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바흐(J. S. Bach)의 오르간 작품 『Pastorale in F Major BWV 590』에 관한 연구

Title
바흐(J. S. Bach)의 오르간 작품 『Pastorale in F Major BWV 590』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ohann Sebastian Bach's Pastorale in F Major BWV 590
Authors
양수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성
Abstract
The Baroque period (1600-1750) marks the emergence of various instrumental music genres. Instrumental music gained independence from vocal music and began to be considered of equal importance. Especially, organ music underwent a significant development thanks to the greatest composer and organ player of this era,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Bach played a major role in leading the Baroque music to its peak, and he himself left numerous pieces of organ music while working as an organ player at churches in Arnstadt, Mülhausen, Weimar and Leipzig. He had exquisite composition and performance skills. Bach was also capable of blending his understanding of the organ’s structure in timbre. For that reason, he was requested to examine organs at a church, Neue Kirche, at his early age. Bach made every effort to solve any problems of the instruments and expand timbre. In addition, Bach appreciated foreign music and absorbed other composers’ merits into his own. This strength of Bach is well reflected in his works. Pastorale in F Major is classified as Pastorale, and it is a piece of organ music composed by Bach after the 1720s. In his book on Bach’s organ music, Peter Williams, an organ player and scholar, described Pastorale in F Major BWV 590 as having four movements. This study carried out analysis and research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Williams. Each one of the four movements has very distinctive beats and characteristics. The first movement is the only piece that has an independent pedal part, and it bes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astorale, including the lullaby-like mood, gentle melody, and long drone. The second movement has no independent pedal part but manifests distinguishing melody and long drone in the mist of various rhythms. The third movement is a form of homophony, in which a harmonic part accompanies the melody with splendid ornamentation. Last of all, the fourth movement demonstrates Bach’s distinctiv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akes the form of Fugue, in which its theme repetitively reappears at each part. Apart from thes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each movement also has features that enable the application of articulation and ornamentation techniques. Examples of the former are Legato, Staccato and Non-Legato, and those of the latter are articulation techniques such as mixed articulation, mordent, trill, pralltriller, and appoggiatura. Although Bach was a player fully capable of combining organ stops, he has left no explicit directions on registration for each movement. Hence, on the basis of Bach’s own musical instrument and timbre, this study has made suggestions including a combination of flute timbre and reed timbre, a contrast between principal timbre and flute timbre, solo timbre combining flute timbre and Quinte Tremulant timbre, and lastly principal registration with the help of the contemporary organ at Ewha Women’s University Kim Young Ui Hall. In conclusion, despite its shortness in length, the four movements of Pastorale in F Major well exemplify the Baroque period’s musical characteristics, various articulations and also splendid ornamentation. Furthermore, this music is a fine demonstration of the organ’s varied timbre.; 바로크 시대(1600-1750)는 기악음악이 성악으로부터 독립되어 많은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기악음악 장르가 생겨났던 시기였다. 특히 기악음악 중 건반악기에 속하는 오르간 음악은 이 시대 최고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가였던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를 통해 크게 발전하였다. 바흐는 바로크 시대의 음악을 절정으로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작곡가로 아른슈타트나(Arnstadt), 뮐하우젠(Mühlhausen), 그리고 바이마르(Weimar), 라이프치히(Leipzig) 등에서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일하면서 방대한 양의 오르간 작품을 남겼다. 그는 작곡이나 연주의 기술뿐만 아니라 오르간 설계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 어린나이에 노이에 교회(Neue Kirche)에 설치된 오르간의 검수요청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가 일하는 교회의 오르간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완되어야 할 음색의 확장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바흐는 다른 나라의 음악 특징과 다른 작곡가들의 뛰어난 점을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여 발전시키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특징들은 그의 작품에 잘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Pastorale in F Major BWV 590』은 파스토랄레의 명칭을 갖는 작품으로 1720년 이후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 S. Sadie and J. Tyrrell,『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nd ed』(New York: Grove, 2001), p.364. 오르간 작품이다. 학자이자 연주가인 피터 윌리엄스(Peter Williams)는 바흐의 오르간 작품에 관한 도서 에서 『Pastorale in F Major BWV 590』을 4개의 악장으로 표현했는데 본 논문에서도 이 책에 근거하여 4개의 악장으로 나누어 분석, 연구하였다. 4개의 악장은 각각 다른 박자에 기초하면서 서로 다른 성격을 갖는다. 1악장은 4개의 악장 중에서 유일하게 독립된 페달 성부를 갖는 곡으로 긴 지속음과 부드러운 선율 등 파스토랄레의 음악 특징들을 잘 표현하고 있다. 2악장은 독립된 페달성부는 없지만 다양한 리듬 속에 나타나는 선율과 긴 지속음이 특징인 곡이다. 3악장은 화려한 장식음이 돋보이는 선율을 화성적인 다른 성부가 반주하는 형태인 호모포니(Homophony)의 성격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4악장은 주제가 각 성부에서 모방되어 나타나는 푸가의 형식으로 바흐의 음악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곡이다. 이 외에도 각 악장은 레가토(Legato)와 스타카토(Staccato) 그리고 논 레가토(Non-Legato), 혼합 아티큘레이션(Mixed Articulation)과 같은 다양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과 모르덴트(Mordent), 트릴(Trill), 프랄트릴러(Pralltriller), 아포지아투라(Appoggiatura)와 같은 장식음(Ornamentation)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흐는 음색을 능숙하게 조합할 줄 아는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다른 작품처럼 각 악장에 음색조합에 대한 지시를 따로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가 사용했던 악기와 음색을 기초로 이화여대 김영의홀에 설치된 현대 오르간에서 플루트(Flute)계열의 음색과 리드(Reed)음색의 조합, 프린시팔(Principal)음색과 플루트음색의 대비, 그리고 플루트 음색과 크뷘테(Quinte) 트레뮬란트(Tremulant)를 조합한 솔로음색과 플루트, 프린시팔 계열의 음색조합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Pastorale in F Major BWV 590』은 짧은 길이를 갖는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바로크 시대의 음악특징과 다양한 아티큘레이션 그리고 화려한 장식음이 4개의 악장을 통해 다양하게 잘 나타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르간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다양한 음색을 보여줄 수 있는 곡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