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재숙-
dc.contributor.author성하주-
dc.creator성하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32-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 이후 개량 가야금을 사용한 다양한 가야금 창작곡들이 작곡되었다. 이러한 창작곡들의 증가 속에서 12현 가야금의 사용과, 전통 주법을 사용한 선율들이 창작 악곡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현가야금과 25현가야금이 함께 쓰인 가야금 4중주곡 <송향(松香)>을 연구하였다. 이 곡의 구조를 파악하고, 구조에 따른 선율과 화성, 리듬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곡의 구조는 단악장 형식으로 총 211마디이며, 악곡의 구조에 따라 크게 A-B-C로 나뉜다. 또한 선율과 구조에 따라 A는 ⓐ, ⓑ, ⓐ', ⓑ', ⓐ'', ⓑ'', ⓐ''', ⓒ, B는 ⓓ, ⓐ'''', ⓓ', ⓒ', ⓓ', C는 ⓔ, ⓕ, ⓔ', ⓖ로 나뉜다. 둘째, 이 곡의 선율과 화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는 12현가야금의 전통적인 선율이 두드러지고, 25현가야금은 화성적 선율을 연주하여 두 악기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는 12현가야금의 전통 음계인 5음 음계 사용과 4도 하행선율을 나타내며, d음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화성은 5음 음계의 구성음으로 이루어진 화음이 나타난다. ⓐ의 발전부분인 ⓐ', ⓐ'', ⓐ'''는 ⓐ와 유사한 선율적 특징과 화성의 쓰임이 나타난다. ⓑ는 25현가야금으로만 연주되며, 하행 후 상행하는 선율선이 나타나고, Ⅰ화성이 사용되며 비화성음이 출현한다. ⓑ의 발전부분인 ⓑ', ⓑ''는 ⓑ의 선율선을 동일하게 사용하며, ⓑ''는 변성화음이 사용된다. ⓒ는 12현가야금과 25현 가야금 1대가 유니즌으로 주선율을 연주하면 다른 두 대의 25현가야금은 ⓑ의 선율의 특징이 나타나고 비화성음이 사용된다. B는 25현가야금의 선율선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역할을 한다. ⓓ는 25현가야금으로 연주되며, 비화성음에 해당하는 음들을 많이 혼용하고 있고, 음형의 효과와 음의 유동적 움직임에 중점을 두어 선율선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ⅵ#7화성이 나타나며 비화성음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선율선의 효과적인 역할이 두드러진다. ⓐ''''는 3/4박자에서 상행하고 4/4박자에서는 하행 후 상행하며, ⓐ의 첫마디의 선율선을 발전시킨 부분이다. ⓓ'는 ⓓ와 유사한 선율선이 나타나며, 유니즌 형식으로 주선율을 강조하고, 화성은 ⓓ보다 다양한 화성이 나타난다. ⓓ''는 ⓓ의 연튕김 부분을 발전시켰으며, 마디에 걸쳐 하행-상행-하행하는 선율선이 나타난다. C는 12현가야금의 전통악곡인 김죽파제 향제 줄풍류 중 염불도드리의 선율이 나타나고, 25현가야금은 화성과 화음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는 김죽파제 향제 줄풍류 중 염불도드리 1장의 선율이 나타나며, 25현가야금은 5도 구성의 화음으로 반주 역할을 한다. ⓕ는 25현가야금 1파트의 선율이 한 박 안에서 상·하행 한 후 12현가야금과 25현가야금 한대가 유니즌 형식으로 선율을 강조하며, 화성은 Ⅰ-Ⅳ-Ⅴ-ⅵ와 그에 따른 비화성음의 사용이 나타난다. ⓔ'는 ⓔ의 선율선에 박자의 변화를 주어 나타난다. ⓖ는 12현가야금의 선율이 상행한 후 ⓐ의 제1마디, 제2마디를 변형한 선율이 나타나 곡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 화성은 Ⅰ를 사용한다. 셋째, 이 곡의 리듬을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의 ⓐ는 매 마디마다 박자가 불규칙하게 변하며 기준박인 4분음표의 리듬은 ⓐ', ⓐ''에서 ♪으로, ⓐ'''는 16분음표로 리듬이 분할된다. ⓑ는 6잇단음표와 3잇단음표 리듬이 나타나는데, 이는 ⓑ'와 ⓑ''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는 12현가야금과 25현가야금 한 대의 주선율의 리듬은 점점 분할되어 나타나며, 이때 다른 25현가야금 두 대가 ⓑ의 리듬을 사용하여 선율을 뒷받침한다. B의 ⓓ부분의 리듬은 6잇단음표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이 리듬형을 두 악기로 나누어 연주되기도 한다. C의 ⓔ리듬은 선율형의 마지막 리듬이 형태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는 15/8과 9/8박자가 번갈아 등장하며, 9/8박자의 경우 ⓔ의 리듬형이 부분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는 리듬과 기준박인 4분음표 리듬이 나타난다. ⓖ는 12현가야금이 4분음표의 리듬꼴에서 ♪음표로 리듬 분할이 나타나고 이때 25현가야금은 온음표 사용으로 종지의 느낌을 나타낸다. 이상 작곡자 김대성의 가야금 4중주 <송향>은 12현의 전통적인 5음 음계 선율과 주법이 나타나는 동시에, 25현 3대로 비화성음과 리듬을 적극적으로 분할하여 활용하여서 입체적인 음향을 나타내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Since 1980s, the increased numbers of music pieces for modified gayageum have been written.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use of 12-string gayageum and traditional melodies in contemporary songs. A gayageum quartet “Song Hyang” with 12-string and 25-string gayageums is studi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each structure, the result of analysis of its melody, harmony and rhythm are the following: Firstly, it is a one-movement form with 211 measures and can be divided into A-B-C. Also, according to the melody and its structure, it can be divided into A - ⓐ, ⓑ, ⓐ', ⓑ', ⓐ'', ⓑ'', ⓐ''', ⓒ, B - ⓓ, ⓐ'''', ⓓ', ⓒ', ⓓ', C - ⓔ, ⓕ, ⓔ', ⓖ. Secondly, the melodic and harmonic characteristics of this tune can be found. In 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12-string and the 25-string are shown. The traditional melody of the 12-string gayageum stands out, while the 25-string gayageum plays a harmonic melody. In ⓐ, the traditional scale of 12-string gayageum, the 5-note scale, is