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강우리-
dc.creator강우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660-
dc.description.abstract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이란 미래 행동을 이끄는 것을 목적으로 개인의 경험에 대해 새롭거나 수정된 해석을 추론하는 과정으로의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이다(Mezirow, 1996). 환경교육은 개인의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통해 삶이 변화되고, 나아가 사회의 변화까지 연계될 수 있는 교육이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도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소개된 전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친환경습관캠프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환경교육은 대부분 환경지식을 쌓는 것에 목표를 두었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인지적으로 환경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것이 환경행동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유지산, 나규환, 1999; 임형백, 2002; 정영란, 우현경, 1994).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행동이 일어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금지헌, 2011b; 금지헌, 김진모, 2011). 환경행동은 환경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측정에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 따라서 환경행동에 대한 최선의 대안으로 환경행동의도를 측정하였다. 환경행동의도는 환경행동을 가장 강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며(박희서, 노시평, 김은희, 2007), 나아가 환경행동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환경태도라는 것이 선행 연구에서 규명되고 있다(강종헌, 이재곤, 2008; 금지헌, 김진모, 2011; 김은희, 2004). 또한 리더십은 태도와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김경아, 장효주, 최창욱, 2010; 박기호, 김연정, 2010; 심지연, 이형룡, 2012), 환경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유추가 가능하지만, 리더십과 환경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연구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전환학습은 리더십과 태도, 의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이론으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다(강명희, 김현정, 류은진, 2014: 강찬석, 최은수, 2012; 박경호, 2003; 한우섭, 최은수, 2007). 따라서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를 통해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므로 세 변인을 측정하여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환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친환경습관캠프를 설계하고 개발한 후, 캠프에 참가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대상으로 캠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후 참가집단만을 대상으로 환경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에 예측변인으로 리더십을, 매개변인으로 환경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환경행동의도를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1.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는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참가자의 환경태도는 리더십이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환학습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습관캠프에 참가한 49개 중학교 중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캠프를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으로 캠프를 참가하지 않은 5개 중학교 중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리더십 진단도구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중학생용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 환경태도 진단도구로는 정철(2007)의 연구에서 활용된 23문항, 환경행동의도 진단도구로는 금지헌(2011a)이 개발한 환경행동 진단도구의 문항을 ‘앞으로 한 달 동안 ~ 할 생각이 있다’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항과 다른 변인 설문 문항과 유사성이 높은 문항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제외하여 최종 연구도구로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의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참가자의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리더십과 환경태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에 걸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소벨 테스트(Sobel-test)를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Window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 간의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가 모두 참가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가 리더십과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를 높이는 효과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환경행동의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므로 환경행동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여겨지는 환경행동의도를 높이는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리더십과 환경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환경태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에 걸친 검증과정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독립변인인 리더십은 종속변인인 환경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독립변인인 리더십은 매개변인인 환경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리더십과 환경태도를 하나의 방정식으로 환경행동의도에 회귀시켜 리더십과 환경행도의도 간의 환경태도의 매개역할을 확인한 결과 환경태도는 리더십과 환경행동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수준의 리더십으로 인해 활성화된 환경태도가 환경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리더십이 환경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경태도가 높은 경우 리더십과 환경행동의도 사이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친환경습관캠프에 있어서 전환학습 이론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해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효과성을 밝힐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친환경습관캠프에 있어서도 전환학습 이론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영향요인으로는 리더십이 환경태도와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므로, 교수전략적 측면에서 리더십 향상에 대해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태도는 환경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리더십과 환경행동의도 간 환경태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를 위해서는 리더십을 높이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환경태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리더십이 환경태도를 매개로 하여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환경교육에 있어서 리더십을 함께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방법으로는 봉사활동(김경아, 2007), 동아리활동(최창욱, 김정주, 송병국, 2005)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교육과 관련하여 이를 밝힌 연구가 없으므로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리더십을 키우기 위해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간의 평균 차이가 전환학습에서 비롯된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전환학습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해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가 높다는 것은 의미가 있으나, 이러한 차이가 전환학습 기반이기 때문에 나온 것인지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 촉진 요인으로 활용한 경험 위주의 프로그램 구성과 다양한 매체 활용, 팀별 대학생 멘토가 어떠한 촉진 결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환경교육이 지식 배양과 환경체험활동을 넘어서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관련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현재, 미래 사회의 환경이용에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환경을 위한 교육(educations for environment)’으로 행해졌는지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환경행동까지 측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캠프 종료 후 최소 한 달 후에 환경행동까지 측정하여 환경행동을 포함한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s the theory explaining learning as a process to infer a new or revised interpretation on individual experience with a view to inducing a future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shall be the one to change one’s life through changes of individual awareness and behavior, in addition connecting to social changes. So, this study suggests an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designed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llowing leaner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s. The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mostly aimed at cultivating environmental knowledge, however, precedent studies suggested a research finding that knowing the environment well is not connected directly with the environmental behavior. Accordingly, it is a recent move that many explorator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on factors that environmental behavior could happen. Since it is desirable to measure environmental behavior some time after environmental learning was completed, there is a limitation to measurement in practice. Hence, as the best alternative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was measure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variable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behavior most powerfully, also precedent studies identified that a factor influencing directly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is the environmental attitude. Besides, given precedent studies that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and intention, it is possible to infer this is a factor influencing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Precedent studies showed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is the theory effective for enhancing leadership, attitude and intention.