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초등 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Title
초등 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nglish teaching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English teaching career in elementary teachers
Authors
송미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 경력에 따라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에 영어 교과가 도입된 지 벌써 17년이 흘렀지만 초등 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다. 초등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부분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에 의지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초등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 중 특히 현장의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실질적인 초등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초등 교사들의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는 것은 현장의 교사들이 바라보는 초등 영어교육의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초등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란 연구 대상자인 교사가 현재 본인이 영어교육 전문성의 요소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 지, 현재 자신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이를 어떠한 방향으로 발달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말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 교사전문성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와 영어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초등 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초등 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크게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교육청으로부터 인정받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앞서 추출한‘초등 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초등 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면담을 계획하고 총 1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대상자는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영어를 가르치거나 가르친 경험이 풍부한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교사들을 Huberman(1998)이 제시한 교사의 경력에 따른 발달 단계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주제에 맞게 영어교육 경력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었다. 영어교육 경력 1~3년을 1그룹, 4~6년을 2그룹, 7~18년을 3그룹, 9~30년을 4그룹, 31년 이상을 5그룹으로 하여 5단계의 경력으로 나누고 각 경력별로 총 3명씩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이 끝난 후 그 면담 내용을 전사 및 분석하고 결과를 추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의 경력별 특징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요소에서 경력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들을 있었다. 첫째,‘언어적 유창성’요소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그룹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영어의 유창성 보다는 학습자의 영어 사용 수준에서 이해 가능한 수준의 영어 사용을 중시하고 있었다. 1그룹의 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영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영어가 매우 유창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그룹의 교사의 경우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영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고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3그룹의 교사들은 초등 교사에게 필요한 영어의 사용 수준은 초등학교 교과서의 표현을 사용하여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그룹과 5그룹의 교사들은 같은 뜻의 말이라도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둘째,‘수업 계획’요소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그룹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에 수업 계획의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을 수업에 끌어들이기 위하여 그들의 흥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2그룹은‘초등학생의 특징을 반영한 영어교육’을 ‘수업계획’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초등학생의 특징은 집중 시간이 짧고 활발한 활동과 놀이를 좋아하는 등 초등학생 시기의 아동들에게서 보여지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발달 특징을 말한다. 3그룹은 영어수업을 계획할 때 2그룹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특징에 대한 이해에 더하여 타 과목 및 상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그룹과 5그룹은 초등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영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영어교육에 초등교육학의 기반을 두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교육의 특징인 통합 교육을 강조하면서 초등학생들이 학습을 통합적, 전체적으로 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언어의 4기능 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실천’요소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그룹의 경우 교사들은 처음에는 수업의 실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자신의 전문성에 자신이 없는 모습을 보였다. 그들은 학생들의 다양성에 의한 변수에 의해 수업이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때 수업을 실패한 것이라 여겼다. 그러나 2그룹에서 3그룹으로 가면서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들은 자신이 사전에 짠 수업 계획안보다는 학생들의 반응을 더 중시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교사들은 학생들이 유동적이며 변화무쌍한 존재임을 인정하고 그들의 변화에 맞추어 수업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은 사전에 짠 수업 계획이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시작하였으며 수업 계획을 바탕으로 수업을 하되 그때 마다 학생들의 반응에 따라 유동적으로 수업을 변화시켜 나갔다. 마지막 단계인 4그룹과 5그룹의 교사들은 ‘실천’요소에 있어서 공통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그들은 수업을 학생의 경험과 상황에서 시작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 혼자서 진행하는 수업이 아닌 학생과 만들어가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넷째,‘지식’요소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지식’요소의 경우 1그룹에는 초등 영어교육 이라는 분야에 필요한 다양한 학문적 지식과 이해들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2그룹의 경우 교사들은 수업에서 실제적인 영어 사용이 이루어지기 위해 어떠한 지식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그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3그룹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식’이라는 학문적 요소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의 수업에서의 실천적 쓰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는 4그룹과 5그룹의 교사들이 강조하는 ‘실천적 지식’에서 가장 극대화 되어 나타난다. 교사들은 전문성이 발달할수록 수업에서 많은 지식들을 사용하였으며 그 지식들의 사용을 토대로 하여 수업에서 많은 성공경험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계속적인 성공경험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자신들이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과 교실 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4그룹과 5그룹에 이르러서는 이론적 지식이 오랜 시간 동안 수업에서 다듬어져서 수업에서의 실천적 지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다섯째, ‘전문성 발달’요소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그룹의 교사들은 아직 교직에 적응하는 단계에 있으면서도 자신들이 담당하고 있는 영어 교과에 대하여 주위 교사들로부터 조언이나 도움을 구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2그룹의 교사들은 자신들의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시기의 교사들은 대학원 진학, 적극적인 연구 활동, 연구회 활동 등을 통하여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시켜 나갔으며 이러한 활동을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영어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을 만나게 되었다. 이러한 교사들과의 교류는 3그룹에 이르러서 일종의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로서 나타나게 된다. 3그룹의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 노력이 대부분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은 이 안에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하거나 친교를 나누면서 서로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에 큰 영향을 주고받고 있었다. 4그룹과 5그룹은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여 타 교사들의 영어수업 전문성 발달과 초등 영어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이는 수업 지도, 장학, 연구팀 활동, 연수 강사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영어와 관련한 다양한 수업 자료나 교과서 등을 제작함으로써 초등 영어교육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교사의 시각’에서 수업을 바라보다가 ‘학생의 상황과 눈높이’에서 수업을 바라본다. 