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김성은-
dc.creator김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2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03-
dc.description.abstract작문을 시작하기 전 계획 및 탐색을 하는 과정은 기억을 찾고, 개념을 형성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구조를 구축함과 동시에 과제 유형과 목적, 독자 및 언어 자체로부터 부과되는 여러 제약들을 모두 감당하며 처리해야 하는 수고스러운 작업이다(Flower & Hayes, 1980).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제 2언어 작문일수록 더 힘겨울 수 밖에 없고 목표어 능숙도가 초보 수준인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제 2언어 작문의 어려움과 부담을 해소할만한 쓰기 전략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쓰기 선행 활동을 모국어로 하는 것과 목표어로 하는 것이 작문의 결과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비교하여 중학생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쓰기 전략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 47명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쓰기 선행 활동을 진행하는 집단과 영어로 쓰기 선행 활동을 진행하는 집단을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두 집단의 사전 작문 실력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평가 외에 한 차례의 본 실험 작문을 통해 집단 간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다. 쓰기 선행 활동으로는 그래픽 조직자 활동이 선정되었고 본 작문 과업은 개인적 이야기체 글 쓰기로 두 집단이 동일한 조건하에 실시되었다. 또한 작문을 마친 후에는 사후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쓰기 선행 활동에서의 사용 언어에 대한 두 실험 집단의 정의적 태도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실험 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점수 및 집단 간 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의 사전•사후 결과의 구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 집단 간에는 내용 영역에서 통계적 유의값에 근사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점수를 살펴보면 집단 내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뿐만 아니라 집단 간의 점수에서도 총괄적 점수를 비롯한 내용, 구성, 언어사용, 유창성의 평가 영역에서 한국어 쓰기 선행 집단의 점수가 더 크게 향상되었고, 영어 쓰기 선행 집단의 점수보다 앞섰다. 즉, 학습자들이 영어보다 한국어로 쓰기 선행 활동을 하였을 경우에 내용과 구성 측면을 중심으로 더 좋은 작문 결과가 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상•하위 수준별로 두 실험 집단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하위 수준의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구성 점수와 영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내용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는 상•하위 수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점수상으로는 집단 내 점수 변화 및 집단 간 점수의 차이에서 학습자 수준에 상관없이 전 평가 영역에서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특히 내용 영역에서 상•하위 수준 모두 집단 간 점수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두 실험 집단의 작문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을 때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은 한국어 계획을 토대로 영작문에서 내용이 추가되어 어휘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글의 길이가 과제 요건을 충족하는 편인 반면에, 영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은 계획 단계에서 썼던 영어 문장을 그대로 본 작문에 옮김에 따라 문장이 단문 중심으로 단조롭고 내용이 빈약하고 짧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매끄럽지 못한 편이었다. 한편 사후 설문 조사 실시 결과,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이 영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로 내용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나머지 설문 영역인 글의 구성과 언어사용 측면과 사용 언어에 대한 만족도, 자신감, 필요성의 측면에서도 상•하위 학습자 수준에 상관없이 한국어 쓰기 선행 활동 집단이 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로 쓰기 선행 활동을 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쓰기 선행 단계에서의 한국어 사용이 한국 중학생 학습자들의 작문 수행에 있어서 인지적으로도 정의적으로도 유용하다는 것이다. 제 2언어 작문에 있어 모국어는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매우 유용한 인지적 매개 도구로서,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이 크게 부과되는 내용 생성 및 계획 단계에서 사용될 시에 제한된 작업 기억 용량의 과부하를 막고 제 2언어 작문의 언어적 처리에만 치우치는 경향을 제지하여 내용, 구성, 수사적 요소 등을 살필 수 있는 여유를 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모국어로 계획한 후 작성한 글은 내용, 구성 측면뿐만 아니라 문장의 복잡성을 포함한 언어사용 면에서도 더 나은 작문 결과를 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듯이,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결과의 연속선상에서 쓰기 선행 단계에서의 모국어 사용의 유용성을 뒷받침해주며, L2 작문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에서 모국어의 사용을 막연히 배제할 것만이 아니라 모국어의 역할 및 효과를 이해하여 적재적소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지도할 것을 시사한다. L2로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되는 것은 L2 사용 능력 한가지만 갖추는 것이 아닌, 학습자에게 이미 내재화된 모국어와 함께 인지상 두 언어를 효과적으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는 작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L2 작문에서 중요한 인지적 자원으로 쓸 수 있는 모국어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Writing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s for students since it demands a highly complex process involving a number of cognitive and linguistic skills (Scardamalia & Bereiter, 1986). The pre-writing stage of the composing process is especially a difficult stage in that writers must search memories, form concepts, organize ideas, while they juggle all the aspects of task purpose, audience and language itself (Flower & Hayes, 1980). The process is all the more challenging for EFL students, who are still struggling to gain control over a new language. Yet the pre-writing st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as the first step in the writing process it affects the whole writing process and often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tudents’compositions. Therefore, a strategy is needed to successfully undergo the prewriting process in order to produce a successful L2 final product. Using one’s mother tongue in prewriting process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FL students so that they can reduce the burden of dealing with a number of cognitively demanding processes and get help from L1 knowledge. The