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승희-
dc.contributor.author조미란-
dc.creator조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787-
dc.description.abstract제2언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필수 언어재료를 학습하여 해당 외국어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어 교육자들은 학습자가 목표언어를 발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말하기 연습 활동을 교수-학습 과정에 포함시킨다. 그런데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어 말하기 평가는 구두 평가 실시의 어려움과 지필 평가 채점의 편이성 때문에 구두 평가를 지필 평가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말하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수-학습과는 전혀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나아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평가제는 기존의 상대적 평가 방식이 아닌 학습자 개인이 학습목표에 도달한 정도를 판단하는 과정적 평가 방식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맞는 평가 방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말하기의 일회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전자 형식과 성취평가제에 부합하는 포트폴리오 방식이 결합된 전자포트폴리오를 말하기 평가에 적용하고, 그 결과가 중국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 연구는 서울 목동에 위치한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다.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를 적용한 집단과 교사와 1:1 구두 평가를 진행한 집단 간의 비교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학습자의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기초 설문지와 사전-사후 말하기 검사지 및 사전-사후 학습태도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말하기 평가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생활중국어> 말하기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말하기 평가 문항을 제작하고, 채점기준을 마련하였다. 실험 결과는 SPSS(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험 설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모집단 간의 유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말하기 본 평가에 앞서 말하기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다. 말하기 사전 검사에 대한 항목은 성모ㆍ운모ㆍ성조 및 어휘와 어법의 정확성, 그리고 말하기 유창성의 세 항목이다. 사전 검사를 진행한 다음, 네 차례의 말하기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정확성, 유창성, 이해도, 태도의 네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네 차례의 평가가 완료된 다음, 초반(初盤) 1차 평가와 종반(終盤) 4차 평가 측정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전 검사와 동일한 항목의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말하기 검사 결과 측정치의 차이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성취도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정의적 효과 분석의 경우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 처치 전에 흥미, 불안, 의사소통 의지의 세 항목에 대한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고, 처치 후에 사전 검사와 동일한 항목의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전-사후 검사 측정치의 차이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의적 영역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사후 말하기 검사의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를 적용한 집단이 발음과 성조, 어휘와 어법, 유창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말하기 1차ㆍ4차 평가의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를 적용한 집단이 운모의 정확성, 언어 표현력, 발화 속도, 발화시 적극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정의적 측면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흥미와 의사소통 의지는 향상되었고, 불안은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제2외국어 수업에서 말하기 평가가 갖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능력 개발을 도모하고자 전자포트폴리오를 말하기 평가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가 중국어 말하기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정의적 요소 개발을 위한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에 대해서는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기존의 결과적이고 지엽적인 말하기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보다 의사소통적인 말하기 평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Ultimate goal of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was to learn essential linguistic material and to make communication base with foreign language users. Foreign language educators should include speaking practice in teaching- learning process to let learners speak target language. Schools often evaluated foreign language speaking not by verbal but by paper- pen owing to convenient scoring. Learner's speaking was evaluated according to standards being different from teaching-learning despite cognition on importance of speaking. The achievement evaluation of 2009 revised curriculum required not relative evaluation but process evaluation that judged a learner's achievement of learning goal to ask for suitable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applied e-portfolio that satisfied with not only electronic system but also achievement rating to speaking evaluation, and discussed implications at schools of the Chinese language teaching. The subject was 186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Seoul to conduct test one semester. The study was based on comparative studies on both groups with e-portfolio speaking evaluation and groups with one to one verbal evaluation. Questionnaire of testing of learners' characteristics, questions of pre-test and post-test speaking and pre-test and post-test learning attitudes were used. The author produced speaking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speaking standards of 'Living Life Chinese Language' of 2009 revised curriculum to evaluate speaking, and prepared for standards of scoring. SPSS(Ver. 21.0) was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o verify similarity between populations, pretest was done prior to test of speaking. Pretest items included exactness of initial, vowel and intonation, use of vocabulary and grammar, and fluency of speaking. The study evaluated speaking four times in exactness, fluency, understanding and attitude. Then, the study evaluated difference between first one time evaluation measurement and fourth evaluation measurement. Lastly, the study conducted post test of same items of pretest, and investigated achievement of speaking of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y using difference of measurement. Pretest of three items, that is to say, interest, uneasiness and communication will, was done prior to evaluation of e-portfolio speaking, and then post test was done to test same items as pretest. Difference of measur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affective domain of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findings were: At comparison of scores of speaking of both pretest and post-test, group with portfolio speaking test significantly improved pronunciation, intonation, vocabulary, grammar and fluency. At comparison of scores of 1st to 4th term evaluation score, the group with e-portfolio speaking evaluation significantly improved exactness of vowel, linguistic expressions, utterance rate, and aggressiveness at utterance. Not only experimental group but also control group improved interest and communication will, and decreased uneasiness. In this study, e-portfolio was applied to speaking evaluation to solve problems of speaking evaluation at the 2nd language class, and to develop learners' Chinese language speaking ability. E-portfolio speaking evaluation had affirmative influence upon Chinese language speaking achievement. Further studies on evaluation of e-portfolio speaking were needed. Learner-oriented communication speaking evaluation free from resultant speaking evaluation wa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3 C. 연구방법 8 Ⅱ. 전자포트폴리오와 말하기 평가 10 A. 말하기 평가에 대한 이해 10 1. 말하기 정확성 평가 11 2. 말하기 유창성 평가 13 3. 말하기 이해도 평가 16 4. 말하기와 정의적 요인 17 B.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에 대한 이해 20 1. 포트폴리오와 전자포트폴리오의 개념 20 2.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절차와 방법 24 3.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평정과 채점 30 Ⅲ.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설계와 적용 32 A.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설계 32 1. 연구문제 32 2. 연구대상 34 3. 연구도구 38 B.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적용 41 1. 말하기 성취기준 41 2. 말하기 평가문항 44 3. 말하기 평가기준 51 Ⅳ. 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의 결과 분석 52 A. 말하기 성취도 분석 52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성취도 분석 52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정확성 분석 58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유창성 분석 67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이해도 분석 74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말하기 태도 분석 79 B. 정의적 효과 분석 82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의적 효과 분석 82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흥미 분석 83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불안 분석 85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 의지 분석 87 C. 실험집단 사후 설문 및 심층 면담 결과 분석 89 1. 실험집단 사후 설문 결과 분석 89 2. 실험집단 심층 면담 결과 분석 92 Ⅴ. 결론 94 참고문헌 97 부록 102 ABSTRACT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42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전자포트폴리오 말하기 평가를 통한 중학교 중국어 학습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earning effect of the Chinese Language in the Middle Schools by Rating of E-Portfolio Speaking-
dc.creator.othernameCho, Mi Ran-
dc.format.pageix, 140 p.-
dc.contributor.examiner신하윤-
dc.contributor.examiner모해연-
dc.contributor.examiner신승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