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배혜우-
dc.creator배혜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6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6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위함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월 9일부터 2014년 5월 30일까지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E 상급종합병원에서 자궁경부암을 진단받고 입원중이거나 외래 내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동의한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도구로 측정되었고, 우울은 Zigmond와 Snaith(1983)가 개발한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도구로 측정되었다. 삶의 질은 Cella 등(1993)이 개발한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FACT -G) 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1.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의 차이는 t-tse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은 평균 4.83±4.16점으로 성기능 장애 기준 점수인 25점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대상자 모두 성기능 장애 위험군에 해당하였다. 성기능 하위 영역별 평균 점수는 성욕구 1.53±0.67점, 만족감 1.32±0.64점, 성적 흥분 0.52±0.88점, 성교 통증 0.49±0.86점, 절정감 0.50±0.82점, 질윤활 작용 0.46±0.75점이었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은 연령(F=62.249, p<.001), 결혼상태(t=2.714, p=.031), 교육 정도(t=-2.322, p=0.22), 직업의 유무(t=5.546, p<.001), 주보호자(F=3.564, p=.016), 항암제의 종류(F=3.847, p=.030)에 따라 성기능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자궁경부암 환자의 우울은 평균 11.08±5.06점으로 30명(22%)은 우울이 없는 상태, 경한 우울을 보이는 대상자는 46명(32.6%)으로 나타났다. 64명(45.4%)의 대상자에서 중간 이상에서 심한 우울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유무(t=-3.183, p=.002)에 따라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은 평균 57.33±8.47점으로 연령(F=5.440, p=.005)에 따라 삶의 질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과 우울(r=-.408,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성기능과 삶의 질(r=.303,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기능과 삶의질의 하위 영역과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안녕(r=-.105, p=.223)을 제외한 신체적 안녕(r=.304, p<.001), 사회적 안녕(r=.243, p=.004), 기능적 안녕(r=.28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삶의 질은 향상되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 향상을 위한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exual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ervical cancer patients,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y 2014 in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departments of E Hospital, Seoul. 137 women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participated and filled out a structured questionnaire. Sexual function was measured with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depression with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and quality of life with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FACT-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s, Scheffe’s 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s were conducted with SPSS Win 21.0. The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were belonged to the group with sexual dysfunction (M±SD=4.83±4.16). Age(F=62.249, p<.001), marital status(t=2.714, p=.031), education level(t=-2.322, p=0.22), job status(t=5.546, p<.001), main caregiver(F=3.564, p=.016), and carcinostatis substance(F=3.847, p=.03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ual function. 2. The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to have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M±SD=11.08±5.06). Job status(t=-3.183, p=.002)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pression. 3.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57.33±8.47. Age (F=5.440, p=.005)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qualify of life. 4. Sexual function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r=-.408, p<.001), while hav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quality of life (r=.303, p<.001). Also, in relation with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sexual func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hysical well-being (r=.304, p<.001), social well-being(r=.243, p=.004),, and functional well-being(r=.287, p=.001), but not psychological well-being(r=-.105, p=.223). In conclusio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have been found to have lower depression and higher quality of life as the score of sexual function increases. Thus, it is necessary for clinical nurses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to enhance sexual function for patients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 7 B. 자궁경부암 환자의 우울 11 C.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수집방법 19 E. 자료분석방법 19 F. 윤리적 고려 20 G. 연구의 제한점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21 B. 대상자의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 정도 25 C.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의 차이 32 D. 대상자의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45 Ⅴ.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2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4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자궁경부암 환자의 성기능, 우울 및 삶의 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exual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dc.creator.othernameBae, Hye Woo-
dc.format.pagevi, 89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강숙정-
dc.contributor.examiner박효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