used, creating a downward melody in 4th, as the song develops around the D note. The chord progression is made up with the 5-notes cale. Similar melodic attributes and chords appear in ⓐ', ⓐ'', and ⓐ'''. In ⓑ, only 25-string gayageums play, creating a melodic contour of going up and down on I chord with some non-chord notes. The same melodic line in ⓑ is used in ⓑ', ⓑ'' as well, and altered chords are used in ⓑ''. In ⓒ, the 12-string and 25-string play the main melody in unison, while the other two 25-string gayageums show the melody in ⓑ part, using non-chord tones. In B, the 25-string gayageums play diverse melodies, visualizing images. ⓓ part is played with the 25-string and numerous non-chord tones are used, creating melodies based on the effect of the note figure and flow. The use of ⅵ#7 can be found in this part, and the effective role of melody is more noticeable. In ⓐ'''', one can observe upward movement in ¾ and downward movement in 4/4. This part develops the melody of the first measure of ⓐ. Similar melodic lines as ⓓ appear in ⓓ', and the main melody is emphasized by playing in unison. The chord progression is more diverse compared to ⓓ. Repeated plucking in ⓓ develops in ⓓ'', and downward-upward-downward form of melodic line through the measures can be observed. C shows the melody of Yeombul dodeuri of Kim Juk Pa Hyangje Jul Pungryu, a traditional piece of 12-string gayageum, and the 25-string supports the melody with chords. In ⓔ, melody of the first movement of Yeombul dodeuri of Kim Juk Pa Hyangje Jul Pungryu appears, and the 25-string accompanies with chords built in fifth. In ⓕ, the 25-string plays the part 1 melody upward and downward within one beat, and then, the 12-string and the 25-string play in unison to emphasize the melody. The chord progression is I-IV-V-vi along with occasional use of non-chord tones. ⓔ' appears as it changes its beats of the melody in ⓔ. In ⓖ, the melody of the 12-string moves upward, while the melody variation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measure of ⓐ is played on I chord to present the theme of the song. Third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hythms are the following: in A, the beat irregularly changes in ⓐ. The basic quarter note rhythm divides into eighth notes in ⓐ', ⓐ'' and into the sixteenth in ⓐ''. sextupelt and thriplet type of rhythm is shown throughout ⓑ, ⓑ' and ⓑ''. In ⓒ, the main melody of the 12-string and the 25-string begins to be divided rhythmically, and the other two 25-string gayageums accompany the melody by using the ⓑ rhythm. In B, the significant part of ⓓ is the use of sextuplets, and sometimes it can be performed with two instruments. In C, the last part of rhythm in repeatedly shows the pattern. In ⓔ', 15/8 time and 9/8 time switch. During 9/8, the rhythms of ⓔ part are partially repeated. Also, in ⓕ, sixteenth note and the basic quarter note rhythm appear. In ⓖ, the 12-string gayageum plays ♪ notes for quarter notes, while the 25-string plays the whole note to provide the ending feel. The gayageum quartet “Song Hyang” by Kim Dae Sung exhibits the traditional 5-note scale and its technique, while using non-chord tones and rhythms with three of 25-string gayageums to create three-dimensional sou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방법 4 Ⅱ. 본 론 5 A. 작곡자 김대성의 음악적 배경 및 가야금 작품 경향 5 B. 가야금 4중주 <송향> 작품개요 9 1. 작품 해설 9 2. 악곡 구조 10 3. 조현법 및 연주법 11 C. 가야금 4중주 <송향> 악곡 분석 15 1. 선율과 화성 분석 15 가. A부분의 선율과 화성 분석 15 나. B부분의 선율과 화성 분석 30 다. C부분의 선율과 화성 분석 41 2. 리듬 분석 53 가. A부분의 리듬 분석 53 나. B부분의 리듬 분석 58 다. C부분의 리듬 분석 60 Ⅲ. 결론 64 참고문헌 68 부록악보 71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39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대성 작곡 가야금 4중주 <松香> 분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tical study on “Kim Dae-sung’s <Songhyang> for Four Gayageums”-
dc.creator.othernameSung, Ha Joo-
dc.format.pageviii, 98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