이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이 이러한 방향의 수업을 지향점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교사의 시각’이란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이 ‘교사 중심적’이라는 뜻이며, 수업 계획 및 실천을 교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뜻이다. 이렇듯 교사들이 일관된 하나의 방향으로 변화해 가는 것은 그들이 지향하는 하나의 전문성 발달 방향이 있으며 그를 향하여 스스로를 변화시켜가고 혁신해 가는 것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영어교육 전문성과 그 전문성이 발전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 중심’에서 ‘초등교육 중심’이 된다. 이는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초등 교사들이 영어를 중시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초등 영어교육은 초등교육과정 및 초등교육학에 대한 이해의 기반 위에서 학습 대상자인 아동의 상황에 대한 충분한 고려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뜻한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 영어과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 및 교사들 간의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 교류는 매우 중요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향을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들은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초등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었다. 그리고 이 활동이 그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 사이의 교류를 통한 전문성 발달 노력을 돕기 위해서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주축이 되며 진입 장벽이 낮은 ‘비공식적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공동체는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진입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많은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진입장벽이 낮은 ‘비공식적인 형태의 학습 공동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을 단계별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교사들이 스스로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고 보여지지만 질적 연구로만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좀 더 발전시켜 자가 진단 및 타인의 전문성 평가까지 가능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은 체계적인 진단 도구를 양적 연구를 통해 만든다면, 차후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단계에 따른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은 지속적으로 영어를 가르쳐온 교사들과 그렇지 않은 교사들이 나누어져 큰 편차를 보이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의 연수를 듣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 나타난 전문성 단계별로 필요한 전문성 발달 노력의 방향을 바탕으로 하여 각 전문성 발달 단계에 알맞은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초등 교사들이 영어교육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학교 중심의 전문성 신장 지원을 위한 멘토링 운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각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초등 교사들에게 영어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멘토링을 해줄 수 있는 영어교육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을 연결해 주기 위한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넷째, 온·오프라인 학습 공동체 구축 운영 및 지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앞의 결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비공식적 학습 공동체는 초등 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학습 공동체를 온라인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학습 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학습 공동체를 오프라인의 형태로도 발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hange in recognition for their expertise in English education based on English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are a few studies for English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lthough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troduced 17 years ago. Therefore, the theory of English teaching in primary expertise depend on the study of English teaching expertise in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school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o, it's a reason to need research into English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the research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expertise is nonexistent. Studying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English teaching expertise based 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be able to demonstrate expertise in the field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eachers are looking at. Specific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How to change the perception of English teaching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English teaching career in elementary teacher?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The first, study about the research of expertise, expertise on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And 'English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pecialization component' was extracted from them. The 'English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pecialization component', verbal fluency, lesson plans, practice, knowledge,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The survey about it was conducted for teachers referr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fter the survey, 'English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pecialization component' was confirmed. Total of 15 teachers were interviewd about English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pecialization components'. Huberman (1998)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career. This study referred his study and divided the teachers' group into 5. 1-3 years English teaching experience is group1, group2 is 4-6 years English teaching experience, group3 is 7-18 years English teaching experience, 9-30 years English teaching experience is group4, More than 31 years experience divided into group5. 3 teachers of Each group was interviewed. After the end of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interview was analyzed and extracte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results about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were extracted specific features of English teaching career. Teachers' recognition about verbal fluency, lesson plans, practice, knowledg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showed different feature depended on the different careers. First, the perception about 'verbal fluency' is as follows: 'Verbal fluency' element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showing its importance is increasingly recognized weakly expertis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career group. Teachers in the first group think that it should be very fluent in English to teach English at the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s in the second and third group thought that only the classroom English is needed to teach English in an elementary school. They needed rather low level English fluency than the teachers in the group 1. The teachers in the group 4, 5 thought that th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was enough to use the expres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teachers in the group 4 and 5 had almost similar perception about 'Verbal fluency'. Second, changes in awareness shown in 'lesson