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박수련-
dc.creator박수련-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0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reception of contents statem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to explore optimization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 from this analysis. This study desires to explore more fundamental optimization method such as form of educational content character and meaning, and statement or presentation methods of learning contents rather than reducing content to solve a problem of optimization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intimated continuously from 4th Curriculum up to now. To achieve this, teachers' preception and analyses, key subject of the judgment of optimization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decided as the main contents. A subject for inquiry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what is teacher's preception of change flow of a content statement of subject education course of science(biology) in the middle schools from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what is teachers’ preception about the effects of statem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in subject education course on actual class, evaluation, and optimization level of educational contents? Third, what is teachers’ precep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statem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of a science(biology)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of U.S.A., and the United Kingdom. Fourth, what is teachers’ preception about improvement of statement method of contents in this coun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such subject for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o examine teachers’ preception about change of a content statement of science(biology) in the middle schools from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eachers recognized that flow of statement method changes to the direction that stresses and suggests connectivity and integrity of contents. In addition, the statement form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uggested clearly in an aspect of reflecting the big ideas of the curriculum, and the statemen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ade a structural connection and suggested well in an aspect of contents organization, but it concentrated on integration overly, so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concepts to learn are excluded. Second, teachers’ preception about the effects of statem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was deducted with 3 kinds such as actual class, evaluation, and optimization level of educational content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statem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affect school class and evaluation. As standard of contents accomplishment has become integrated and the connected statement method has changed since 7th Curriculum until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etter school education is going along in point of laying stress on close relationships among directions and rating as the connectivity problems on explaining contents to learn. Teachers confirm contents and level of difficulty to teach based on a content statement that i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so they recognize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ment of learn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nd quantity and level of school educational contents. Third, the cases of U.S.A. and the United Kingdom were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the case of Korea for teachers’ preception of a content statement of foreign curriculums. As a result, teachers said that the content statement of U.S.A. is long and difficult, but suggests the big ideas concretely and minutely in terms of statement method. In case of teaching according to a content standard of U.S.A., the connected class of the key contents is possible and such learning can cause students’ meaningful study. Most teachers said that educational contents of the English statement are small in quantity and are simple in comparison with educational contents of other countries. Fourth, as a result to examine teachers’ preception about assignments of a content statement method in Korea, 3 kinds of assignments were deducted.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suggested connectively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priority. Second, a content statement(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suggested as a statement principle that makes teachers understand what and how they teach clearly. Thir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examined and be stated with other su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 to explore optimization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First, a content statement of the curriculum(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stated with the big ideas as a center for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econd, a content statement of the curriculum(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stated with the object of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Third, a content statement(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stated about the contents teacher should teach and the contents students should know for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uch discussion has significance for that a content statement becomes the standard for teachers to form their lessons with the key contents as a center, and this content statement is used for students to receive meaningfully, so this content statement becomes one