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은숙-
dc.creator김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7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760-
dc.description.abstract장애학생은 학교에서 지역으로, 학생에서 성인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고 고등학교 졸업 후에 직업을 가지고 유지하는 데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에서는 장애학생들이 일반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적응 기술들을 실제적으로 훈련받을 수 있도록 현장실습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큰 과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애학생들은 지역사회 사업체 등에 현장실습의 기회를 만들기가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장애학생의 현장성 있는 직업교육 및 훈련 기회 제공과 취업기회 확대를 위해 2009년도부터 교육부는「진로?직업교육 내실화 사업」의 일환으로 특수학교 학교기업을 특수교육 분야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설치하기 시작하여 2014년 기준으로 전국에 총 20개 특수학교 학교기업이 설치?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현재, 20개 특수학교 학교기업 중에서 개관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17개를 대상으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 참여 장애학생의 취업현황 및 관련인의 인식과 요구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발전적인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을 위한 모형을 구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살펴보면 먼저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조사를 위해 17개 학교기업 담당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지를 통해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학교기업에 참여한 경험을 가진 최근 졸업생의 취업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관련인 인식과 요구조사를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특수학교 학교기업 담당교사, 학부모, 관리자를 비롯하여 인근학교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각 학교기업의 담당부장교사와 학부모 대표 1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위의 각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 초안을 개발하여 2차에 걸쳐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1차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담당부장교사 5명과 교감 1명을 대상으로 하고 이후 장애학생 직업교육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대학교수 5인을 대상으로 2차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여 전문가 의견 수렴과 관련 협의 등을 통해 모형을 최종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운영 중인 특수학교 학교기업 17교의 운영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기업의 사업종목은 17개 학교기업에서 평균 4종목 이상을 설치하여 총 22개 사업종목이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기업에 참여하는 설치학교 학생 수는 총 1,265명으로서 이 중 교과 실습 시간에 참여하는 경우가 9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실습시간과 방과 후 시간에 참여하는 경우가 122명, 방과 후 활동 참여가 91명으로 나타났다. 학교기업 운영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는 직종의 전문적 교육과정 마련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고 학생의 장애유형과 능력, 학교기업 담당교원의 전문성 수준 등이 포함되었다. 학교기업 운영 시 문제점으로는 무엇보다 담당교사의 업무부담 가중이 가장 크다고 보았고 기업 운영 전문 담당자의 부재, 경험부족으로 인한 운영 미흡 등의 문제점도 제시되었다. 두 번째로, 특수학교 학교기업에 참여한 최근 졸업생의 취업현황 조사 결과, 조사에 응답한 287명 중 133명(46.3%)이 취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제조업이 50명(37.6%), 서비스업이 44명(33.1%), 공공기관 등이 14명(10.5%)으로 나타났고 이들 중 정규직은 40명(30.1%), 비정규직은 93명(69.9%)로 조사되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경로를 살펴보면 지역사회 관련업체로 취업한 경우가 45명(33.8%), 학교기업 연계 업체가 35명(26.3%) 순으로 조사되어 특수학교 학교기업 관련 업체로 취업한 경우가 총 80명(60.1%)에 이르고 있어 이들의 취업기회 확대에 학교기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관련인의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 학교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 효과 측면 둘 다에서 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았고 학교기업이 장애학생의 현장실습 강화를 통하여 취업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었다. 장애학생 학부모와 교사 모두 특수학교 학교기업에 참여하면서 얻는 성과로서 장애학생의 자기관리기술의 신장 즉, 직업인으로서 필요한 기본 소양과 태도를 갖추게 되는 성과를 얻었다고 하였다. 특히 학교기업 담당부장교사들은 장애학생의 현장실습 확대와 취업 이후 사후관리 등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유관기관 업무 협조가 필요하고 그 외, 학교기업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경영 부문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와 지속적인 컨설팅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실태와 참여한 장애학생의 취업 현황, 관련인의 인식 및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 초안을 작성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담당부장교사 등 6명을 대상으로 1차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한 결과, 특수학교 운영 모형에 포함해야 할 요소에 대한 의견제시와 학교기업 운영 절차와 교육과정 운영을 분리하여 2유형으로 모형을 구안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이에, 제시된 현장의견을 반영하여 1차로 모형을 수정한 후 장애학생 직업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대학의 교수 5명을 대상으로 2차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은 학교기업 운영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이 통합되어 준비, 운영, 평가의 3단계가 순환?환류 되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최종 수정?보완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을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학교기업 운영 모형은 학교기업을 운영을 매년 준비하는 단계부터 운영단계 그리고 마지막 평가단계 등 3단계로 구분하였다. 이는 학교기업을 처음 도입하는 학교기업이나 이미 운영 중인 학교기업의 경우에도 매년 운영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전년도 평가를 환류하고 이를 반영하여 다시 환류?평가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이후 처음으로 전국의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학교를 대상으로 운영실태, 취업현황 및 관련인의 요구와 인식 등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이 장애학생의 현장성 있는 직업교육 및 취업 연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기회를 가졌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미래지향적인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을 구안?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새롭게 특수학교 학교기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특수학교와 현재 운영 중인 특수학교 학교기업이 보다 발전적인 운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It is not surprising that youth with disabilities are struggling to get ready to leave high school and go out in the world as young adults. Furthermore, they face more barriers in getting and maintaining jobs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erefore, prepa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chool-to work in real job setting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special schools. But, opportunities of on-the-job training at the companies in community are limited. In 2009, to improve the condit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ose popul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school-based enterprise(SBE)s to special schools and began to run it as a part of『Substantial Planning of Vocational Education』. Now in 2014, a total of 20 SBEs in special schools have been set up or in operation over the nation.