인 악장 ‘크라이슬러 (Kreisler)’의 내면의 분열과 대립을 지켜보고 자신의 내면과 유사하여 그것을 수용, 이입시켜, 그로 인해 ‘다비드 동맹 (Davidsbündler)’이라는 가상 단체를 만들었다. ‘다비드동맹’ 은 진보적이고 인간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며 한 차원의 높은 음악적 이상을 추구하였는데, 이것이 슈만이 추구하던 음악상이다. 또한 ‘다비드동맹’의 일원인 ‘플로레스탄 (Florestan)’ 과 ‘오이제비우스 (Eusebius)’ 라는 가상 인물은, 슈만의 작품과 평론에서 슈만의 정신세계와 음악관을 전달해주는 수단이 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환상소곡집」에서도 역시, 슈만의 이중적 자아가 각 곡들에서 대조 또는 공존되어 나타난다. 슈만의 이중적 자아를 유추해 볼 수 있는 「환상소곡집」은 호프만의「칼롯 풍의 환상곡집」에서 영감을 얻어 제목을 인용하였다. 슈만의 다른 작품들이 호프만의 문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이 곡은 일반적으로 문학과의 연관성이 크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제목이 유사하기 때문에 제목의 인용에서 출발하여 두 작품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환상소곡집」각 8곡의 표제에 맞는 내용들을 소설「금 항아리」 안에서 여러 장면이 관련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금 항아리」에서 나타나는 이중적 인식을 알아보고, 그것의 영향을 받은 슈만의 「환상소곡집」에서도 이중적 인식을 이해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금 항아리」의 장면을 소개하고 특징을 제시함으로써,「환상소곡집」의 표제 및 전개를 이해하고, 더불어 슈만의 다른 피아노 작품 중 이중적 인식이 다루어진 작품을 선별하여 연구함으로 연주에 도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