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김미혜-
dc.creator김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aily happiness of male and female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low theory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leisure on flow and happiness experience in fast-changing modern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7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selected by real-tim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hey were at the western ages of 19 and up.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ven day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did something easier work than their skill level and 9.4% of their experience were the experience of their challenge-skill balance. Also there were ‘the work which was must to do but didn’t like to do’ than ‘the work which was must to do and enjoy to do’overwhelmingly about their job and obligation. In the case of the leisure, there were lots of response which was‘doing things because there were nothing special to do’From this results it could make a diagnosis that there could not be flow experience generally. So it needs to make higher challenge level for flow experience and the work which was not like to do were needed to make their life and positive meaning. Also the time which were just gone by need to be restructure the meaningful time.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on daily life shows that the differences in work, leisure and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level of flow was highest in leasure and lowest in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level of happiness was highest in leasure as well, otherwise, certainly higher than work and slightly lower than leisure in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is means that washing, sleeping and eating can make people happier than work. The result shows that the role of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has changed. These activities were part of physical rest to maintain the basic life in 1960s and 1970s. Whereas in modern limitless competition society, living activities could provide family emotional support and relaxation in private space staying out of tension. Third, in terms of autonomy,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highest when they did something they enjoyed and when they did something that they had to do and found it delightful to do as well.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lowest when they did something becaus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and when they did something that they had to do yet they didn't like to do. Even in the case of leisure activities,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lower when they engaged in a leisure activity becaus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than when they did a leisure activity that they enjoyed. The levels of flow and happiness were higher when they did work that they had to do and found it joyful to do than when they did work since there was nothing special to do. Fourth, concerning the four channels of flow, in which activity area the frequency of flow was larger and in which activity area the intensity of flow was stronger were analyzed. The frequency of flow was higher in work-related activities than in leisure-related activities or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intensity of flow was stronger in leisure-related activities than work-related ones or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Fifth, which demographic variables(the type of occupation, age, marital status and gender) and psychological variables(autonomy, flow, achievement, meaning and happiness of others) had a greater impact on happiness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n't exer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and that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ed it in a significant way except for the variable of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Happiness in everyday life depends on an attitude rather than external conditions. If the life sphere of human beings is classified into work, leisure and mandatory activities of l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should be understood from an integrated and subjective perspective, instead of regarding them a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kind of environments that can strengthen flow should be created by inspiring individual people to gain self-purposive experience through work and to enjoy leisure activities as if these activities were part of life along with work. Besides,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raining in pursuit of self-realization. And then they will be able to experience flow more often and more deeply in every area of life. The attempts by this study to make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flow theory and research happi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leisure in changing modern society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empirical sampling research that has been object-centered so far.