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2 Download: 0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 연구

Title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Hybrids Education
Authors
김다예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문법교육은 국어 문법 탐구를 통한 학습자의 메타적인 사고력 발달을 강조하게 되면서 교육적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교육적 패러다임 안에서 탐구를 위한 주요한 인식 단위이자 교육적 대상으로서 국어 혼종어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혼종어를 활용한 단어 형성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단어 형성 교육이 결과적 지식 위주의 분석 중심적 관점에서 행해진 데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이에 대한 문법적 탐구는 단어와 언어 세계에 대한 체계적 안목과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혼종어 안에 담긴 언어 간, 언어 내 문법적 규칙 문화에 대한 접근은 확장된 국어 문화관 형성과 창의적 국어 문화 창조와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된다. 이러한 국어 혼종어의 교육 대상으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각각 문법 체계로서, 탐구의 대상과 창조적 자원으로서 밝혀 국어 혼종어 교육의 전제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문법교육의 내용이 지적(知的) 탐구에 가장 적합한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인식 하에, 국어 혼종어 교육의 내용을 설계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 혼종어 자료를 분석하여 교육 내용 구안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형성적 관점과 분석적 관점을 조화시킨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해 신어 중 혼종어 자료를 분석하여 교육 내용의 틀을 구체화하였다. 자료 분석은 어종과 형태소 분석에 따라 단위 요소 결합 차원, 단어 형성 방식 유형에 따라 유형별 형성 방식 차원의 두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어 혼종어라는 초점화된 대상으로 국어 단어 형성 교육에 접근할 때에 기존 단어 형성 교육에서 구체적으로 접근하지 못했던 체계로서의 단어에 대해 세밀한 접근과 탐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제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의 설계와 상세화를 위해 교육 설계의 관점을 밝히고 Ⅲ장의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기술하였다. 국어 혼종어 교육 설계의 기본 관점은 언어에 대한 생태언어학적 관점, 과정 중심의 문법 교육관, 활동 중심의 교육관으로 이를 국어 혼종어라는 단어 형성 교육의 초점화된 대상에 따라 국어 혼종어 관계 체계의 정립, 과정적 실체의 수용, 균형적 창의성의 설정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설계관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은 인지와 정의라는 목표 분류 영역에 따라 인지적 영역에서는 단어에 대한 관계적 지식, 단어 형성 과정에 대한 논리적 인식 활동을, 정의적 영역에서는 제약을 고려한 창의적 단어 형성 태도를 내용 범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내용 범주에 따른 세부 교육 내용 요소와 가능한 활동의 예시를 보여 교육 내용의 실제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적 관점에서 혼종어를 포괄하는 국어 단어 형성의 전체적인 모습에 관해 고찰하고, 사고 활동으로서의 문법 탐구를 초점화된 교육적 대상 차원에서 현실화시키기 위해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여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출발점으로 하여 탐구 학습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언어에 관한 탐구에 이르는 문법교육의 확장 가능성, 그리고 무엇보다 탐구가 존재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서 언어와 관련된 학습자의 고차적 흥미에 관해 고민하는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Korean grammar education strengthened its educational identity by putting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ve thinking through Korean grammar inquiry. This study looks into korean hybrids, as the subject of instruction and as a major unit of inquiry, under the aforementioned educational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content of word-formation education that uses Korean hybrids, based on the critical view that the conventional word-formation education has focused too much on simply conveying knowledge. Grammatical inquiry into hybrids helps learners to develop insight into the systems of words and language, and to promote logical thinking. Moreover, access to different languages and the cultures of those languages rules within hybrids can serve as a foundation to expand the cultual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and to create and further develop creative Korean-language culture. In this study, such values and significances of Korean hybrids as the subject of instruction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as a grammar system, the subject of inquiry and creative resources. By doing so, these values and significances were taken as the premise of educ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content should have the most adequate system for intellectual inquiry, this study designs the content of Korean hybrids education. Chapter Ⅲ builds the framework for education content by analyzing Korean hybrids data. In order to create education content that balances the formational and analytical perspectives, the framework for education content was concretized by analyzing newly-formed Korean hybrids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1) the combination of basic constituents including word types and morphemes, and 2) formation types.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words as a system, which had not been accessed concretely in the conventional word-formation education, can be accessed and studied in detail when Korean word-formation education specifically targets Korean hybrids. Chapter Ⅳ discusses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design in order to create and clarify the content of Korean hybrids instruction, and elaborates on instruction cont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n Chapter Ⅲ. The basic perspective for designing Korean hybrids education was set based on the general perspectives explained with the ecological linguistic perspective, the process-based grammar education perspective and activity-based educational perspective. Those perspectives are taken specific forms with the relational system of Korean hybrids, the acceptance of transitional substance and balanced creativity focus on Korean hybirds. Considering these perspectives, education content categories were set based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e cognitive domain includes relational knowledge about words and logical awareness activities about word-formation process, and the affective domain includes creative word-formation attitude on the premise of restriction. By presenting detailed education content factors and activities based on each domain, education content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 was created. This study's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analyzes the broad picture of Korean-word formation including hybrids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and concretizes Korean hybrids education content in order to include grammar inquiry as thinking activity into the specific subject of education. By doing so, inquiry study will be promoted and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 on how to expand grammar education to encompass language as a whole and on how to increase language-related high-level interest of leaners, which is a prerequisite for any academic inqui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