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1 Download: 0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의 효과

Title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delirium prevention guideline on elderly stroke patients
Authors
송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중재가 뇌졸중 노인의 섬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병원 뇌졸중 집중치료실로 입원한 65세 이상 환자 중 실험군 54명, 대조군 54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2014년 6월 5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은 2010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delirium clinical guideline의 섬망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기본으로 하고, 세부사항에 관한 프로토콜을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후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증을 받았다.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섬망 예방 중재를 입실하는 당일부터 시행하였고, 매 근무마다 중재사항에 대해 교육받은 담당 간호사가 침상 앞에 비치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check list에 표시하며, 섬망 예방 중재사항을 빠짐없이 시행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에 일반 간호 중재를 적용하였다.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he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DOS)로 섬망 유무와 섬망 중증도를 측정하고,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로 뇌졸중 예후를 측정하였다. 입실일수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뇌졸중 집중치료실로 입실한 날부터 경과가 안정되어 일반 병동으로 퇴실하는 날까지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섬망 유발 관련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은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섬망 발생율, 섬망 중증도, 뇌졸중 예후, 입실일수 차이를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섬망 발생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χ2=5.655, p=.017)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섬망 중증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t=-2.565, p=.014)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뇌졸중 예후가 유의하게 좋아져 (t=2.293, p=.026)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t=2.592, p=.011) 제 4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이 뇌졸중 노인의 섬망 발생율과 섬망 중증도, 뇌졸중 예후, 재원일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이 섬망 예방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hi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based on delirium prevention guideline on hospitalized elderly stroke pati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of elderly stroke patients, 65 years or older,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strok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city, Korea.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54 patients each,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1 and June 5, 2014.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DOS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lirium and to measure the severity of delirium, while the NIHSS was used to assess the stroke prognosis.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defined as the number of days from admission to the stroke unit to the da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upon stabiliz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SPSS version 21.0 software was used for all data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induced delirium-related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The pre-tests for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Moreover,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lirium incidence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χ2=5.655, p=.017), thus supporting the first hypothesis. 2. The delirium sever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565, p=.014), supporting the second hypothesis. 3. The stroke prognosi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93, p=.026), supporting the third hypothesis. 4. The number of lengh of hospitaliz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592, p=.011), hence also supporting the fourth hypothesi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delirium prevention guideline protocol used in the present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lirium incidence rate, delirium severity, stroke prognosis, an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hospitalized elderly stroke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