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운동경험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운동경험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xercise Self-Schema according to the Exercise Experience on the Self-Efficacy
Authors
조지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는 운동경험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gender)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권에 소재한 대학교의 20세 남녀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에 의거하여 설정된 모형의 구성요인(아동기 운동경험, 현재 운동경험, 운동 자기-도식, 자기-효능감)으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50부 설문지 응답결과를 회수한 후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의 이중기입, 무 기입자료 등을 제외한 415부명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설문응답은 설문의 목적과 기입방법을 설명해준 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각 측정항목은 Likert 5점 척도이며 회수된 설문지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한 내적일관도를 실시하였고, AMOS 20.0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렴 타당성 및 집중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구조방정식 모형의 검증을 통해 서로의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운동 자기-도식의 매개효과분석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근거에 의해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과 개별 연구가설 검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운동경험(아동기 운동경험, 현재 운동경험), 운동 자기-도식, 자기-효능감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운동경험(아동기 운동경험, 현재 운동경험),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지수인 RMSEA= .069, GFI= .938, TLI= .940, CFI= .954로 기준치를 모두 충족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동기 운동경험이 현재 운동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동기 운동경험과 현재 운동경험이 운동 자기-도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운동 자기-도식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아동기 운동경험과 현재 운동경험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아동기 운동경험과 현재 운동경험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운동 자기-도식을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간적접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경험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있어 운동 자기-도식은 두 변인 사이에 매개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셋째, 운동경험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운동 자기-도식의 구조관계에 대한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다 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아동기 운동경험이 현재 운동경험에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아동기 운동경험과 현재 운동경험이 운동 자기-도식을 통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아동기 운동경험만이 운동 자기-도식을 통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운동경험과 자기-효능감간 관계에서 운동 자기-도식이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구조 관계와 매개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운동 자기-도식이 개인이 적합한 운동을 찾고, 그 운동을 실천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아동기 운동경험이 현재 운동참여와 더 나아가 운동 자기-도식 형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아동기 운동의 중요성과 성별을 고려하여 신체 신체활동 촉진을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s of Exercise Self-Schema according to the Exercise Experience on the Self-Efficac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xercise intervention with the gender gap. For data surve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y using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constitutional factors(Childhood Exercise Experience, Current Exercise Experience, Exercise Self-Schema, Self-Efficacy) in a model,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objective of research. 415 were analyzed questionnaires. Accordingly, a total of 41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at 4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regions were selected as study model. Totally 45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Except 35 copies with insincere response, 415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test.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n a concept of formi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21.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model was used through AMOS 20.0 to confirm intermediate effects via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and bootstrap method was used for verifying significance of statistical intermediate effect verific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for the objective of research, the path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ri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elf-efficacy, exercise self-scheme and exercise experience in both male and female. Also, significant gender gaps were found in self-efficacy, exercise experience and exercise self-scheme. Male showed higher levels of exercise experience, self-efficacy and exercise self-schema compared with male. Second, the study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lso, the bootstrapping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mediation. effects of exercise self-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xperience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As a result, exercise self-scheme prov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 I.e. exercise experience and self-efficacy. Notably, current exercise experience prove to exert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via exercise self-scheme.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gender gap in the moderation effects of exercise self-scheme in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experience and self-efficacy. In male, childhood and current exercise experience affected self-efficacy via exercise self-scheme, whereas in female current exercise experience only affect self-efficacy via exercise experience. Based on this new research, it is founded effect relationships of exercise self-schema according to the exercise experience on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exercise self-scheme in exercise psychology should be used effectively. And it should be helpful for making exercise intervention as basic information and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