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대학생용 사회비교동기 척도개발

Title
대학생용 사회비교동기 척도개발
Other Titles
The Domain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ocial Comparison Motives for College Students in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Authors
정보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본 연구는 경쟁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사회비교동기를 탐색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비교동기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상황에서 사회비교동기의 내용영역을 새로이 탐색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항을 작성하고 척도를 구성하였다. 내용영역과 척도 문항은 예비연구와 본연구를 통해 보완하였고, 그 과정에서 구성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7개의 내용영역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21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및 자료 분석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사회비교동기의 내용영역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가 종료된 후에는 참여자들의 응답내용을 종합하여 집단화함으로써 자기향상, 자기평가, 자기고양, 유대감, 이타심, 결과예측, 경각심, 경쟁심, 부러움, 자기불만족으로 명명된 총 10개의 내용영역을 일차적으로 도출하였다. 각 내용영역에 해당하는 문항들은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제작되었으며, 제작된 문항은 내용타당도 평가과정을 거쳐 수정 및 삭제되었고 최종적으로 46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쨰, 1, 2차 예비검사를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 실시 결과, 내용영역은 자기평가, 자기고양, 유대감, 이타심, 결과예측, 경각심, 경쟁심, 자기불만족의 8개 내용영역으로 재분류되었다. 새로 분류된 내용영역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42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넷째, 본연구에서는 앞서 예비연구를 통해 확정된 42개 문항으로 검사를 구성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준거관련 타당도 확인을 위해 우울척도와 자존감척도를 추가하여 검사를 구성하였다. 본검사는 서울 및 지방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비교동기에 대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내용영역은 자기평가, 자기고양, 유대감, 결과예측, 경각심, 경쟁심, 자기불만족의 7개 내용영역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사회비교동기 내용영역과 우울, 자존감 간 상관분석을 통한 준거관련 타당도에 대한 증거는 부분적으로만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쟁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는 이유를 최초로 탐색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경쟁상황에서 한국 대학생들의 사회비교동기를 파악하는 진단적 도구로 사용되는 한편, 이러한 동기가 한국 대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그 밖에 사회비교를 주제로 하는 연구들의 기초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omains of the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develop a scale of them for college students in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To investigate domains of the social comparison motives, 15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the reason why they compared themselves with others. Their answers were grouped to domains and the items of the each domain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answers. The domains and the items investigated were modified, eliminated or ad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rst preliminary study to 75 college students, the second preliminary study to 131 and the final study to 301. Finally, 7 domains of the social comparison motives were revealed; self-evaluation, self-enhancement, common bond, future self, distancing, self-unsatisfaction, competitive spirit, and 21 items were selected for final 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and Cronbach’s alpha for the items of each domain showed that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ecured. One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result between domains, depression and self-esteem showed that the evidence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needed to be supplemented in following studies. In discussion, limitation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tudy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