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wo folds: (1) to investigate operational conditions, employment situa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and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relevant persons of 17 SBEs in special schools that are currently activated among the all and then, (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SBE in special schools.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SBEs in special schools, 17 head teachers in charge of SBEs were surveyed through 『The Condition Questionnaire of SBE in Special School』. Second, the employment outcomes of the recent graduates who had participated in SBEs were investigated. Third, a survey targeting the teachers in charge of SBE,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perintendents of special schools that are in operation, and other teachers and parents of neighboring schools was conducted. Then, in-depth interviews with a head teacher in charge of SBE and a parent of each school were carried out to collect their opinions. Based on each result of the investigations, a SBE which effectively promotes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n proceeded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model. 5 head teachers in charge of SBEs in special schools including a vice-principal and 5 professors who had expertise in transi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se interviews, the draft model was modified and revi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ist, as a result of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17 schools currently running SBEs, each was running 4 business areas on average and a total of 22 business areas. The students enrolled in SBEs were 1,265 in total. Among them, 900 participated in regular vocational education class, 122 through regular vocational education class and after-school class together, and 91 through after-school class. Priority consideration in operating SBE was to arrange profess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job type, and the other considerations included disability types or abilities of the students, and expertise level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BEs. Secon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employment status of the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SBEs indicated that a total of 133(46.3%) in 287 students who responded got their jobs. The number according to business area was as follows: 50(37.6%) in manufacturing, 44(33.1%) in service industry, and 14(10.5%) in public agencies. Among them, 40(30.1%) were in permanent positions and 93(69.9%) were in temporary. When taking a look at the employment route, 45(33.8%) students were employed in community based related companies, and 35(26.3%) students in the companies directly connected with SBEs. So, a total of 80(60.1%) students were hired in SBE related companies It meant SBE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employment opportuni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investigation on the relevant persons' perceptions and needs showed that they considered SBE had positive influences on both satisfaction level and educational outcom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greed on the fact that SBE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employment opportunity through improved on-job training. Both parents and teach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ported that one of the important outcomes they gained from participating in SBE was the improvement in self-help skills, or the knowledge and attitudes general workers need,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 with 6 teachers including head teachers in charge of SBEs drew some opinions about the model for SBE in special school that some factors must be included in the model, and one of their opinions asserted that SBE operation procedure should be separated from curriculum operation in the model. So, after modifying the first model, the author collected opinions through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professors who had expertise in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ofessors presented an opinion that the model should consolidate SBE operation and field 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and then 3 stages of prepar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should be circulated and give feedback each other. Therefore, the author reflected the opinion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draft model for the final on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n-depth investigations on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SBEs of the special schools running SBEs over the nation, employment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and need of the relevant persons were first carried out and had an opportunity to perceive the influence of SBEs on vocational education and employ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operation model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schools that were running SBE or were planning to run toward better dir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2 A.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및 현장중심 직업교육 12 B. 학교기업 18 C. 특수학교 학교기업 28 Ⅲ. 연구방법 38 A. 참여자 38 B. 도구 40 C. 절차 47 D. 자료처리 58 Ⅳ. 연구결과 59 A. 특수학교 학교기업 실태조사 결과 59 B. 특수학교 학교기업 취업현황 조사 결과 75 C. 특수학교 학교기업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 83 1. 특수학교 학교기업 인식 및 요구조사 결과 83 2. 면담조사 결과 104 D. FGI를 통한 학교기업 운영 모형 구안 128 Ⅴ. 논의 143 A. 논의 145 Ⅵ. 결론 154 A. 제한점 159 B. 제언 159 참고문헌 161 부록 1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실태 조사지 177 부록 2 특수학교 학교기업 졸업생 취업 현황 조사지 187 부록 3 특수학교 학교기업 졸업생 취업현황 조사 신뢰도 188 부록 4 특수학교 학교기업 교사용 설문지 189 부록 5 특수학교 학교기업 부모용 설문지 203 부록 6 특수학교 학교기업 관리자용 설문지 213 부록 7 특수학교 학교기업 인근학교 교사용 설문지 216 부록 8 특수학교 학교기업 인근학교 부모용 설문지 221 부록 9 교사용 학교기업 만족도 및 학교기업 효과 문항 신뢰도 226 부록 10 학부모용 학교기업 만족도 및 학교기업 효과 문항 신뢰도 228 부록 11 특수학교 학교기업 교사용 면담지 230 부록 12 특수학교 학교기업 부모용 면담지 231 ABSTRACT 2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9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형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School Based Enterprise Model in Special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Eun Suk-
dc.format.pagexi, 235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김삼섭-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이영선-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