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손유니-
dc.creator손유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2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생의 훈육 관련 문제가 학교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학생들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교사들은 이러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만큼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장애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교사가 학생의 문제행동을 다루는데 적절하게 준비되어 있지 못하다면 학생의 문제행동은 더 심해질 수 있고 그 피해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돌아갈 수 있다.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적절히 다루기 위한 대안으로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은 긍정적 행동지원의 원리를 학교차원에서 적용하는 것으로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업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학교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며,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사후처벌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환경을 조정하고 학생의 전반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예방 중심의 접근방법이다. 최근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다루기 위한 대안으로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긍정적 행동지원의 전략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계획하고 이러한 계획에 기반하여 학교차원의 실행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게 될 리더십팀의 전문성 향상은 도입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을 위해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 교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개발된 교사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수학교 상황에 맞는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특수학교 리더십팀 교사들에게 적용한 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 검증 후에는 참여교사들의 의견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1차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프로그램 최종본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중요한 교육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러한 요소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고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예비연구에서 나타난 교사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는 과정을 거쳐 1차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1차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은 보편적 지원과 개별 지원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강의, 토론, 발표, 역할극, 사례연구 등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교실에서 직접 연습해봄으로써 프로그램 내용이 학교현장에 일반화될 수 있도록 각 회기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준비하고 있는 서울에 위치한 2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리더십팀 교사 20명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두 학교에서 실시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방법은 동일하였으나 학교의 상황에 따라 운영시간과 기간은 달랐다. 한 학교는 1학기 내에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을 시작하려고 하는 학교였기 때문에 4개월 동안 12회기를 진행하였고, 다른 한 학교는 다음 해에 실행하려고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7개월 동안 12회기를 진행하였다.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교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차이를 종속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교사상호작용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전과 후에 수업시간 동안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을 직접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고, 사전․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참여교사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검토와 예비연구를 통하여 12회기로 이루어진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리더십팀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과 교사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특수학교 리더십팀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급관리기술 및 교사상호작용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본 결과 리더십팀 구성,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현장적용 노력, 성과, 프로그램 개선방안,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넷째, 프로그램 효과검증 결과와 교사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후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14회기로 구성된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최종본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참여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였고 전문가와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특수교사로부터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리더십팀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업무 조정과 같은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방안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는 학교의 리더십팀 교사들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기자 통제집단을 두고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리더십팀과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리더십팀의 성과를 비교하여 연구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In school, proper discipline is an important and crucial task that the school confronts.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are various and complex, but teachers are not prepared for controlling them skilfu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experience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ir students' problem behaviors. If the teachers are not prepared to handle problem behavior, the problem will worsen and as a result, the damage will affect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Recently, school-wide positive behaviors support (SWPBS), which is a program developed as an alternative plan for controlling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gaining the interest of school authorities. SWPBS is a prevention-centered approach which is founded on a set of principles for positive support at the school level. By adjusting the environment before problems occur, the system overall supports the academic and social success of students by helping to improve their general skills. Therefore, it is essential in the first stage that the teachers in a leadership team for SWPBS have professionalism in planning a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 and applying it at the school level.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systematic program for training the teachers in a leadership team for SWPBS. In this study,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WPBS in special school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teachers in leadership teams for SWPBS in two special schools. Then, the final structur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form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nd opinions from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as follows : at first, the educational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a literature review process and a draft of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eachers’opinions, the firs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12 sessions for teaching about universal support and individual support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discussion, presentation, role play, case study, and the application of the skills to actual classroom situations. The program was then applied to the teachers of leadership teams in two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and professionals’investigation of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the final program for leadership team for SWPBS in special schools was develop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teachers from two special schools located in Seoul preparing for SWPBS.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this program were the same, but operational processes for each schoo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ol situations. In one school, this program proceeded a term of 4 months with 2-3 sessions a month because the team's mission was to develop a system for SWPBS for their school participating in this study. In the other school, this program proceeded a 7 months term of 1-2 session(s) because the school authority wanted this program to be an ord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official launching of SWPBS project following yea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WPBS in a special school, the study measured pre-test and post-test based on teacher-efficacy, teachers’classroom management skills then used a dependant t-test.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direct observation during the class time was used and the difference of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through the dependent t-test. To collect detailed teachers' accounts of experiences and opinions concerning this program, small group interview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research,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leadership team for SWPBS in special schools was developed. Secondl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leadership team for SWPBS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teacher-efficacy, teachers’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interaction behavior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irdly, through small group interview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ressed their opinions and analysis of the program through 5 themes (leadership constru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effort of field application, outcomes, improvement plan). Fourthly,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of ‘effects review of program’and ‘small group interviews,’the program was modified. After professionals’review, the final form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leadership team for SWPBS in a special schools was developed with 14 s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2 A.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12 1.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등장 배경 및 정의 12 2.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16 3.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성과 26 4.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성공적인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5. 우리나라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선행연구의 동향 40 B. 전문성 향상과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49 1. 전문성 향상의 정의 및 유형 49 2. 전문성 향상 참여동기와 교사의 변화과정 54 3. 전문성 향상과 교사효능감 56 4.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전문성 향상의 필요성 60 5.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연구에서 전문성 향상 63 III. 연구방법 77 A. 연구문제 1, 3, 4의 연구방법 :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78 1.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 78 2. 프로그램 개발 절차 80 B. 연구문제 2의 연구방법 :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95 1. 연구 참여자 95 2. 실험장소 98 3. 실험기간 99 4. 독립변인 100 5. 종속변인 113 6. 실험설계 및 절차 117 7. 관찰자간 신뢰도 122 8. 사회적 타당도 123 9. 중재충실도 124 10. 자료처리 및 분석 125 Ⅳ. 연구결과 129 A.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실행전략 129 1. 프로그램의 목표 129 2. 프로그램의 구조 130 B.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134 1.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34 2.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학급관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135 3.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이 교사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136 C.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139 1. 주제와 주제들 간의 유기적 관계 139 2.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142 D.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최종본 개발 169 1. 프로그램 효과검증 결과 및 연구참여자 의견 반영 169 2. 프로그램 내용타당도 검증 2 170 3.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최종본 개발 173 Ⅴ. 논의 및 제언 178 A. 논의 179 1.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논의 179 2.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논의 181 3. 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논의 186 B.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196 참고문헌 199 부록 218 ABSTRACT 2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71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특수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 교사상호작용행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leadership team in special schools : Focused on teacher-efficacy, teachers’classroom management skill, and teachers’interaction behaviors-
dc.creator.othernameShon, You Ni-
dc.format.pagexi, 249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이효정-
dc.contributor.examiner권현수-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