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한국 웹툰의 고백적 중개성 연구

Title
한국 웹툰의 고백적 중개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onfessional Mediacy of the Korean Webtoon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디지털 매체의 대중화는 문화의 생산과 수용에 있어서 개인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웹 환경의 매체 민주적인 성격은 개인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고, 이에 따라 일상 친화적이고 자연발생적인 이야기들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근간을 이룬다. 웹툰(Webtoon)은 한국의 디지털 문화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서사체로, 자생적으로 수용 기반을 확장해 나가면서 그 대중적인 소구력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웹툰 장르의 형성은 일상적인 개인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형상화하고 공유하던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웹툰에서 전문 작가군과 제도적인 간행 과정이 나타난 것은 후속적인 현상으로, 본원적으로 웹툰은 개인이 자신 주변의 일상을 공유했던 것으로부터 발상하여, 다양한 소재와 양식을 포섭해 나가면서 성장하였다. 웹툰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만화에서 웹툰으로의 선형적인 발전상을 상정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웹툰을 출판만화의 대안이나 온라인 만화로 개념화하고, 만화와 디지털 기술의 단순한 결합으로 웹툰의 제 현상(諸 現象)을 설명해온 것이다. 이 같은 관점은 기성 장르의 우위성을 전제하고 있는 것으로, 지배 담론의 정의와 범주를 우선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서사체를 한계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는 장르 논의를 선진적이고 후진적인 우열문제로 왜곡시킬 뿐만 아니라, 웹툰이 지닌 독자적인 가능성과 미학적 영역에 대한 절하를 내포한다. 본고는 웹툰을 만화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논의하는 기존 연구사를 비판하고, 디지털 서사체로서의 웹툰의 특질과 의의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웹툰의 대중화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던 형성기 웹툰의 서사적 특징을 분석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웹툰의 발상과 발달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일부 작품에 한정되는 논의가 아니라 웹툰의 장르성을 규명하는 기반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장르 연구를 위해서는 관습적인 분류 기준이 아니라 개별 작품들을 서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논의에 적합한 개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는 우선 디지털 만화와 웹툰의 주요 작품과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여, 형성기 웹툰이 고백적 화자를 성립시키며 인접 장르와 변별되는 서사성을 구현하였음을 밝힌다. 이는 창작자의 개인적인 목소리가 자기 재현적인 글쓰기를 통해 표출되는 디지털 담화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자서전의 화자처럼 진실하다고 여겨지는 서술자를 통해 자기 인식과 개인적 체험을 표현한다. 동시에 웹툰은 만화적인 추상화 방식을 차용하면서, 사적인 내용을 대중적인 형태로 양식화한다. 이러한 웹툰의 특질을 본고는 고백적 중개성(confessional mediacy)으로 개념화하여, 여타의 서술체와 구별되는 웹툰의 서사 전달 방식을 파악한다. 고백적 중개성은 체험성을 서사화하면서, 개인의 본질과 내면 의식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여기와 지금(here and now)에 관련된 담론을 활성화시킨다. 이는 웹툰에서 반성자이자 화자라는 이중 역할을 수행하는 서술자의 성립과, 이를 통한 경험적 사건과 서술적 주석의 교차 전달, 내면의 정조가 연행적으로 통합되는 서사 세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개성은 서술 주체를 권위와 위계 관계로부터 분리시키며 개성적인 개인을 재현하고, 자주적인 자기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서술 상황을 생활 세계의 현재성과 밀착시키면서 상호주관적인 서사 세계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웹툰은 대중적 서사체로 성립할 수 있었고, 기성 담론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예술성을 실현할 수 있었다. 웹툰은 단순히 만화를 웹 연재로 바꿔 놓은, 만화로부터 단선적으로 발전한 서사체가 아니다. 웹툰은 디지털 환경을 기반으로 만화적 재현 방식 및 영화·게임·사진 등 다양한 매체의 표현 기법을 복합 매개하고, 독자와의 개방적인 소통을 전제로 하는 고백적 중개성을 체현하고 있는 디지털 서사체이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자기 고백적인 경향은 웹툰 형성의 핵심적인 계기이며, 한국 웹툰의 장르적 특질과 서사적 의의를 밝혀주는 기반이다.; The popularization of digital media has changed the role of individuals when it comes to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culture. The democratic nature of the web-based media has laid the foundation for people to share their stories with others, and thus naturally occurring stories about daily lives have formed the backbone of digital storytelling. As a representative narrative form reflecting the Korean digital culture, Webtoon has expanded its audience pool spontaneously, without any institutional intervention, proving itself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appealing to the general public. The origin of Webtoon traces back to the activities of individuals who freely express their stories of everyday lives and share them with others. Subsequently appeared the professional Webtoon artists and institutional publication process. Originally, Webtoon was developed from the sharing of stories about small moments between individuals, into stories embracing various writ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eventually into what is now Webtoon. The mainstream of existing studies on Webtoon was based