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Thomas Osborne 작곡 두 대의 해금과 장구를 위한 분석연구

Title
Thomas Osborne 작곡 두 대의 해금과 장구를 위한 분석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Thomas Osborne's for 2 Haegeums and janggu
Authors
안지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This thesis attempts to identify the strengths of Haegeum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outsider by subjecting Thomas Osborne’s Dancing with Shadows – for two Haegeums and Janggu – to research. It intends to analyze the flow and expression of the structure and the melody, and pinpoint some distinguishing musical factors, in order to observe how Osborne’s musical view has manifested itself in the piece. Also, this analysis is devoted to assisting actual performance of the piece. To those ends, a series of online correspondences with Osborne led to an understanding of his musical background and his view on Haege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n, the piece was re-structured into paragraphs, sections, and phras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melody.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the piece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format, its development of melody and its expression by Haegeum. Next, the distinguishing musical factors identified in the analysis was summariz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Osborne’s musical view in this piece. First, Dancing with Shadows, a piece comprised of 10 parts from [Intro] to [I]], was divided into paragraphs Intro, I, II, and III according to their tempo and flow of melody. The piece has an A-B-A′ structure in which the piece begins slowly, gradually increases pace, and finally returns to its pace in the beginning, re-producing the melody in [Intro]. Second, the format of this piece instructs the 2nd Haegeum to imitate the 1st Haegeum, engendering an atmospheric upsurge by increasing the tempo by reducing the imitation interval in the order of 4 quarter, 3 quarter, 2 quarter, a dotted-quarter, a quarter, a dotted-8th, an 8th notes. Third, the jang-gu rhythmically supports the melody of haegeum, while the 2nd haegeum imitates the 1st haegeum with a time lag, in order to depict an object and a shadow. The two haegeum melodies appear to be in a horizontal monophony. Moreover, in this piece, haegeum’s unique traits are expressed through various widths of vibrato, upward and downward glissando, c technique, technique, and appoggiatura. It also employs tenuto, staccato, accent, crescendo, decrescendo in order to diversify the melody. Fourth, Osborne’s musical view on haege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is piece reveals itself in the format and the development of melody. The interval of imitation decreases as the piece accelerates; this is a ‘hanbaee ttareun hyeongsik’(한 배에 따른 형식) combined with the ‘imitative musical form.’ The musical idea behind the oscillating tempo can be found in sanjo(산조). In addition, making the melody ornate by pulling the strings – thereby decorating the melody with vibrato, sigimsae(시김새) and glissando – is a technique commonly found in monophonic development of melody. At the same time, such techniques underscore the unique tone and expression of haegeum. Osborne developed his motive and merged western composition concept and skill like ‘canon’ with the Korean pentatonic scale, sanjo-resemblant 'hanbaee ttareun hyeongsik'(한 배에 따른 형식), and ornate expressions based on traditional haegeum performance technique. Simultaneously, Osborne successfully highlighted the unique tone color and expressions which is internalized in the structure of a haegeum. Interviewing Osborne and studying Dancing with Shadow yielded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haegeum-related musical creation is the unique tone and expression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a haegeum. More music capitalizing on such unique features of a haegeum should be produced. Also, by directing academic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foreign composer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thesis is dedicated to informing composers from around the world of haege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o expanding their scope in the era globalization. ; 본 논문은 한국음악의 문화적 외부인인 외국인 작곡가의 시각에서 한국전통악기 해금을 바라보고 그것의 강점을 찾는 시도의 일환으로, Thomas Osborne의 작품 “두 대의 해금과 장구를 위한 ”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구조와 선율의 흐름 및 표현을 분석하고, 분석결과 나타나는 특징적인 음악적 요소를 토대로 한국음악과 해금에 대한 Thomas Osborne의 견해가 작품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작품의 실제 연주에 도움을 주는 데 본고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homas Osborne과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그의 음악적 배경 및 한국음악과 해금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였고, 를 선율변화에 따라 단락 ․ 부분 ․ 악구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구조화한 후, 작품의 형식과 선율의 전개 및 해금의 표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작품 분석 결과 나타나는 특징적인 음악적 요소를 정리하여 본 작품에 드러나는 한국음악과 해금에 대한 Thomas Osborne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첫째, [Intro]부터 [I]까지 총 10부분으로 구성된 는 템포와 선율흐름에 따라 [Intro]와 Ⅰ․Ⅱ․Ⅲ단락으로 나뉘고,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빨라졌다가 다시 처음의 느린 템포로 돌아와 [Intro]선율을 재현하며 곡을 마무리하는 A-B-A′의 구조를 갖는다. 둘째, 는 제 2해금이 제 1해금의 선율을 그림자처럼 매우 유사하게 모방하는 형식이며, 점차 템포를 빠르게 하면서 4분음표를 기준으로 4박 ․ 3박 ․ 2박 ․ 1박 ․ 3/4박(점8분음표) ․ 1/2박(8분음표)로 모방간격을 줄여 선율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셋째, 본 작품에서 장구는 해금선율을 리듬적으로 보강하고, 제 1해금과 제 2해금은 물체와 그림자를 형상화하며 선율을 표현한다. 두 파트는 좁은 간격으로 유사한 선율을 연주하므로 두 해금 선율은 수직적 관계를 이루지 않는 수평적인 단선율 진행으로 파악되고, 다양한 폭의 농현 ․ 상하행 glissando ․ c 주법 ․ 전성과 유사한 주법 ․ 앞꾸밈음 등을 사용하여 해금 특유의 음향적 색깔을 내며, 테누토 ․ 스타카토 ․ 엑센트 ․ crescendo 및 decrescendo를 사용하여 선율을 다채롭게 표현한다. 넷째, 본 작품에 드러나는 한국음악과 해금에 대한 Thomas Osborne의 견해는 악곡의 형식과 선율진행방식에 나타난다. 점점 빨라지면서 모방간격을 줄이는 악곡의 형식은 ‘모방형식’이 결합된 ‘한 배에 따른 형식’으로 파악되며, 점차 템포를 빠르게 하여 선율을 고조시켰다가 다시 느린 템포로 마무리하는 음악적 아이디어는 산조의 형식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해금이 줄을 역안하여 농현과 시김새 및 glissando진행으로 선율을 장식하는 방식은 한국 전통음악의 보편적인 선율전개방식인 단선적 선율진행방식을 상기시키고, 동시에 지판 없는 구조의 찰현악기인 해금 특유의 음색과 표현을 드러낸다. 이와 같이 Thomas Osborne은 오선지에 악보를 그리며 동기를 발전시켜 작품을 만드는 서양음악적인 작곡의 개념과 캐논과 같은 작곡기법에 한국음악적인 5음 음계, 산조와 유사한 한 배에 따른 형식, 해금의 전통주법에 기반한 장식적 표현을 접목하였고, 동시에 제재가 되는 해금의 악기구조상 나타나는 특유의 음색과 표현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자는 Thomas Osborne과의 면담과 를 분석한 결과, 해금을 소재로 한 창작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결국 해금의 구조 자체에서 오는 해금의 음색과 해금다운 표현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으며, 앞으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해금의 고유한 독창성을 드러내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나기를 바란다. 또한 한국음악 내 외국인 작곡가들의 활동에 대한 학문적 조명이 다양한 국적의 작곡가들에게 해금과 한국음악을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세계화 시대에 한국창작음악의 저변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