of the ways for a effective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의 특징과 내용 진술문의 변화에 따른 수업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적정화에 기여하는 교육내용 진술방식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던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육내용의 적정화가 단순히 교육내용의 양을 줄이는 것만이 아니라 교육내용의 성격과 의미를 규정하는 일과 관련되는 과제임을 논의하고, 이와 관련하여 교육내용의 진술방식이나 내용 제시방식의 개선을 통해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내용 적정화의 핵심적인 판단주체인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 진술을 개선해 주려는 노력에 따라 실제 학교 수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학습 내용 진술방식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선된 교육과정에 따라 실제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중학교 과학(생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의 변화 흐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진술 개선에 따른 실제 학교 수업, 평가 그리고 교육내용 적정화 수준의 변화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미국 및 영국의 중학교 과학(생물)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진술방식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우리나라 내용 진술방식의 개선 과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중학교 과학(생물)교과 내용 진술문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진술방식의 흐름이 내용의 연계성 및 통합성을 강조하여 제시해주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과 내용의 핵심개념 반영 측면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진술형태가 핵심개념을 명료하게 잘 제시해주고 있다고 보았으며, 내용 조직 방식에 있어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진술문이 내용요소들을 구조적으로 잘 연계시켜 제시해주고 있지만 너무 통합에 무게를 두다보니 배워야 할 개념들이 많이 누락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방식이 미치는 효과는 실제 학교 수업 및 평가 그리고 교육내용 적정화 수준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먼저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방식이 학교수업과 평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제7차에서 2009 개정으로 올수록 내용 성취기준이 통합적이고 연계적인 진술방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할 내용을 설명할 때 지식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중시하게 되었으며, 평가문항도 연계성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이전보다 질 높은 학교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또한 수업할 내용과 난이도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 진술문을 토대로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내용 진술문과 실제 수업에서의 학습내용의 양과 수준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외국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과의 비교 분석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미국의 내용 진술문에서 제시하는 교육내용이 양이 많고 난이도가 높지만 진술방식에 있어서는 보다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핵심개념을 잘 제시해주고 있다고 하였다. 미국의 내용 기준에 따라 수업을 할 경우 핵심내용에 대한 연계적 수업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업방식은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영국의 진술문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교육내용의 양이 적고 단순화된 진술형태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한국 내용 진술방식의 개선 과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세 가지의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교육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순서에 맞게 연계적으로 제시해주어야 하고, 둘째, 내용 진술문(성취기준)은 교사로 하여금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명료한 이해를 줄 수 있는 진술방식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셋째, 교육내용은 다른 교과와 연관 지어 검토하고 진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과 관련된 교육내용 진술문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성취기준)은 교육내용 적정화를 위해서 핵심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성취기준)은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술되어야 한다. 셋째, 내용 진술문(성취기준)은 교사들이 가르쳐야 할 내용 그리고 학생들이 알아야 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내용 진술문의 개선은 핵심 개념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습량의 적정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의미 있는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교육내용 적정화를 위한 중요한 방안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의 흐름 6 1. 제4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6 2. 제5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8 3. 제6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9 4. 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12 5.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14 6.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 16 7. 종합 논의 및 시사점 18 B. 교육내용 적정화의 의미에 대한 논의 21 1. 과목별 균형성에 초점을 둔 적정화의 의미 21 2. 양적 기준에 따른 적정화의 의미 22 3. 질적 기준에 따른 적정화의 의미 23 C. 교육내용 적정화와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방식의 개선과제 25 D. 선행연구 검토 27 Ⅲ. 연구방법 31 A. 연구 참여자 32 B. 연구 절차 33 1. 면담질문지 작성 및 내용타당도 검증 33 2. 연구 참여 교사와의 심층면담 실시 34 3. 자료 분석 35 C. 연구의 한계점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A. 중학교 과학(생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의 특징 38 B. 중학교 과학(생물) 교과 내용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인식 41 1.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방식의 흐름 41 2. 교과의 핵심개념 반영 및 내용 조직방식의 특징 45 C. 내용 진술문의 변화에 따른 수업, 평가 그리고 교육내용 적정화 수준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50 1. 내용 진술문에 따른 학교 수업의 질 그리고 평가의 변화 50 2. 내용 진술문에 따른 교육내용 적정화 수준의 변화 54 D. 외국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인식 57 1. 외국 과학(생물) 교육과정 내용 진술문의 특징 57 2. 외국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인식 60 E. 한국 교육내용 진술문의 개선 과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66 Ⅴ. 결론 70 A. 요약 70 B. 논의 및 시사점 72 참고문헌 75 부록1. 면담설문지 81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20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내용 적정화 관점에서 본 교과 교육과정 내용 진술의 개선 과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등 과학(생물)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ment of statement of educational content in subject curriculum for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secondary school science(biology) teachers' preception-
dc.creator.othernamePark, Soo Ryun-
dc.format.pagevi, 91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백남진-
dc.contributor.examiner여성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