on the premise of linear development trajectory from cartoons to Webtoon. The traditional discussions re limited in that they have conceptualized Webtoon nothing more than as alternatives to printed cartoons or as online cartoons. Put it differently, they have explained Webtoon’s various aspects simply as fusion between cartoons and digital technology. That perspective presumes the predominance of the existing genre (i.e. cartoons) over the new genre (i.e. Webtoon). Preferentially accepting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new genre, prescribed by the dominant discourse, the perspective eventually gives a limited definition of new narrative. This reduces the discussion on genre to a chicken-and-egg problem or to a question of supremacy and subordination. To make matters worse, such distortion underestimates both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genre and aesthetics of Webtoon. This thesis adheres to the chronological approach and criticizes the history of existing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regards Webtoon as an extension of traditional form of printed cartoons.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traits and implications of Webtoon as digital narrative.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Webtoon in the formative period in that it played a pivotal role in generation of Webtoon. The theory on natural narratology was applied to the examination not of the extrinsic distribution environment surrounding Webtoon but of the principles of text structure, intrinsic attributes of Webtoon itself, and then the genre properties distinguished from ones from the similar technological backgrounds such as digital comics, web comics, and web manga. What is important for studies on genre is not to abide by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 criteria but to conceptualize genre as a fit subject for discuss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ndividual works. Therefore, by analyzing major works of digital comics and Webtoon, this paper determines that the Webtoon in the formative period employed a confessional narrator to realize narrativity distinct from similar genres.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 voices of storytellers are based on the digital dialogue expressed by self-representational writing. At the same time, Webtoon borrows the cartoon-like abstraction method to conventionalize private stories to popular mode, eventually acquiring inherent mediacy. ‘Confessional mediacy’ narratizes experientility. In other words, it makes experientiality understood or accepted as narratives, conveying the nature and inner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to readers and facilitating discourses on the subject of here and now. In Webtoon, narrators play a dual role as reflectors and teller at the same time, which makes possible the interchanges between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cing self’ and the comments of ‘narrating self. Such interchanges are integrated into the story world and concluded with sympathetic involvement. The confessional mediacy underlies the divergence from the existing genre (i.e. printed cartoons) and the birth of the new genre (i.e. Webtoon). It separates the narrating subject from the system of authority and hierarchy, presuming hypothetical form of ‘I-and-Thou’ and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narrative situation and the basis of the life-world. This makes possible the representation of intersubjective narrative, establishing Webtoon as popular narrative and strengthening its status as digital narrative. The development of Webtoon has not followed a non-linear developmental trajectory that comic strips have transformed into web-based on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Webtoon mediates expression methods of the myriad of media including movies, games, and photos, let alone the cartoon-like representation, and embodies confessional mediacy which is subject to open communication with readers. Self-confessional attributes of digital storytelling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birth of Webto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ebtoon as an independent genre and its narrative implic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