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대풍류의 선율 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대풍류의 선율 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elodic Patterns in Daepungryu : Focusing on the Melodic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채수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민속악 중 대풍류를 구성하고 있는 긴염불,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느린굿거리, 자진굿거리, 휘모리의 9개 악곡의 선율 구성을 해금 선율과 대금 선율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알아본다. 각 악곡의 선율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긴염불은 12장단 총 72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으며 유사선율은 34박이고 상이선율은 38박이다. 반염불은 6장단 총 36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12박이며 유사선율은 10박이고 상이선율은 10박이다. 삼현타령은 6장단 총 24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8박이며 유사선율은 12박이고 상이선율은 4박이다. 느린허튼타령은 12장단 총 48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은 나타나지 않으며 상이선율은 48박이다. 중허튼타령은 24장단 총 96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으며 유사선율은 4박이고 상이선율은 92박이다. 자진허튼타령은 24장단 총 96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으며 유사선율은 4박이고 상이선율은 92박이다. 느린굿거리는 13장단 총 52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2박이며 유사선율은 14박이고 상이선율은 36박이다. 자진굿거리는 13장단 총 52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6박이며 유사선율은 22박이고 상이선율은 24박이다. 휘모리는 비교 대상이 없는 26~33장단의 8장단 32박을 제외한 32장단 총 128박으로 구성된다. 동일선율은 28박이며 유사선율은 44박이고 상이선율은 56박이다. 대풍류 전체의 선율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풍류 9개 악곡 중 비교 대상에 속하는 142장단 총 604박에서 동일선율은 56박이며 유사선율은 148박이고 상이선율은 400박이다. 각 악곡을 구성하는 선율형의 비율을 보면 대풍류 전체에서 동일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은 악곡은 반염불이며 유사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은 악곡은 삼현타령이고 상이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은 악곡은 느린허튼타령이다. 선율 악기인 해금과 대금은 크게 보면 비슷한 선율로 진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음악 내에서 각 악기의 특성을 살려 다르게 연주된다. 해금이 한 음정을 긴 박자로 연주한다면 이 때 대금은 보다 세분화된 선율로 진행하고, 각 악기가 리듬의 분할을 사용하거나 잔가락, 꾸밈음 등을 구사하여 서로의 공백을 메꾸면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곡을 완성한다. 이상으로 대풍류의 선율형을 분석한 결과 상이선율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아 해금 선율과 대금 선율의 선율적 흐름은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연주자들이 대풍류 선율을 연주함에 있어 실제적인 연주의 악곡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lodic patterns appeared in Daepunryu—a total number of nine pieces, including Ginyeombul, Banyeombul, Samhyeontaryeong, Neurinheoteuntaryeong, Jungheoteuntaryeong, Jajinheoteuntaryeong, Neuringutgeori, Jajingutgeori, and Hwimori—focusing on the melodic relationship between haegeum and daegeum. In this study, the melodic pattern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dentical, similar, and contrasting. The composition of melodies in each pieces are as follows. Ginyeombul consists of total 72 beats in 12 jangdan. It shows no identical melody while there are 34 beats of similar melodic patterns and 38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Banyeombul consists of total 36 beats in 6 jangdan. There are 12 beats of identical, 14 beats of similar, and 10 beats of contrasting melodies. Samhyeontaryeong consists of total 24 beats in 6 jangdan. It indicates that there are 8 beats of identical, 12 beats of similar, and 4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Neurinheoteuntaryeong has total 48 beats in 12 jangdan. Both the identical and similar patterns are not appeared and there are 48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Jungheoteuntaryeong consists of total 96 beats in 24 jangdan. It shows no identical melody, 4 beats of similar patterns, and 92 beats of contrasting patterns. Jajinheoteuntaryeong consists of total 96 beats in 24 jangdan. It shows It shows no identical melody, 4 beats of similar patterns, 92 beats of contrasting melodies. Neuringutgeori consists of total 52 beats in 13 jangdan. There are 2 beats of identical, 14 beats of similar, and 36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Jajingutgeori consists of total 52 beats in 13 jangdan as well. It shows 6 beats of identical, 22 beats of similar, and 24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Hwimori consists of total 128 beats in 32 jangdan except for the 32 beats in the 8 jangdan from 26th to 33rd jangda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comparison object. Identical melodic patterns are 28 beats, similar patterns are 44 beats, and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are 56 beats. Overall, there are total 604 beats with 142 jangdan in Daepungryu, and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re are 56 beats of identical melodic patterns, 148 beats of similar patterns, 400 beats of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The ratio of melodic patterns shows that Banyeombul has the highest of the identical melodic patterns, Samheontaryeong has the highest of the similar melodic patterns, and Neurinheoteuntaryeong has the highest of the contrasting melodic patterns among others. It seems that haegeum and daegeum play similar melodies throughout the pieces in general. The analysis, however, shows that they play different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For instance, daegeum plays a more detailed melody while haegeum maintains in a single tone. Each instrument tends to fill the gap using different rhythm segments, detailed melodies, and various ornamen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melodic patterns of haegeum and daegeum a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ince the contrasting melodic pattern i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one. This study also has implications about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mposition in practical performances of Daepungryu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