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시영-
dc.contributor.author김미혜-
dc.creator김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798-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to develop the ability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to use them in an integrated way. Nevertheless, most English clas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 focus more attention to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rather tha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However, developing writing skills is the most challenging part for students because of affective factors such as a lack of confidence. In writing class, one of the writing tasks is summarizing. However, teachers can notice that many students make a summary by copying from the original text, even though they fully understand the main idea of the passage.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qua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need to paraphrase which refers to express in their own way. Moreover, many Korean students who study abroad struggle to perform academic writing using other sources because most of them have never learned how and why they should paraphrase when borrowing texts from other sources. Therefore, the paraphrasing skill needs to be learned in a concrete and step-by-step way so that students develop the writing ability and avoid plagiarism 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collaborative writing skills will reduce writing anxiety among students and encourage interaction with peer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paraphrasing writing on English paraphras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63 thir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divided into three groups―individual,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The individual group was implemented as teacher-centered writing with whole class and two collaborative groups were implemented as student-centered writing with small group consisting of similar proficient members or different proficient memb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individual group and homogeneous group revealed improvement in their paraphrasing writing skill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conciseness. The heterogeneous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ask completion, conciseness and organization. The collaboration with different leveled students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reading text and the tasks better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ask completion among three groups. The finding was that the heterogeneous group obtain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other groups, which indicates that collaboration with students who have different writing proficiency helps each other more effectively when they are engaged in tasks. Second, in terms of the students' paraphrasing writing ability level,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er level group, but the lower level group presen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ask completion, organization, and sentence-reformulation aspects. On a closer view, the individual group improved their paraphrasing ability in task completion, quality and conciseness of content, and organization; the heterogeneous group improved in task completion, quality and concisenes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sentence-reformulation; the homogeneous group improved task completion and conciseness of conten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collaboration with different levels is a more helpful way to complete the challenging tasks like paraphrasing for lower levels in particular. Furthermore, the lower level students among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completion, organization and sentence-reformulation, especially in the heterogeneous group. This illustrate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with different writing proficiency abilities is the effective grouping method for lower level students so as to complete the tasks, organize sentences smoothly and improve their grammar skills. Third, with regard to affective factors, the heterogeneous group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interest of English learning as well as individual group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difference in the aspect of effects of paraphrasing. Overall, all three groups revealed the increase of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and the two collaborative group showed a higher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an before the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result among three groups after the experimen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of English learning and then, heterogeneous group revealed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other groups. This illustrates that collaborative writing with peers who have different writing proficiency leads students to change their affective attitudes toward language learning and writing positively. Fourth, the result of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showed that higher level students changed positively with regard to the motivation and confidence of English learning as well as motivation of English writing.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higher levels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er levels, paraphrasing individually was quite difficult for them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difference in the interest of learning English and the effects of paraphrasing. Therefore,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different leveled students has contributed to the raise in interest, motivation, confidence of English acquisition and English writing. In particular, the lower level students have accomplished the strongest motivation, which proves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encourage motivation and interest for them. Finally, the in-depth questionnaires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found that both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hile the higher proficient students slightly prefer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students who have the similar paraphrasing writing ability, the lower proficient students prefer to work with peers who consist of different levels. Both collaborative groups presented positive results because they could share their ideas or opinions, which made them comprehend more easily and achieve an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In conclusion, the collaborative writing in paraphrasing tasks can be applied to English classroom so as to give students a plenty of writing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writing a better summary which requires the use of appropriate words and the transformation of sentences maintaining the meaning of the reading passage. Moreover, collaborative writing can be the best alternative to make language learners engage in writing itself as considering learners' affective factors on writing. Therefore, further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classrooms with a variety of writing types, grouping method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interact actively with peers and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영어 학습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 쓰기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영어 교사가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교실 현장에서는 쓰기 교수 지도와 피드백 제시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강연경, 2009; 김성연, 2014; 양만섭, 손영귀, 2009).