study is, therefore, to compare the effects of native language use and target language use during prewriting activit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quality of L2 compositions and affective attitude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language (L1 or L2) is preferable for prewrit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7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Korean and English prewriting groups, and a pretest and a writing test were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 for the both groups. Graphic organizers were chosen for a prewriting activity and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complete the prewriting activity using L1 or L2 for their groups before composing in the L2. After composing,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tudents’attitudes on the effects of the languages they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pretest and posttest within a group and the scores of posttests between the groups, the Korean prewrit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organization of the posttest, and revealed near-statistically higher scores in content compared to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Lacking in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Korean prewriting group’s writing scores not only had improved more than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but also exceeded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in the all evaluation areas of overall impression, content, organization, language use, and fluency. Secondly, when comparing the scores’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students’high and low L2 proficienc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the organization scores of the low proficiency Korean prewriting group and within the content scores of the low proficiency English prewriting group, but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statistically on the scores of both high proficiency groups and low proficiency groups. Leaving the statistical meanings aside, the scores of the Korean prewriting group turned out higher consistently than those of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in the all areas of evaluation, regardless of the students’proficiency. Besides, the gap betwee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especially higher in content both for high proficiency groups and low proficiency groups. Moreover, in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both groups’written products, the Korean prewriting group used to add more information based on their L1 plans and use multiple vocabularies as well as complex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tended to copy and combine the exact English sentences they made for their English planning, which resulted in rather poor content and organization with short and simple sentences. Lastly, in the results of the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the Korean prewriting group answered that using Korean during prewriting activity was helpful in terms of cont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they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e English prewriting group about helpfulness of L1 prewriting in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as well as about satisfaction, confidence, and necessity of the L1 use in prewriting activity regardless of L2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e positive effects of native language use during prewriting activities both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written products and affective domains. As an important cognitive resource, L1 can help particularly inexperienced L2 writers to generate ideas more fluently and concretely, and give them extra cognitive capacity to be used for the overall features of the text including content and organization not just for linguistic considerations.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teachers to acknowledge the instrumentality of L1 on L2 writing process and allow students to employ L1 strategically for the challenging task of L2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A. 쓰기 선행 단계 5 1. 쓰기 선행 단계의 정의와 중요성 5 2. 쓰기 선행 단계에서의 그래픽 조직자 활용 7 B. L2 작문에서의 L1 사용 11 1. L2 작문의 특징 11 2. L2 작문에서의 L1 사용 양상 15 3. L2 작문에서의 L1 사용 역할 및 효과 20 C. 쓰기 선행 단계에서의 L1 사용과 L2 작문에 관한 선행 연구 21 III. 연구 방법 27 A. 연구 질문 27 B. 연구 대상 28 C. 연구 자료 29 1. 사전 작문 평가지 및 실험 작문 평가지 29 2. 쓰기 선행 활동용 그래픽 조직자 자료 30 3. 사후 설문지 32 4. 작문 평가 채점 기준표 33 D. 연구 절차 35 1. 실험 이전 절차 35 2. 실험 활동 절차 37 3. 실험 이후 절차 38 E. 연구의 제한점 39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A. 영어 작문 결과 분석 41 1. 집단 내 영어 작문 점수의 변화 및 집단 간 차이 비교 41 2. 상ㆍ하위 수준별 집단 내 작문 점수의 변화 및 집단 간 차이 비교 47 B. 쓰기 선행 활동 사용 언어에 대한 정의적 태도 분석 60 1. 언어별 집단 간 정의적 태도 비교 60 2. 상ㆍ하위 수준별 집단 간 정의적 태도 비교 62 3. 개방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65 V.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3 부록 79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608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쓰기 선행 활동 사용 언어가 중학생의 영어 작문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Prewriting in L1 and L2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2 Composition and Attitudes-
dc.creator.othernameKim, Seong Eun-
dc.format.pageviii, 102 p.-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양혜순-
dc.contributor.examiner최연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