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순환-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creat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만 4세 학급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실행 연구로써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공립 유치원 만 4세 햇살반에서 실행됐으며, 연구 대상은 만 4세 22명, 장애 통합 유아 2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4년 7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다. 만 4세 유아의 또래 간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아 관찰과 학부모 상담기록을 분석하였다. 또한 1학기 교육과정을 점검하였으며 특수교사와 협의, 예비관찰, 문헌연구를 토대로 1차 방안을 마련하였다. 만 4세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상황별 다양한 의사표현과 의사주고받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지원하였다. 연구는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기간 동안 비디오 녹화, 사진,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외, 일화 기록, 또래상호작용 체크리스트, 교사 협의, 부모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 수집과 동시에 실행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자의 느낌이나 해석, 새롭게 알게 된 점을 관찰자 코멘트로 적으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범주화하고 코딩한 후 연구 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은 유아들이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활동을 선정하여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유치원의 다양한 상황을 표현한 동화를 활용하여 의사표현과 의사주고받기 기술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사는 유아들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반응적 상호작용을 지원하였다. 1차 방안을 평가한 결과, 또래 간 의사소통 상황이 동화 속 의사표현 상황보다 역동적이고 변화가 많아 구체적이고 대안적인 여러 의사표현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시 눈을 마주치며 대화하거나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고 반응하며 적절한 대답을 하는 의사주고받기가 잘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교사의 반응적 상호작용은 효과적이였으나 개별 유아에게 보다 심화된 상호작용 지원을 지속해나가는 것으로 방향을 모색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햇살반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유사하게 동화를 재구성하여 의사표현과 의사주고받기가 증진되도록 하였고, 교사는 개별 유아에게 심화된 반응적 상호작용 지원을 구체적으로 실시하였다. 둘째,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게 되었고, 소극적인 유아의 생각과 권리의 의사표현이 증진되었다. 친사회적 의사표현과 의사주고받기 기술이 증진되었으며 또래 갈등의 조정 및 대처 방안의 의사표현이 증진됨으로 또래 관계가 확대되고 이는 놀이 시간이 지속되고 확장되는 결과를 가지고 오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의사소통의 기초가 마련되도록 하였다. 또한 유치원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의사표현과 의사주고받기를 개별 유아의 의사소통 특성에 적절하게 지원하고, 교사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하여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는, 또래 간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유아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여러 맥락 안에서 분석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데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method to support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children in four-year-olds' classes at a public kindergarten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metho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method to support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2. How effective is the method to support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in 22 four-year-olds, including 2 mainstreamed children, in the Haessal Class for four-year-olds at a public kindergarten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from July 22 and November 30, 2014. The observations of the children and the parent counseling record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peer communication among four-year-olds and develop a method to solve them.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erm was examined to develop the primary scheme on the basis of consultation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ilot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With the objective of supporting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 method to help them perceive and express a variety of emotions and make diverse types of situation-based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nd teachers provided support with responsive interact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action, assessment of the first ac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action plan, the second action, and assessment of the second action and the final assessment. During the period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pisode records, the peer interaction checklist, teacher consultation, and parent interview data as well as through video records, photos, and field notes.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observer's comments about children's reaction to the actions, the researcher's feelings or interpretations, and new understanding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coded, and analyzed in terms of each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method to support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first action, activities that enabled children to perceive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were selected so that they could be responsive to their own feelings and to those of others in making expressions. Children's stories that contained diverse situations at a kindergarten were used to improve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teachers provided support with responsive interaction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taki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he assessment of the primary scheme suggested that they needed to acquire lots of specific, alternative expressions since peer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more likely to be dynamic and variable than those in children's stories. Some of the problems in communication were poor eye contact during conversation and the failure to listen carefully to others and make a reaction with an appropriate answer. While responsive interactions of the teachers were effective, an attempt was made to find a direction for continuing more intensive interaction support for individual children. In the second action, children's stories were reconstructed to resemble the situations in the Haessal Clas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first action assessment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nd teachers provided specific types of intensive responsive interaction support to individual children. Second, the method to support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had the following effects: They came to perceive and express various feelings and make better expression of their ideas and rights. They have got better techniques of pro-soci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nd became better at making expression to adjust and cope with peer conflicts, thereby expanding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making play time last and increase. This study intended to help young children perceive their own feelings and those of others and express them, which might form the basis of communication. Support was provided to make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hich they could use in a diversity of possible situations at a kindergarten, taking individual children'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and teachers helped them make positive peer communication by making responsive interactions continuous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peer communication in terms of young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in diverse contexts and helped them make positive commun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incumbent teachers in developing apractical method to help four-year-olds make positive peer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6 A. 의사소통 6 B. 또래관계에서 의사소통 10 Ⅲ. 연구방법 21 A. 실행 연구 21 B. 연구 대상 22 C. 연구 절차 26 D. 자료 수집 및 분석 34 Ⅳ. 연구 결과 36 A.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 36 B.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 방안이 미치는 효과 65 Ⅴ. 논의 및 결론 76 A. 논의 76 B.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6 부록 93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71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실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tion Research on the Support of Positive Peer Communication for Four-Year-Olds-
dc.creator.othernameKim, Min Ju-
dc.format.pageiv, 96 p.-
dc.contributor.examiner홍용희-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