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이윤희-
dc.creator이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2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29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 사회는 정부의 정책과 노력으로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를 이루고 있다. 다문화 가정과 중도입국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를 배우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한국 사회에 적응하여 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과 다문화 사회의 마련은 무엇보다 시급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 교육기회의 사각지대에 놓인 중도입국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 가정 학습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지원방안의 일원으로‘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KSL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한국어 숙달도 성취기준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범주와 정규 교과 내용 학습을 위한 학습 한국어 능력 중심의 범주로 구분되어 구성되어 있다. 2013년에는 국립국어원이 이러한 KSL 교육과정의 표준화된 내용을 담은 초·중·고 학교 급별 <표준 한국어> 교재 3종을 발간하였는데 다문화 배경의 학생들과 중도입국자들을 위한 첫 한국어 표준교재로서 각 학교의 특별 학급, 대안 학교 등의 기본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표준 교과서가 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근간으로 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국내 정규 초·중·고 학교 교과과정을 따라가기 위한 학습 한국어의 경우에는 비교적 그 비중이 적은 편이다. 특히, 학습에 중요한 문식력을 기르기 위한 읽기나 쓰기의 교육은 교실 수업 환경에서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학습 성향에 따른 맞춤 제약,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제약, 시간과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학습신장을 기대할 만큼 충분히 행해지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포함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학습 한국어 성취를 위한 효율적, 효과적 교수학습 방안으로 블렌디드 러닝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은 기존의 교실수업 또는 이러닝과 같이 온라인 수업만으로 이루어지던 교수학습 모형의 한계점을 해결하고 장점만을 교수학습 목적, 학습대상, 그리고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제공하는 교수학습 모형으로 유아 교육 현장에서 대학 기업현장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제2 언어 교수학습에 있어서도 도입되어 성공적인 실효성을 보인 사례는 영어권 국가의 ESL 과정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ICT의 발전의 가속화와 더불어 이를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초등학교나 대학교 대상이며, 영어에 비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도입이나 설계, 구현 사례가 흔치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 지식의 성장과 미래를 위한 진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정규 중학교로 편입하게 되는 중학교 예비 다문화 학생과 중도입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KSL 과정의 블렌디드 러닝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 모형은 한국어 학습 언어 중심의 읽기‧쓰기 통합전략 모형을 적용한 것으로 내용은 KSL 교육과정의 표준교재인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으로 구 성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의 모형은 제2 언어 교수학습과 국내의 초·중·고 학교 교육과정에 적합한 사전‧사후는 온라인으로, 본수업은 교실 수업으로 설계하였으며, 읽기‧쓰기 통합 전략 모형은 주로 개별학습자 맞춤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어휘 익히기, 문법 연습, 단문 읽 기, 단문 쓰기, 장문 읽기, 장문 쓰기의 일련의 과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블렌디드 러닝 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1차시 교안을 설계하였다. 요컨대, 기존의 교실 수업만으로 어려운 제2 언어 교수학습에 도입되어 긍정적인 성과를 검증하고 있는 영어나 다른 외국어 교육과 마찬가지 로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블렌디드 러닝의 도입과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모형 도입과 구현이 요구된다. 특히 다양한 민족적, 언어적, 학습적 배경을 갖는 중도입국 및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들을 위하여 개별적 맞춤 학습은 중요하며 특히 읽기와 쓰기, 또는 읽기·쓰기의 통합 교수학습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본 연구는 KSL 교육과정의 표준 교과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전략을 블렌디드 러닝의 실질적 모형으로 설계하여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to introduce a blended learning model designed to help secondary student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improve their Korean proficiency (reading and writing in particular), in order to enter the regula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Blended learning model is a kind of teaching-learning strategy that combines both traditional classes and online classes (such as e-learning), which helps reinforcing the strengths and making up the weaknesses from each classes. The criteria in which this learning model is designed upon are learning objects, learning subjects, students, and contents. Various types of blended learning models incorporating both online and offline teachings have already been introduced to second language learners and proved effective in previous case studies. However, compared to English (ESL) education, there were only few studies in the KSL educational realm. The KSL blended teaching-learning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designed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need help with their studies in the regula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t integrates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academic Korean. Writing in Korean is also practiced sufficiently, so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conduct the assignments given in regular secondary school courses. The main teaching contents of this model are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for Secondary Students” textbook,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used by most of the Korean language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and some secondary schools. This model is composed of three types of classes: online learning before school, online learning after school, and offline learning during class. A smart learning application is developed in particular for online learning.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 is mainly delivered through this smart application. Students can learn Korea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learning styles and progress. The contents in this application consist of learning vocabulary, practicing grammars, reading and writing in short sections, and reading and writing in long sections. A teaching plan for a one-hour class is also made as an example to show how offline learning should be performe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blended learning model, which is based on KSL standard curriculum and uses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 designed to help secondary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 Korean and accommodate to the regula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7 A. 제2 언어교육과 블렌디드 러닝 7 1. 개념 정의 및 효과 7 2. 블렌디드 러닝 모형의 유형 11 B.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의의 및 필요성 20 C. 읽기와 쓰기 교수학습 관련 블렌디드 러닝 선행 연구 고찰 25 Ⅲ. 블렌디드 러닝 모형 설계 32 A. 설계 절차 32 B. 요구 분석 33 C. KSL 표준교재 분석 및 내용 선정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0 A. KSL 블렌디드 러닝 모형 설계 결과 40 B. 교안예시 43 V. 온라인 교수학습에 대한 제언 48 A. 스마트 교수학습 앱 구성 48 1. 학습자 학습 과정 49 2. 교수자의 학습 관리 시스템 51 B. 스마트 교수학습 앱 54 VI. 결론 및 제언 57 A. 연구의 요약 5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26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문화 가정 중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블렌디드 러닝 모형 설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 of KSL blended learning model : focused o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
dc.creator.othernameLee, Yun Hee-
dc.format.pageix, 69 p.-
dc.contributor.examiner송영빈-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