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may be intensified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abit camp through measuring 3 variables. So, afte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 for camp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and examin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only for the participants. Setting leadership as a predictor, environmental attitude as a mediator,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Topic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r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Topic 2. Does participants' environmental attitude take a mediating role i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prediction by leadership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To verify research topics, this study conducted the camp for 148 students from 49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and collected the same data for 118 students from 5 middle schools who didn't participated in the camp as a comparative group for the research topic 1. As for the diagnostic tool for measuring leadership, ‘KEDI Leadership Inventory(Simplified) for middles schoolers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and 23 items were used from Cheong for diagnos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As for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cale, a corrected items from the scale by Keum were used, in other words, they were corrected to 'I have a intention to do ~ for one month'. The final research tools were used after excluding items reducing reliability and having high similarity with questions of other variables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for the analytic metho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 in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r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and 3-phas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y Baron and Kenn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and leadership predicting participants'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Beside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the Sobel-test. SPSS 18.0 Windows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n difference in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r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r the participant group. This means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has an effectiveness for enhancing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Particularly, sinc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among participant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he camp enhancing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regarded as a predictor to forecast the environmental behavior most powerfully. Secondly, in order to identify if environmental attitude take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Baron and Kenny's 3-phase verific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leadership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nvironmental attitude of the mediator variable. Final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mediating role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by regression of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attitude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as an equation, it showed that environmental attitude takes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uch a finding means that leadership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ince environmental attitude activated by higher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is also means that higher environmental attitude build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more powerful. With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study identified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may be used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Compared with non-participant group, this study identified higher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r the camp participant group. So, this study succeeded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suggesting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may be used in future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For the influencing factor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this study identified that leadership is a predictor of for the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o it mean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enhancement of leadership in terms of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addition, environmental attitude was shown as the predictor explaining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Particularly, medi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was verified between leadership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Accordingly, for a successful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enhanc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as well as leadership. Followings are som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research findings. Firstly, this study showed that leadership predicts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via environmental attitude. So, it's necessary to conduct follow up studies on methods cultivating leadership together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for methods for cultivating leadership, there are volunteering, club activities but there is no research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Hence, studies on continual activities for cultivating leadership are needed even after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Secondly, it is required to identify if mean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it is a meaningful result that participant group showed higher leadership,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an non-participant group. Howeve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if such a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ve learning. Besides, as for effects of programs centered on experienc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undergraduate mentors by team used for facilitating factors for learn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erify their facilitating effects. Thirdly, this study suggests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i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done toward 'educations for environment' inducing persons to make a correct decision on the future utiliza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exploration on personal reaction to the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issues beyond knowledge cultivation and environmental experiencing.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relationship of variables includ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through measuring it for at least one month after completion of a cam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1. 전환학습기반 교육 프로그램 6 2. 환경행동의도 6 3. 리더십 7 4. 환경태도 7 Ⅱ. 이론적 배경 8 A. 전환학습이론 8 1. 전환학습의 개요 8 2. 전환학습의 주요 단계 10 3. 전환학습을 촉진시키는 요인 11 4. 전환학습에 대한 실천적 연구 13 B. 전환학습과 환경교육 15 C. 환경행동의도 19 D. 리더십 22 E. 환경태도 26 F. 변인 간의 관계 연구 29 1. 전환학습과 타 변인들 간의 관계 29 2. 리더십과 타 변인들 간의 관계 30 3. 환경태도와 환경행동의도 간의 관계 31 G. 선행연구 요약 및 가설 32 1. 선행연구 요약 32 2. 가설 35 Ⅲ. 연구방법 36 A. 연구대상 36 B.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37 1. 학습자 분석 37 2. 교수-학습 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정 38 가.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 38 나. 교수매체 및 자료의 선정 39 3. 교수-학습 방법, 매체 및 자료의 활용 40 4. 학습 촉진 방안 45 C. 연구도구 48 1. 리더십 48 2. 환경태도 50 3. 환경행동의도 52 D.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54 IV. 연구결과 56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56 1. 기술통계 56 2. 상관분석 58 B. 집단 간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의 평균 비교 59 C. 참가자의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리더십과 환경태도의 관계 60 Ⅴ. 논의 및 제언 62 A. 논의 62 1.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리더십,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 차이 62 2. 참가자의 환경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리더십과 환경태도의 관계 63 B. 시사점 65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문헌 68 부록1. 설문지 79 부록2. 리더십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2 부록3. 환경태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3 부록4. 환경행동의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4 부록5. 캠프 자료 85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19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효과와 영향요인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amination on Effect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ransformative Learning Based Environment-Friendly Habit Camp-
dc.creator.othernameKang, Woo Ri-
dc.format.pagex, 99 p.-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강명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