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희-
dc.contributor.author이민선-
dc.creator이민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18-
dc.description.abstract위암환자들은 위절제술 후에 다양한 합병증을 경험하고 위암이 재발할 경우 예후가 불량하므로 건강증진행위를 지속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위절제술 후 발생하는 증상들은 예측하기 어려워 불확실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면 질병 회복과 삶의 질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위절제술 시행 후 6개월 이내인 위암환자들의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10월 22일부터 2014년 11월 18일까지 시행되었다. 측정도구는 MUIS-C, K-CCQ, HPLP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TukeyHSD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56.81±10.51점이었다. 개인내 대처는 31.37±5.61 점이었으며, 대인간 대처는 22.94±4.15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평점 2.51±0.28점이었다. 2. 불확실성은 교육수준에 따라 중학교 이하의 그룹이 대학교 이상의 그룹보다 높았다. 개인내 대처와 대인간 대처는 결혼 상태에 따라 배우자가 있는 그룹이 더 높았다. 대인간 대처는 경제 상태에 따라 중간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높았다. 건강증진행위는 결혼 상태에 따라 배우자가 있는 그룹이 더 높았으며 경제 상태에 따라 중간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높았다. 교육수준에 따라 중학교 이하 그룹보다 대학교 이상 그룹이 더 높았다. 3. 불확실성은 위암 병기에 따라 3기 그룹이 1기 그룹보다 높았다. 개인내 대처는 위암 병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그룹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개인내 대처와 대인간 대처만성질환이 없는 그룹이 있는 그룹보다 높았다. 건강증진행위는 위암 병기에 따라 1기 그룹이 3기 그룹보다 높았고 만성질환이 없는 그룹이 있는 그룹보다 높았다. 4. 불확실성은 개인내 대처, 대인간 대처, 건강증진행위와 각각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개인내 대처 및 대인간 대처는 건강증진행위와 각각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불확실성과 개인내 대처와 대인간 대처는 건강증진행위의 49%를 설명하였다. 개인내 대처와 대인간 대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내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β=.582,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위절제술 후 위암환자의 불확실성은 대처, 건강증진행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처는 건강증진행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처는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암환자의 대처를 증가시킴으로써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할 수 있는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uncertainty, cop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have undergone a gastrectomy. The subjects consisted of 120 patients from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 22nd, 2014 to Nov 18th, 2014.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ed Mishle'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Community Form, the Korean Cancer Coping Questionnaire, and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hich had been adjusted to gastric cancer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uncertainty was 56.81±10.51, the mean score for individual coping was 31.37±5.61, and the mean score for interpersonal coping was 22.94±4.15. 2. Health promoting behavior differed significantly for marital status (t=8.049, p=.005), economic level (F=4.673, p=.011), educational level (F=4.526, p=.013), cancer stage (F=3.457, p=.019), and comorbidity (t=2.608, p=.010). 3. Uncertainty and individual cop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r=-.657, p<.001), uncertainty and interpersonal cop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r=-.223, p=.014), and uncertaint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negatively correlated (r=-.594, p<.001). Meanwhile, individual cop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r=.790, p<.001) and interpersonal cop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r=.502, p<.001). 4. Uncertainty, individual coping, and interpersonal coping explained 49%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21.312, p<.001).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individual coping (β=.582, p<.001), and interpersonal coping (β=.246, p<.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 coping and interpersonal cop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had undergone a gastrectomy in the past six month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 정의 3 Ⅱ. 문헌고찰 6 A. 암환자의 불확실성과 대처 6 B. 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 9 Ⅲ. 연구방법 11 A. 연구 설계 11 B. 연구 대상 11 C. 연구 도구 12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15 E. 자료 분석 방법 15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6 G. 연구의 제한점 1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19 C. 대상자의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 21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23 E.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27 F.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30 G. 불확실성과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32 Ⅴ. 결론 및 제언 36 A. 결론 36 B.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 - 1. IRB 승인 통지서 50 부록 - 2. 연구 설명문 52 부록 - 3. 대상자 동의서 53 부록 - 4. 설문지 55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4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rrelation of uncertainty, cop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gone gastrectomy-
dc.creator.othernameLee, Min Sun-
dc.format.pagev, 63 p.-
dc.contributor.examiner박효정-
dc.contributor.examiner차지영-
dc.contributor.examiner강윤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