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과업 복잡성 및 글 유형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과업 복잡성 및 글 유형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and Text Type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uthors
마나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영어는 국제어로서, 현대인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의사소통 도구이다. 특히, 인터넷과 이메일 등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 쓰기 능력에 대한 교육과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영어 능력 평가 시험들은 쓰기 영역을 추가하고 있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수학능력평가 시험의 듣기와 읽기 교육에 치중되어 있다. 게다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쓰기 과업을 선정하여 순서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Robinson(2001b)의 과업 복잡성 개념을 토대로 계획시간 및 글의 구성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여 선행 지식을 조절하였을 때 학습자의 글쓰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 현장이나 평가 영역에서 자주 활용되는 글 유형은 논설문이지만 영어를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쓰기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논설문이 아닌 다른 유형의 글을 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현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교육되고 있는 논설문과 더불어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야기체 글을 활용하여 과업 복잡성을 달리한 쓰기 과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글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 3개 학급,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전 글쓰기 능력 평가를 실시한 후에 학급별로 과업 복잡성의 정도를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과업 복잡성이 높은 순으로 계획을 세우지 않고 바로 40분간 작문을 시작하는 조건, 10분간 계획을 세우고 30분간 작문을 하는 조건, 10분 계획을 세울 때 글의 구성을 도와주는 도형 자료가 제공된 뒤 30분간 작문을 하는 조건으로 단계적으로 나누고, 각 조건은 다시 논설문과 이야기 체 글의 두 가지 글 유형으로 나뉘어 총 6개 집단으로 구성된다. 실험을 마친 후, 과업 복잡성과 글 유형이 작문의 유창성, 정확성, 그리고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인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더불어 채점 기준표를 토대로 작문의 내용, 구성, 그리고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업 복잡성 별로 비교하였을 때, 유창성 측면에서는 분당 단어 수와 분당 T단위 수는 과업 복잡성이 낮아지면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확성 측면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과업 복잡성이 낮아지면서 다소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복잡성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T단위당 절 수와 T단위당 종속절 수와 같은 구문적 복잡성은 도형 자료를 제공하는 집단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어휘적 복잡성은 전체적으로 계획시간만 있는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편, 글 유형 별로 유창성 항목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이야기체 글은 짧은 문장들 위주로 글을 많이 썼으나, 논설문은 종속절의 사용이 많아 비교적 긴 문장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확성 측면에서는 과업 복잡성과 글 유형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이야기체 글이 정확성이 다소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복잡성 측면에서는 논설문이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문들을 사용하고 있고, 어휘적으로도 어휘 밀집도가 높게 나타났다. 과업 복잡성에 따라서는 논설문은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과업 복잡성이 낮아짐에 따라 언어의 복잡성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야기체 글은 계획을 세우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다소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채점 기준표를 활용하여 채점한 내용, 구성, 언어 사용 측면에 대해서는 논설문인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과업 복잡성이 낮아짐에 따라서 평가 결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야기체 글의 경우에는 내용과 구성 측면에서는 계획을 세우지 않은 조건의 집단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계획을 세우면서 글의 구성을 도와주는 도형 자료를 제공 받은 조건도 높게 나타났으나, 계획을 세우고 도형 자료를 제공 받지 않은 조건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언어 사용 측면에서는 계획을 세우지 않은 조건의 집단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그 다음으로 계획을 세우나 도형 자료를 제공 받지 않는 조건의 집단이, 그리고 계획을 세우면서 도형 자료를 제공 받는 조건의 집단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논설문을 작문하는 경우 계획을 세우고 글의 구성을 도와주는 자료가 제공되면 그것을 활용하여 더 좋은 작문 결과를 쓰게 되는 반면, 이야기체 글인 경우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 고등학교의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작문 교육을 진행할 때에는 글의 유형에 따라서 쓰기 전 과업이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배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학적 고민이 더 필요하다. 또한 후속 연구로 계획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글 유형에 맞는 도형 자료 개발과 함께 이를 학습자 능력별로 비교하여 검토해보는 실험도 도움이 될 것이다.;English is an essential language for L2 learners to communicate in this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mong the four functions of a language, writing has become very important as most of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or e-mail need writing skills. Various English proficiency tests like TOEFL or TOEIC include the test of written English, and a growing number of companies also require job applicants of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The education setting in Korea, however, still places too much emphasis on listening and reading to prepare students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addition, it is not an easy job for teachers to select and sequence the appropriate writing tasks for the language learners. In this respect, Robinson(2001b) claimed that pedagogic tasks should be sequenced for learners on the basis of increases in their cognitive complex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writing abilities. Task complexity in this research was manipulated with respect to availability of the planning time and provision of an assistance material. In addition, this study employed two different types of writing, narrative text and argumentative text, to compare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in pre-writing task on the result of these two types of writing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differentiated planning time and an assistance material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and narrative writing 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gular classes for two week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101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which are differentiated in task complexity. As a pretest,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descriptive writing to test their English proficiency. After this test, they were divided into 6 groups which differ in task complexities and writing types. The task complexity was highest in a condition without any planning time and 40 minutes of writing time, and second highest in a condition with 10 minutes of planning time and 30 minutes of writing time, and finally lowest in a condition with 10 minutes of planning time with an assistance material and 30 minutes of writing time.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ext types of writing, the argumentative text and the narrative text.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ritings were measured in the aspect of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and also evaluated in the aspect of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luency measures, words per minute and T-units per minutes have shown a significant improvement when the task complexity became lower. With regard to the accuracy measures, they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but they have been improved when the task complexity became lower. In terms of complex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yntactic complexity like clause per T-unit of dependent clause per T-unit has appeared to be slightly higher in the condition given by an assistance material. The linguistic complexity appeared to be higher in the group which had planning time without assistance material. Comparing between two writing types, the narrative writing has appeared to be higher in most of the measures than the argumentative writing except the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Second, the score of the argumentative writings i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appeared to be lower as the task complexity became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the narrative writings in three areas appeared to be highest in the condition with no planning time, and the condition with the material assistance was higher than the condition with planning time and no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Korean high school L2 learners produce better argumentative writing outcome when they are given planning time and assistance materials. When they write a narrative text, however, planning time may not help. This suggests that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ow to select and sequence pre-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chosen text. In addition, teachers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additional help about how to make the best use of what they planned, and how to add additional ideas as they write. The further work of this study can be developing the assistance material of various text types, and find how the effect appear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Koran high school learners of English.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nto task sequencing criteria could be needed, remembering that the provision of writing assistance could be a burden for students because they need to rearrange what they planned. With all these implications in mind, teachers could provide student-writers with the scaffolded help during pre-writing tasks, leading them to better written communication in various English tex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