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quaintances of this researche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metho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they might have been conscious of this researcher when they answered. In the future, how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be honest about their own psychology without being self-conscious should be devised. It could be sai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sorts of lives that can bring happiness to man: life of flow, meaningful life and joyful life. If so, how much Korean people seek after the three kinds of lives in daily life should be compared to make a more profound interpretation of life of flow.; 본 연구는 외현적 활동에 따른 심리변화에 관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실제적인 일상실태를 파악하고, 삶의 영역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나누어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며, 일상적인 삶에서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7명을 대상으로 7일 동안 경험표집(ESM)법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일상에서 주로 자신이 가진 기술(skill) 수준에 비해 쉬운 일들을 하고 있었고, 전체 표집 경험의 9.4% 만이 개인의 기술과 도전하는 일의 수준이 균형(challenge-skill balance)을 이루는 경험이었다. 또한 직업과 관련되어 의무적으로 하는 일들에 대하여 ‘해야 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다’는 응답보다 ‘해야 하지만 좋아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가생활에 대해서도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하고 있다’는 응답이 적지 않는 분포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상 경험 데이터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몰입을 경험하기에 어려운 일상 구조에 놓여 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이들이 일상에서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하고 있는 일들의 도전 수준을 높이고, 해야 하지만 좋아하지 않는 일들을 자신의 인생과 결부시켜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며, 흘려보내는 시간을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상의 경험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나누어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가는 세 영역 중 몰입과 행복수준이 가장 높았고, 생활필수 활동의 몰입수준은 세 영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행복수준은 일보다 높고 여가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씻기, 잠자기, 식사하기 등의 생활필수 활동에서 일을 할 때보다 더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으로, 과거 1960-70년대의 생활필수 활동은 단순히 일을 잘 하기 위한 충전과 생계를 유지해나가기 위한 영역이었다면, 무한경쟁사회인 현대사회에서는 생활필수 활동의 의미가 긴장된 사회로부터 벗어나 집과 가족이 주는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만끽하고, 정서적 회복을 경험할 수 있는 영역의 의미로 변화하고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셋째, 일상의 경험을 자율성(자기결정, 내적동기)에 따라 몰입과 행복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즐기면서 하는 일’이라고 인식한 여가활동을 할 때 몰입과 행복수준이 가장 높았고, ‘해야 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하는 여가 활동’을 할 때 보다 몰입과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지만 즐겁다고 인식하면 마땅히 해야 할 일이 없어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보다 훨씬 더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인간의 행복을 결정짓는 삶의 영역을 여가-일이라는 대칭적인 구조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넷째, 일상의 경험을 일, 여가, 생활필수 활동으로 구분하여, 몰입(flow) 채널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과 몰입 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분석한 결과, 몰입 채널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은 일 영역이었고, 몰입 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여가 영역이었다. 이는 일 영역은 기술과 도전의 균형이 자주 일어나지만 자율성이 높지 않아 몰입강도가 낮고, 여가는 몰입의 발생은 쉽지 않지만 자기결정성과 내적 동기가 수반된 활동이라는 점에서 몰입하게 되면 몰입 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일을 할 때는 자기 목적적(autotelic)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즐겁게 수행하여 몰입 강도를 높이며, 여가는 도전수준을 높임으로써 지루한 활동이 되지 않도록 하며, 일을 할 때와 같이 참여환경을 구조화시킴으로써 몰입 환경을 조성하고, 훈련을 통한 전문성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경험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심리적 변인들 중 어느 것이 더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은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심리적 변인들 중 자율성, 몰입, 의미, 타인행복이 일상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상적 행복은 배경 변인보다 마음의 상태에 영향을 받으며, 수행하는 활동의 의미를 개인이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실시간적인 경험을 측정하였기에 기억의 망각과 왜곡으로 인한 데이터 분석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특정한 여가활동을 잘하고 있을 때를 가정한 기존 여가 연구들과는 달리 일상적인 여가경험에서의 실제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국내 ESM 연구에서 처음으로 스마트 폰과 웹 설문양식을 연구도구로 도입함으로써 응답자들의 편의성과 경험측정의 신뢰성(응답시각이 전산에 의해 자동 기록됨)을 제고함에 따라 ESM 연구발전에 기여하고, 정부 단위의 대규모 사회조사 방법으로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개인차원의 연구로 참여자의 선정방식과 인원의 제약이 있었으며, 연구 결과에서 일 영역에서는 몰입 직전 단계의 조건이 충족됨에도 불구하고 몰입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바, 향후 연구에서는 일 몰입의 경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기술과 도전의 균형 외의 몰입의 다른 특성들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심층 인터뷰나 회고적 연구방법을 병행한다면 일상 경험에서 드러난 현상에 대하여 보다 풍부한 해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몰입 7 B. 일과 여가 21 C. 행복 29 Ⅲ. 연구방법 43 A. 참여자 선정 43 B. 자료의 수집 44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47 D. 데이터의 분류와 기준 49 Ⅳ. 연구결과 55 A. 실시간적 일상생활의 실태 55 B. 여가와 일을 통한 몰입과 일상적 행복감 65 C.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에 따른 일상적 행복 결정요인 76 D. 질적 경험들 79 Ⅴ. 논의 82 Ⅵ. 결론 및 제언 89 참고문헌 93 부록1. 설문지 103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01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스마트 폰 웹 ESM을 활용한 한국인의 일상적 행복과 몰입-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aily Happiness and Flow of Contemporary Korean as Investigated by Web based ESM-
dc.creator.othernameKim, Mi hey-
dc.format.pagevi, 110 p.-
dc.contributor.examiner박승하-
dc.contributor.examiner홍석표-
dc.contributor.examiner권성호-
dc.contributor.examiner함정혜-
dc.contributor.examiner원형중-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