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한국 온라인 드라마 팬 커뮤니티의 담화 연구

Title
한국 온라인 드라마 팬 커뮤니티의 담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iscourse of Korean Online Drama-Fan community : Standing on the DCinside Drama Gallery
Authors
권민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 general public has moved beyond its traditional role as a mere consumer of media content to become an aggressive producer of as well as an active user of it. Against this backdrop, being the most active groups using and producing media content, fandoms have enjoyed the exclusive ownership of the media texts and reinterpreted them and interacted with the objects, thereby establishing unique and independent cultural systems. It is in the virtual space, more specifically in the online fan communities, where fandoms have satisfied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content creation in a direct manner. Overcoming the limited narrative experience of TV drama, drama fandoms have created a new collective culture within their online communities to expand the semantic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where the discourses created by drama fandoms in online communities are interactively communicated with other discourses to overcome the limited narratives of drama and thereby expand the narrative experienc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s developed in DCInside Drama Gallery, one of the most famous Korean online drama fandoms, to derive the process of discourse creation by analyzing how fans of TV dramas accept and reconstruct dramas. Then,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discourses into four groups with concrete examples. Finally, derived were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discourses within online communities of drama fandoms. The second chapter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of TV dramas and its medium characteristics. How drama fandoms have accepted dramas and extracted index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ymour Chatman. In addition, Northrop Frye's Theory of Archetypes was adopted to classify the methods of discourse reconstruction that drama fandoms have relied on. Based on such classification, this study suggests a discourse generation model, namely a series of process by which dramas are accepted and discourses are reconstructed, and then sets up criteria to categorize discourse types of drama fandoms by introducing two axes reflect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of acceptance and reconstruction. Applying the above-mentioned axes to draw four quadrants, the third chapter reviews specific examples discussed in DCInside drama gallery. The discourses classified into the first quadrant integrate various interpretations of a certain event from a variety of point of view and reinterpret their meanings or generate new information, based on the ‘index of the point of view’ resulting from the repetition or recurring of the same events in TV dramas. Classified into the second quadrant are intervening discourses, namely predictable ones generated from the narratives of dramas, by the ‘index of time omitted or condensed,’ due to the narrative discontinuity of TV dramas. Classified into the third quadrant are subverted discourses where the narratives of TV dramas are collapsed by rejecting the ‘standard index of characters’ and eventually creating a new index. Classified into the fourth quadrant are discourses creating new narratives, which means that fans reject the standard ‘index of event’ and create a new index of event that they want so as to create new narratives. The fourth chapter articulates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discourses in online drama fandoms. Based on Yuri Lotman’s theory, this chapter suggests a semantic structure of discourses where the common discourse codes shared by drama fans are recreated or supplemented by a recognition of the external boundaries surrounding the fandoms, and then recombined by asymme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flicting voices of outside. New codes are created and then recombined with the external codes repeatedly. The codes circulating in such cycle are accepted as collective codes for online fandoms, making lubok- experience possible for them. Basically, drama fandoms accept the narratives of dramas. This research shows that, in online communities, the fandoms have reconstructed dramas to create discourses satisfying their desires, which result in the sum of the partial discourses more than the whole narratives of the original drama, and that they have enjoyed the pleasure of expanding narrative experience. Online community activities of drama fandom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fandoms for movies, plays, or idols in that the former expands their narrative experience by resorting to a variety of methods, for example to understand the indexes for expression, let alone the content of the drama, or to reject the typical indexes.;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중들은 단순히 매체의 소비자가 아닌 능동적 수용자 나아가 적극적인 창작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이 때 팬덤은 가장 적극적인 수행하는 집단으로 미디어 텍스트를 전유하고, 재해석하고, 대상과의 상호작용하면서 독자적인 문화 체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팬덤의 참여적 욕구가 직접적으로 발현되는 공간은 가상 세계인 온라인 팬 커뮤니티이다. 드라마 팬덤은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드라마의 한정된 서사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집단 내 문화 형성을 통해 의미 경험을 확장해 나간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드라마 팬덤이 생산하는 담화들이 상호 소통함에 따라 드라마 서사를 극복하고 서사 경험을 확장하는 구조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디시인사이드 드라마 갤러리를 대상으로 드라마 팬이 드라마를 수용하는 방식과 재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담화 생성 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담화 유형을 구체적인 사례로 밝혀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라마 팬덤의 커뮤니티 내 담화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텔레비전 드라마의 매체적, 서사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드라마 팬덤의 드라마 수용 방식과 표지 추출 형태를 시모어 채트먼(Seymour Chatman)의 이론에 기반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드라마 팬덤의 담화 재구성 방식을 노스럽 프라이(Northrop Frye)의 서사 양식 이론을 활용해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드라마 수용과 담화 재구성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담화 생성 모델로서 제안하고, 앞서 분류된 수용과 재구성 방식의 축을 통해 드라마 팬덤의 담화 유형 기준을 바련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앞서 기준을 통해 도출된 사분면의 유형에 따라 그 양상을 디시인사이드 드라마 갤러리의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반복성에 기인한 시점 표지로 여러 시점에서 표현되는 하나의 사건을 재통합해 새로운 정보나 의미를 해석하는 담화이다. 두 번째 유형은 드라마의 단절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략되거나 요약된 시간 표지를 통해 드라마 서사에서 예상 가능한 서사를 생성하는 개입적 담화이다. 세 번째 유형은 전형적인 인물의 표지를 거부함으로써 새로운 인물 표지 창조를 통해 드라마의 서사를 전복하는 담화이며, 네 번째 유형은 전형적인 사건 표지를 거부하고 팬들이 원하는 사건 표지를 창조, 직접 새로운 서사를 창작하는 담화이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앞서 밝힌 드라마 팬 커뮤니티의 담화가 어떤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조망해보았다. 유리 로트만(Yuri Lo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드라마 팬들이 가진 공통의 담화 코드가 팬덤 외부의 주변적 경계의 인식을 통해 다시 생성되거나 보충되는 과정을 가지며, 대립되는 외부와의 비대칭적 대화를 통해 다시 코드를 재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코드의 생성과 외부 코드와의 재조합이 반복되면서 순환된 코드는 집단 코드로 수용되면서 드라마 팬들의 루복적 경험을 가능하게 되었다. 드라마 팬덤은 드라마 서사의 수용을 전제하는 집단이다. 이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드라마를 재구성해 자신들이 원하는 담화를 형성함으로써 이 부분들의 합은 드라마 서사 전체보다 커지며, 확장된 서사 경험의 유희를 즐기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밝힐 수 있었다. 이러한 드라마 팬덤의 커뮤니티 활동은 내용과 표현의 지표들을 이해하고, 거부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서사적 경험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영화나 연극, 그리고 여타 팬덤의 커뮤니티 활동과 변별된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