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creat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3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하고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지구촌 사회라 할 수 있다. 세계화 속에서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영어가 공용어로써 굳건히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물론 영어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관심도 안팎으로 쏠리고 있다. 실질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개개인이나 사회의 능력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기도 하며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영어 의사소통 능력 그 자체를 향상 시키는데 학습 목표를 두고 있기도 하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와 같이 EFL 상황에서는 영어에 대한 사용 기회가 비교적 매우 적기 때문에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더 집중 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영어 학습 방법을 통하여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부단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언어 학습의 학습 방법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고 더불어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 발전한 과업 중심 교수법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과업 중심 교수법은 말 그대로 과업 수행을 통하여 과업 자체에 대한 해결 능력을 기르고 학습자들에게 발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으로써 목표어에 대한 사용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비교적 더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는 교수법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과업 중심 교수법의 특징을 살려 교실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의 일환으로 과업의 질, 종류 등과 같은 과업 자체에 대한 연구와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히 진행되어야 하며 그 중요성 또한 강조를 거듭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말하기 과업 전 활동으로 과업 수행 전에 주어지는 과업 준비 시간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유창성, 정확성 및 복잡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와 함께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실험에 충실히 답하지 않은 학습자들과 실험에 필요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는 학습자 수를 제외한 결과 16명 학습자들의 언어 수행 결과만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과업은 NEAT 말하기 평가 2급 문제 중 그림 묘사하기 과업이었다. 각각의 과업을 수행하는데 앞서 과업 준비 시간을 0분, 1분, 2분을 주고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이 다 끝난 후 사후 설문지를 작성 하도록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각 연구 질문에 맞게 기술통계, 일원분산 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유창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과업 준비 시간은 영어 말하기 유창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전체 비율에 대한 휴지(pause)의 비율, 휴지의 수 검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채점자 점수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채점자 점수 결과에 대한 Scheffe의 사후 검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과업 준비 시간 2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업 준비 시간이 주어짐에 따라 학습자들은 보다 유창하게 영어 말하기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정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AS-Unit 당 오류 수와 채점자 점수에 의한 비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마찬가지로 발음의 정확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준비 시간이 주어진다 하더라도 학습자들의 말하기 정확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Ortega(1999)가 주장한 바와 같이 과업 준비 시간이 주어지더라도 기존에 학습자가 가지고 있던 잘못된 문법적 지식이나 결여된 언어적 지식이 단시간동안 조절되어 정확한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과업 준비 시간에 따라 영어 말하기의 복잡성에 차이가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AS-Unit 당 단어 수와 AS-Unit 당 종속절 수. TTR 검증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채점자 점수에 의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시 말해,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의 복잡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 했으며, 학습자들은 과업 준비 시간이 더 많이 주어지더라도 더 복잡한 형태로 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말하기 과업 준비 시간을 제공하는 것만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더 복잡한 언어를 발화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과업 준비 시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과업 준비 시간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과업 준비 시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업 준비 시간은 영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한, 과업 준비 시간 선호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 시간인 2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과업 준비 시간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보다 영어 말하기를 유창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정확하고 복잡한 언어를 수행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과업 준비 시간만이 학습자 말하기의 정확성, 복잡성에 효과적일 수는 없으며, 문법적·구문적 형태 중심 학습 방법 등을 통한 언어 학습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과업 준비 시간이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과업 준비 시간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에 향후 과업 활동을 통한 영어 학습에서 과업 준비 시간이 적절히 활용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이 16명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일반화 하는 것은 어려우며 실험에 사용된 과업 또한 그림 묘사하기 단일 과업으로 학업에서 활용되는 여러 과업 형태에 따라 과업 준비 시간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Today we are now living in a global village with active exchange and relationship taking place among countri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which English has taken a firm root as formal international language of the world, it is all too natural tha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a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has become an index of competitiveness for individuals and societies,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have set enhancement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as an important goal of their study. Moreover, since exposure and opportunity to use English is absolutely deficient as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ituation like that in Korea,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has increased and, most of all, unlike past, incessant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English speaking ability. Therefore, based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increase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task-based instruction has been increasingly implemented. Task-based instruction literally means increasing task-performing ability and improving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through executing tasks and it is more conveniently used in situations where using English is difficult. To enhance the English-speaking ability of the learners, studies on and application of