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 및 독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 및 독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Web-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uthors
김진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어휘는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네 가지 언어 능력을 학습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1980년대부터 의사소통중심 언어 교수법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읽기와 듣기를 통한 우연적인 어휘 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에게 우연적인 학습만으로 어휘를 습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송미정., 2003; 이화자., 1996; Gu & Johnson, 1996; Nation, 2001; Schmitt, 2000). 이에 따라, 국내 영어교육에서는 명시적 어휘 교수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에서 영어 수업시간의 대부분은 듣기와 읽기 같은 언어 학습에만 초점을 둘 뿐 어휘 교수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각 개인의 학습 전략에 따라 학습자들은 어휘를 학습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어휘 습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명시적 어휘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읽기와 관련된 어휘 학습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컴퓨터를 활용한 어휘 학습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1980∼1990년대의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언어 학습의 제한점이었던 음성지원 및 그래픽의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멀티미디어와 언어 교육의 결합은 영어 교육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이미지와 발음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를 통한 어휘 학습은 어휘의 형태와 의미의 연결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는 멀티미디어가 어휘의 전반적인 학습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머무르고 있으며 어휘의 수용적(receptive) 이해와 생산적(productive)사용 능력에 대한 세부적인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독해 능력에까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및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어휘 학습도를 바탕으로 어휘의 수용적 이해 및 생산적 사용 능력과 어휘의 발음 듣기 학습에 효과적인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독해의 전반적(global) 이해와 세부적(specific)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독해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웹기반 어휘 선행 활동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에 대한 설문을 통해 학습자들의 태도와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세 집단은 각각 읽기 전 이미지가 포함된 웹기반 어휘 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후 독해를 학습하는 집단, 읽기 전 이미지가 미포함 된 웹기반 어휘 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후 독해를 학습하는 집단, 그리고 마지막으로 읽기 전 이미지가 미 포함된 전통적 어휘 활동을 수행한 후 독해를 학습하는 집단으로 구성된다. 일주일에 한 차시씩 총 5주간의 학습 후 사전 평가와 동일한 어휘 평가와 독해 평가를 실시하여 어휘력과 독해력을 비교해보았다. 또한, 폐쇄형 문항으로 구성된 사전 설문지에 개방형 문항을 추가한 사후 설문지를 실시하여 웹기반 어휘 활동에 대한 영어학습자들의 태도와 반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전반적 어휘 학습량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이미지 제공 유무와 상관없이 웹기반 어휘 활동을 활용한 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어휘의 수용적 이해와 생산적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수용적 이해 문항 점수에서 두 실험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적 사용 능력 측면에서는 이미지를 포함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이미지를 미 포함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웹기반 어휘 활동의 이미지 제공 유무가 어휘의 수용적 이해 능력에는 효과가 없으나 생산적 사용 능력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이 발음 듣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미지 포함 웹기반 어휘 활동 집단, 이미지 미포함 웹기반 어휘 활동 집단, 전통적 지필 어휘 활동 집단 순으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이미지를 포함한 웹기반 어휘 활동이 발음 듣기 학습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읽기 전 웹기반 어휘 활동 유형에 따른 독해 능력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해의 전반적 이해와 세부적 이해 점수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 이해 문항의 평균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 이해 문항의 평균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웹기반 어휘 활동이 글의 내용의 세부적 이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웹기반 어휘 활동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웹기반 어휘 선행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향후 활용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개방형 설문 결과에서 웹기반 어휘 선행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어휘를 반복학습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웹기반 어휘 선행 활동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멀티미디어 언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웹기반 어휘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21세기에 영어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웹기반 어휘 활동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즉, 본 연구에 활용한 퀴아(Quia)와 같은 어휘 활동 제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뿐 아니라 철자와 발음듣기, 이미지 제공과 같은 입력을 강화할 수 있는 어휘 활동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 어휘 학습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습자에게 어휘 학습지를 배부하고 암기만 하도록 하는 주입식 교육 방법에서 탈피하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어휘 활동을 개발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탐구하고 활동을 수행하며 자연스럽게 어휘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어휘 활동을 교실 내 활동으로만 국한시키지 말고 교실 밖의 활동으로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많은 교사들이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수업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웹기반 어휘 활동을 수업 시간 외 학습자들에게 과업으로 부여하거나 모바일 기반 어휘 활동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면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끄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Vocabulary knowledge is of essential significance to reading comprehension, but many Korean students are still short of the vocabulary knowledge necessary to facilitate learning to read in English.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in schools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elsewhere, many teachers in Korea still find themselves putting aside the vocabulary teaching or letting students study by themselves individually due to the large amount of lecturing it usually takes. Similarly, even though experiments on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activities in English learning have flooded abroad with many researchers work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activities with multimedia, they are still not enough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web-based vocabulary learning programs on the Korean EFL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 students in Grade 10.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and took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ll of the participants took a pre-vocabulary test, pre-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prior survey on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web-based pre-vocabulary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s, students were divided in to three groups: 1) Group A; 2) Group B; and 3) the control group. Group A studied English vocabularies using the web-based activities containing target words, pronunciation audio and the image, while Group B studied English vocabularies using the web-based activities containing target words and pronunciation audio. Group B's web-based activities did not include images of target words. And the control group studied English vocabularies using traditional vocabulary activities (paper-based activities) containing target words and phonetic alphabets. After the five-week experiments, all the students took the post-vocabulary test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test. Also, they answered the post-survey to assess their attitudes toward using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Additionally, they were asked to offer their own thoughts on the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of the given method and their preference of the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t-vocabulary test score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treatment condition outperforme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web-based activities facilitated the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 and B. This implies that the image annotation on web-based activities have no influence on vocabulary acquisition. In addition, post-vocabulary test scores on the receptive vocabulary ques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owever, post-vocabulary test scores on the productive questions showed that students in Group A outperformed students in Group B and i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web-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images do facilitate the students’ productive vocabulary competence.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pronunciation listening questions scor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image annotation. Second, the types of vocabulary activities did not bring about any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the three groups. This suggests that the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y itself has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not depending on the types of vocabulary activities. Also, the result of 'global understanding' questions on the post-reading tes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f the types of vocabulary activiti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fic understanding’ questions on the post-reading test. Third, the participants' overall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ost-survey. Students answered that web-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were helpful in remembering target words and it is more convenient and interesting than traditional vocabulary activiti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eb-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vocabulary learn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vocabulary acquisition. The image annot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but it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ive vocabulary competence, pronunciation listening, and specific understanding of texts. Therefore, teachers should strive to develop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to improve Korea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as vocabulary acquisition in Englis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