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 보다 현실적인 쓰기 교수-학습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영어쓰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흥미를 가지고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위한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쓰기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흥미를 부여하기 위해 협력쓰기학습을 제안하고, 읽기와 통합 교수로서 원문을 자신만의 언어로 변형하여 표현하는 바꿔쓰기 기술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 바꿔쓰기 협력활동에서 집단구성방식이 영어 바꿔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분석하여 중학교 학습자에게 유용한 쓰기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상위 수준의 중학교 3학년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한 교사주도의 개별쓰기집단과 4명의 상이한 쓰기능력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된 이질 소그룹 협력쓰기집단, 유사한 쓰기능력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된 동질 소그룹 협력쓰기집단에게 영어 바꿔쓰기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의 바꿔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모든 활동은 사전·사후 바꿔쓰기 평가 점수를 분석하여 집단 내 변화를 살펴보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실험 후 사후 심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영어 바꿔쓰기와 협력활동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내 사전·사후의 영어 바꿔쓰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개별쓰기집단은 내용의 간결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이질 소그룹 협력쓰기집단은 과제완성과 내용의 질과 간결성, 구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드러냈다. 그리고 동질 소그룹 협력쓰기집단의 경우 내용의 간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사후 집단 간 쓰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과제완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일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이 중 이질 소그룹집단의 평균이 개별집단과 동질 소그룹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하위 수준별로 집단 내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시, 상위 수준의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하위 수준의 집단은 과제완성과 구성, 문장 재구조화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그 중 개별쓰기집단의 경우 과제완성과 내용의 질, 간결성, 구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고, 이질 소그룹집단의 경우 과제완성, 내용의 질, 간결성, 구성, 문장 재구조화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드러났으며, 동질 소그룹집단의 경우 과제완성, 내용의 간결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집단 간 사후 바꿔쓰기 능력에서 상위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하위집단은 과제완성과 구성, 문장 재구조화 영역에서 이질 소그룹집단과 다른 두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세 집단 내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질 소그룹집단은 모든 정의적인 태도 항목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영어학습의 흥미도 영역에서는 이질 소그룹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발견되었고 영어 바꿔쓰기 효과 영역에서 개별쓰기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나 바꿔쓰기 활동 후 세 집단 모두 영어쓰기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 영어 바꿔쓰기에 대한 흥미를 보였고, 소그룹 협력학습을 통하여 전반적인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 세 집단 간의 정의적 태도의 변화 측면에서는, 영어학습의 흥미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이질 소그룹집단의 평균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이질적인 수준의 학습자들이 협력활동을 수행하면서 영어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상·하위 수준별 세 집단 내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의 변화 측면에서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은 영어학습의 동기, 자신감, 영어쓰기의 동기 영역에서 소속 집단에 상관없이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이에 관해 사후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쓰기 능력이 높은 집단인 경우 집단의 구성 방식과 상관없이 정의적 태도가 비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 변화는 개별쓰기집단의 경우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영어 바꿔쓰기에 대한 효과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 이질 소그룹 집단의 경우 영어쓰기의 자신감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로 부정적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이질 소그룹집단의 하위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동기, 자신감, 그리고 영어쓰기에 대한 흥미와 동기 영역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발견되었고, 특히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하위 수준의 세 집단 간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결과적 측면에서는 영어학습의 흥미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상위 수준의 학습자로부터 도움을 제공받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이 하위 수준의 학습자를 영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로 이끄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두 실험집단의 협력학습에 대한 설문 및 사후 심화 설문의 결과를 살펴보면, 협력학습과 협력쓰기 선호도 영역의 경우 이질 소그룹과 동질 소그룹집단,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꿔쓰기와 협력쓰기 활동, 집단구성방식에 관한 사후 심화설문의 결과를 살펴보면, 두 실험집단 모두 협력활동에 대하여 다른 동료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제 이해도가 상승했으며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 상승 및 동기부여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가장 많았다. 반면 일부 학습자들은 참여부족으로 구성원들의 비협조, 지나치게 자유분방한 분위기 등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 외에도 집단구성 방식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서는 학습자 자신이 경험한 집단의 구성방식이외의 다른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협력쓰기 활동 사후 설문을 통해 얻은 수정 및 보완점으로 모든 학생의 참여 유도의 필요성과 더 쉽고 흥미로운 자료의 구성, 충분한 시간확보에 대한 의견 등을 수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영어 바꿔쓰기 협력활동에서 집단구성방식이 중학교 3학년 학습자의 영어 바꿔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어쓰기 교육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학교 학습자에게 다소 낯선 바꿔쓰기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지문을 읽고 이미 습득했던 어휘와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해보는 활동을 통해 글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쓰기, 어휘, 문법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협력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 간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쓰기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여 협력쓰기 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구성방법과 교사의 개입 정도, 읽기와 통합된 쓰기활동 개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A. 영어 바꿔쓰기 4 1. 영어 바꿔쓰기의 개념 4 2. 영어 바꿔쓰기 지도의 필요성 7 B. 협력학습 10 1. 협동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10 2. 협력쓰기의 필요성 및 효과 13 C. 선행연구 17 1. 영어 바꿔쓰기에 관한 선행연구 17 2. 협력쓰기에 관한 선행연구 23 Ⅲ. 연구방법 30 A. 연구 질문 30 B. 연구대상 및 기간 31 C. 연구 자료 34 1.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지 34 2. 사전·사후 영어쓰기에 대한 설문지 35 3. 실험 활동지 37 4. 작문 평가 채점 기준표 38 D. 실험 절차 39 1. 실험 이전 절차 40 가. 사전 평가와 사전 설문 실시 40 나. 집단 간 바꿔쓰기 능력 동질성 검증 40 다. 상·하위 집단별 바꿔쓰기 능력 동질성 검증 41 2. 실험 활동의 절차 43 가. 쓰기 전 활동 44 나. 쓰기 활동 48 다. 쓰기 후 활동 55 3. 실험 이후 절차 57 가. 사후 평가와 사후 설문 및 사후 심화 설문 실시 57 나. 자료 분석 58 E. 연구의 제한점 6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2 A. 협력쓰기가 영어 바꿔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62 1. 집단 내 사전ㆍ사후 영어 바꿔쓰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62 2. 상·하위 수준별 집단 내 영어 바꿔쓰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66 B. 정의적 태도 분석 71 1. 사전·사후 설문지 분석 71 가. 집단 내 정의적 태도의 변화 및 집단 간 변화 비교 72 나. 상·하위 수준별 집단 내 정의적 태도의 변화 및 집단 간 변화 비교 75 2. 실험집단의 사후 심화 설문지 분석 82 가. 실험집단 간 사후 정의적 태도 비교 82 나.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 간 사후 정의적 태도 비교 83 다. 실험집단의 심화 설문지 응답결과 분석 85 Ⅴ. 결론 및 제언 92 참고문헌 100 부록 105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26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영어 바꿔쓰기 협력활동에서 집단구성방식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바꿔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Grouping Method in the Collaborative Paraphrasing Writ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Paraphrasing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s-
dc.creator.othernameKim, Mi Hye-
dc.format.pagexi, 128 p.-
dc.contributor.examiner최연희-
dc.contributor.examiner양혜순-
dc.contributor.examiner박시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