the task itself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s well as studies on process of the task imple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ose studies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task preparation time given before the actual tasks has significant effect on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of High School students' speaking ability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emotional aspect of the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on 30 senior students in an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province and finally 16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language performance results with the exclusion of students who were not sincere enough in the experiment and who could not use smart phones necessary for the experiment. The task used for the experiment was to describe pictures in 2ndgrade speaking test of NEAT(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Before the task, 0 minute, 1 minute and 2 minutes of task preparation time was given to students. After the experiment, post-experiment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were conducted on the test results to fit each study questions. Summary of the experiment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ask preparation time had positive effect on fluency in English speaking. Although the pause rate, number of paus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rader score result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more specific examination with Scheffe's post hoc test, 2 minutes of preparation time had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s translated that providing preparation time for the task enabled learners to speak more fluent English. Second, as for the effect of task preparation time on the accuracy of English speak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both the number of errors per AS-Unit and grader scores. This result means that the preparation time does no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accuracy of the learners and as Ortega(1999) asserted, even with the preparation time, it can be hardly expected that incorrect grammatical knowledge or deficient knowledge on the words that learner have can be complemented in such a short time for accurate speaking. Third, the study investigated if the task preparation time had an effect on the complexity of English speaking. As the result, the result of verification on number of words per AS-Unit and the number of dependent clauses per AS-Unit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est score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That is, task preparation time did no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ophistication of English speaking of the learners and even with more time for the task preparation, learners did not speak in more sophisticated manner. This result implies that simply giving more time for the preparation of speaking task would not produce more complex speaking of English learners. Fourth, as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o test emotional response of the learners to task preparation time, learners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preparation time. Learner thought they required preparation time before the speaking tasks and they felt more confident when it is given. They preferred relatively longer time (2 minutes) of the prepar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ask preparation time enabled the learners of English to speak more fluently while it did not have any effect on accuracy and sophistication of English speaking. Therefore, not only task preparation time but also learning of grammar and syntax must be performed to enhance accuracy and complexity of the learner’s speech. Lastly, preparation time had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spect of the learners and as learners felt the necessity for the preparation time, it should be properly utilized for the task activities in English class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only 16 High School student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s study results to overall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dditionally, since the task used in the experiment was only picture description,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task preparation time for various types of tasks has on the performance of English speaking of the lear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영어 말하기 4 가. 말하기의 정의 및 기능 4 나. 말하기의 구성요소 6 다. 말하기 과정 7 2. 과업 중심 교수법 9 가. 과업의 정의 10 나. 과업 활동의 종류 11 다. 교수 학습 절차 14 라. 말하기 교수법 16 3. 과업 준비 시간 20 가. 과업 전 준비의 개념 21 나. 준비 된 담화와 준비 되지 않은 담화의 비교 22 4. 유창성, 정확성 및 복잡성 23 5. 선행연구 25 가. 국외 연구 25 나. 국내 연구 28 Ⅲ. 연구 방법 32 1. 연구 질문 32 2. 연구 대상 33 3. 연구 절차 33 4. 연구 자료 및 분석 도구 34 5. 연구의 제한점 3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9 1.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39 가.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휴지 비율 및 휴지 개수 비교 39 나.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영어 말하기 유창성에 대한 채점자 점수 비교 40 2.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45 가.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오류 수 비교 45 나.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발음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46 다.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영어 말하기 정확성에 대한 채점자 점수 비교 47 3. 과업 준비 시간이 영어 말하기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 48 가.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AS-Unit 당 단어 수와 종속절 수 비교 48 나. 과업 준비 시간에 따른 TTR 비교 49 4. 과업 준비 시간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50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7 <부록 1> 채점자 평가 기준표 62 <부록 2> 과업 1 63 <부록 3> 과업 2 64 <부록 4> 과업 3 65 <부록 5> 사후 설문지 66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29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과업 준비 시간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정확성 및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Different Length of Planning Time on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ral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Min Joo-
dc.format.pageviii, 71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박시영-
dc.contributor.examiner한종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