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최보람-
dc.creator최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9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9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auditory comprehensio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auditory implicit statistical learn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NL), (2)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tasks: auditory comprehensio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auditory implicit statistical learning in the two groups, and (3) to identify the best predictor of auditory comprehension in two groups. The total of 32 Children composed of 16 with SLI and 16 with NL aged from 4 to 12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1) K-TTFC-2(Korean-Token Test for Children-2, Sin et al., 2011) which assesses auditory comprehension ability, (2) sentence repetition(Oh & Yim, 2013) which tap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3) statistical learning task(Saffran et al., 1997) which evaluates auditory implicit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di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asks between two groups except implicit learning task. (2) In the NL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SLI children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among the tasks. (3) the NL group's best predictor of auditory comprehension ability wa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but there was none for SLI group.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is a valid predictor of auditory comprehension in the NL childr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인간이 태어나 말을 배우고, 유창하게 사용하게 되는 과정들을 우리는 흔히 자연스럽고도 당연한 일로 받아들인다. 언어는 인간의 복잡한 사고방식을 정교하게 표현해내기 위해 일정한 규칙을 기반으로 구성된 하나의 시스템이다. 그러나 우리가 영유아기에 모국어를 배울 때에는 언어를 구성하는 규칙이나 법칙에 대해 의식하지 않더라도, 흔히 문법이라 불리는 언어구조의 규칙을 습득하여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의식하지 않고 지식을 습득하는 학습 능력을 암묵적 학습 능력이라고 하며, 인간에게는 태어나면서부터 암묵적 학습 능력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알려져 왔다. 또한 아동의 언어 발달 및 언어능력과 관련하여 암묵적 학습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것이 작업 기억 능력이다. 음운 작업 기억은 음운 정보를 임시기억 저장소에 저장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말하며, 아동의 어휘발달 및 읽기 능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표이다. 암묵적 학습과 작업 기억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기저능력이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능력과 언어 능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언어습득이 청각적인 감각을 통해 대부분 이루어진다고 판단하여, 작업 기억과 암묵적 학습을 측정하는 과제를 청각을 사용한 것으로 준비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만 4~12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으로 총 32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과제로는 듣기이해력을 측정하기위해 한국아동토큰검사(K-TTFC-2)를 사용하였고, 음운 작업 기억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청각 암묵적 학습에는 전이 확률이 적용된 통계적 학습 과제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에서의 과제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분석을 하였다. 또한 각 집단의 듣기이해력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이해력과 음운 작업 기억 과제에서는 집단 간의 수행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청각 암묵적 학습에서는 두 집단의 수행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청각 암묵적 학습 과제의 문항분석을 통해 아동들의 문항별 수행력이 각 단어의 전이 확률과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일반 아동은 전이 확률이 높은 문항일수록 정반응하는 아동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전이 확률과 수행력 사이에 일정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각 집단에서의 과제 간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일반 아동 집단에서만 듣기이해력과 음운 작업 기억 능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단순언어장애 집단에서는 과제 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일반 아동 집단의 듣기이해력을 예측해주는 요인은 음운 작업 기억 능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듣기이해력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은 듣기이해력과 음운 작업 기억 과제에서 수행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청각 암묵적 학습의 수행력은 단어 내 전이 확률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 아동의 듣기이해력은 음운 작업 기억 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음운 작업 기억 능력은 일반아동의 듣기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요인이다. 또한 일반 아동은 단어 내의 전이 확률이 높아짐에 따라 암묵적 학습의 수행력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일반 아동 집단과는 달리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과제 수행력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어 내 전이 확률과 암묵적 학습의 수행력 간에도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언어의 이해 및 사용에 있어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이와 같은 특성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 지식에 결함이 존재하며 언어 지식과 그 지식을 사용하는 언어 체계가 비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작업 기억과 언어 능력 9 1. 작업 기억 모델 9 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과 음운 작업 기억 11 B. 암묵적 학습과 언어 능력 14 1. 암묵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 14 2. 언어 발달과 암묵적 학습 능력 14 3. 단순언어장애군의 암묵적 학습 능력 16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과제 21 1. 음운 작업 기억 과제 21 2. 청각 암묵적 학습 과제 23 3. 듣기이해력 과제 25 C. 연구 절차 26 1. 자료 수집 방법 26 2. 자료 분석 방법 28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29 E. 신뢰도 29 F. 예비 실험 30 Ⅳ. 연구 결과 31 A. 집단 간에 나타나는 각 과제의 수행력 차이 31 1.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의 듣기이해력 31 2.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의 음운작업기억능력 32 3.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의 청각암묵적학습능력 33 B. 각 집단별 과제 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34 C. 듣기이해력의 예측요인 35 Ⅴ. 결론 및 논의 37 A. 단순언어장애 및 일반 아동 집단 간 과제 수행력의 차이 38 B. 듣기이해력과 음운작업기억, 청각암묵적학습의 상관관계 41 C. 듣기이해력의 예측 요인 42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3 참고문헌 45 부록1. 청각 암묵적 학습 검사지 53 부록2. 본 실험 실시 순서 54 부록3. 청각 암묵적 학습 과제의 문항 분석 결과 그래프 55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82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듣기이해력과 작업기억, 암묵적학습 능력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Among Auditory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and Implicit Learning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creator.othernameChoe, Bo Ram-
dc.format.pagev, 57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