planning' element are as follows. Teacher of the first group were focused on the lesson plan for 'students' interests'. The second group saw as the most important par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reflected into 'lesson pla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refers to a variety of physical, menta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short attention span and active play. The third group were aware tha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higher education courses. Group 4 and group 5 thought that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of primary education. Third, changes in awareness shown in the "action" elemen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group of teachers initially suffered many difficulties in the execution of the instruction was not the look in their own expertise. They considered a class when the class will failed by a variable due to the diversity of the students did not go as planned. However, in the second group going into the third group, the higher the English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began to focus more of their responses than their salty lesson plans in advance. Teachers, students at this age are flexible and recognize that there is an ever-changing and showed the appearance of changing the class according to their change. Teachers plan lessons woven in advance began to feel that it is absolutely the lesson to be observed based on the lesson planning, but went to dynamically change the class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students' reactions. Teacher of the last stage of the fourth group and the fifth group were shown a common recognition in the 'practice' element. Emphasized that they were to begin classes at the student's experience and circumstances. Students and teachers, not teaching yourself to make progress this way should be emphasized class. Fourth, changing perception of the 'knowledge' element is as follows. The first group thought various areas of academ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of teachers identify what knowledge is needed to practical English lessons and ha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at knowledge. For the third group as well, emphasizes not only academic element of 'knowledge' but also the knowledge of practical teaching. This is the maximum appears in the fourth and fifth groups, emphasized teacher' 'practical knowledge'. They use this knowledge based on a lot of success experience in the classroom. Due to the continued success in classroom, teachers had confident about the ability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in the classroom.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fourth group and the fifth group was refined as practical knowledge in the classroom. Fifth,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lement is as follows. The first group had difficulties to seek an advice or help from other teachers. It's too hard to search teachers who have expertise about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second group seem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 aggressive effort to develop their own expertise. This time, they went to the graduate school, to do active research activities or other activities such as workshops. Naturally, they met professional teachers among these activities. This meeting helped their development efforts for expertise of English education. This meeting was continued as a kind of learning communities until the third group. The most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of the teachers of the third group were made in learning communities. They were gett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expertise with each other in the learning communities. The fourth group and the fifth group was help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other English teachers to develop their expertise. Also the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by making a variety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xtbooks related to elementary Englis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 of view at the class moved English teaching experience into students' eye level situation. This mean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thought that the lesson of such direction is an ideal class. Second, the higher English teaching experience of the elementary teachers, their recognition about expertise was changed from 'English language training centered' to 'primary education centered'. This means an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should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and also based o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formal or informal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re very important as a way to develop English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trend appeared to teachers who had high career of English teaching. The teachers was getting a stimulus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expertise. And this activity was influenced most directly in their recognition about expertise in English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low barriers to entry, non-formal learning communities in order to help the effort of expertise development. Although the community of teachers in this study got a very positive impact from the learning communit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But there were high barriers to entry. Therefore, non-formal forms of learning communities with more low barriers to entry is required. The proposal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hat research on diagnostic tools that can diagnose the professionalism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teachers. If a more systematic diagnostic tool will be made, it will help to the English education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it needs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English education career st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f an appropriate training program will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each step teacher, elementary teachers will get help to develop English language teaching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mentoring system for the support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 is a need to find a way to connect with English teacher who can professionally mentoring for English teach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gan teaching English at the school. Fourth, it is necessary to study online and off-line learning community to be build and support the operations. Non-formal learning communities, as suggested in conclusion, are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riety online learning communities will be able to help learning communities' entry barriers to be low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