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Title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powerment Scale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Authors
신선화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국내 유방암 여성들은 건강증진과 자가관리를 위하여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여성들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의 주요 속성들을 확인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도구개발 단계와 도구검증 단계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실시하였다. 도구개발 단계는 첫 번째,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과 기존의 측정도구 및 유방암 여성과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개념적 틀에 따라 개인내적 요인, 상호작용적 요인, 행동적 요인으로 3개의 구성요인과 62개의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 대상자의 응답 측정을 5점 Likert 척도로 결정하였다. 네 번째, 예비 문항에 대해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두 차례 실시하였고, 내용타당도 지수(CVI)가 .80 이상인 문항을 채택하여 48개의 예비 문항을 선별하였다. 다섯 번째, 유방암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하고 정련화하였고, 본 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최종 48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도구검정 단계는 종합병원 외래, 요양병원 병동 및 자조집단에서 319명의 유방암 여성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설문자료를 토대로 문항 분석과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고, 개인내적 요인(14문항), 상호작용적 요인(8문항), 행동적 요인(8문항)의 3개의 구성요인으로 30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2/df 1.86, IFI .908, TLI .897, CFI .917, SRMR .059, RMSEA .052로 나타나 수용 기준을 충족하여 매우 적합하였다. 3개의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가 없다고 가정한 대안모형Ⅰ과 단일요인을 가정한 대안모형Ⅱ를 설정하여 모형 간 비교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국외에서 개발된 암 임파워먼트 질문지(Cancer Empowerment Questionnaire: CEQ)와의 강한 정적 상관관계(r=.784, p<.001)를 확인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항에 대한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Cronbach’s ⍺ 계수)는 .925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90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3개의 구성요인, 30문항, 5점 Likert 척도의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30점에서 15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는 간호사가 유방암 여성을 간호하는 데 있어서 대상자의 임파워먼트를 고려한 간호중재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방암 여성들의 임파워먼트와 관련한 지식체 개발에 기틀을 제공하고,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Empowerment Scale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composed of items from the constructed from the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to empower women with breast cancer.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development (step 1∼step 5) and validation (step 6∼step 8) process comprised the following steps. The first step was to draw the conceptual framework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existing instrument, and interviews with women having breast cancer. The second step was to develop the initial items, consisting of 62 items in total with 3 constructs including ‘intrapersonal factor’, ‘interactional factor’, and ‘behavioral factor’. The third step was to determine the 5-point Likert scale for generating responses. The fourth step was to consult initial items with the experts for content validity evaluation. Items with content validity index (CVI) greater than .80 were adopted, resulting in 48 preliminary items. The fifth step was to perform a pilot survey with 10 women having breast cancer using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preliminary items modified through the former two steps. Consequently, 48 items in total were selected for the main survey. The sixth step was to distribute the main survey with the refined items to 319 women having breast cancer in a general hospital outpatient, care hospital ward and self-help groups. The seventh step was to perform item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survey. 30 items including ‘intrapersonal factor’ (14 items), ‘interactional factor’ (8 items), and ‘behavioral factor’ (8 items) were drawn up af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fit of the final research model was very appropriate that showed in χ2/df 1.86, IFI .908, TLI .897, CFI .917, SRMR .059, RMSEA .052. This study confirmed the fit of the final model through comparison between two alternative models. Criterion validity was evaluated by total correlation with CEQ .784. The Cronbach’s ⍺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25 for the overall instrum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690. Finally, 30-item, 3-construct, 5-point Likert scale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refining the developed scale with evalu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cale ranges from 30 point to 150 points, the higher point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empowerment is higher. This Empowerment Scale was developed in order to include properties of empowerment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In addition, nurses could use this scale to measure outcomes afte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consider properties of empowerment in this scale on caring for women having breast cancer. So, this scale provides a framework for developing a body of knowledge about empowerment of breast cancer. The scale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empowerment of women having breast canc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