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3 Download: 0

반성적 고찰과 교사의 피드백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반성적 고찰과 교사의 피드백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review and teacher's feedback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 교과에서 반성적 고찰을 토대로 작성한 주 단위 보고서를 교사가 피드백 했을 때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뷰를 통하여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주 단위 보고서의 수업처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과학 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3개반은 실험반, 3개반은 비교반으로 총 8차례에 걸쳐 주 단위 보고서 작성하기가 진행되었다. 수업처치의 대상 단원은 화학Ⅰ Ⅳ. 닮은꼴 화학 반응으로 선정하였다. 주 단위 보고서의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SLQ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는 TOSRA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 학업성취도는 연구대상자들의 학교에서 시행한 지필평가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 단위 보고서의 수업처치를 마친 후, 수업처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성적 고찰을 토대로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활용한 수업은 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p〈.05). 동기 변인의 하위 영역인 내적목표, 외적목표, 학습신념, 과제가치, 자기효능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하지만 시험불안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 학습전략 변인의 하위 영역인 조직화, 메타인지, 동료학습, 학습시간 관리 및 학습환경 관리, 비판적 사고, 시연, 도움구하기, 정교화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노력규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갖지 못했다(p〉.05). 하지만 과학에 대한 태도 하위 영역 5가지 중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가졌다(p〈.05). 셋째, 반성적 고찰을 토대로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활용한 수업은 화학Ⅰ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지만 군집분석을 통해 성취 수준별로 상, 중, 하 집단을 나누어 주 단위 보고서의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의 학생들 사이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p〈.05). 하지만 중위권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넷째, 수업처치 후 실험반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는 수업이 학생들에게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처음에는 부담스러워 했지만, 자신의 학습 정도를 파악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것을 의미 있게 받아들였다. 또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교사와의 친밀감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고, 조력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성적 고찰을 토대로 주 단위 보고서를 작성 후 교사의 피드백을 받는 활동이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은 물론,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옴을 알았다. 또 과학에 대한 태도 중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 변화와 과학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 효과적인 화학 교과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주 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반성적 고찰 수업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의 화학 학습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 단원이나 주제에 맞게 주 단위 보고서를 변형하여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며,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교사의 피드백이 적절히 제공될 수 있도록 교사 또한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amined when a feedback of weekly report based on reflection of review as an assignment form of an individual learning journal at a wrap-up was used.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05) in the larger context of synchronous learning strategy variables and 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Sub-regions of internal goals of synchronously factors, extrinsic goals, learning beliefs, task value, self-efficacy and the positive change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05). However, the instability reg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again organized a sub-area of the learning strategy variables, metacognition, peer learning, learning time management, critical thinking, demonstrations and get help elaborated in positive zone. There were change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05). However, efforts were of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ulatory area. (p〉.05) Second, feedback of weekly report based on reflection of review attitudes to scientific inquiry'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region of five kinds brought positive improvements in the joy to science class area, also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05) shown. However, the acceptance of a scientific attitude, interest in science as a hobby for interest in science as a profession reg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Third, the use feedback of weekly report based on reflaction of and chemical Ⅰ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But Cluster analysis divided over top, middle, low area targeting students and showed the effect of weekly- reports. The top and low are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p〈.05). The middle area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core(p〉.05). Fourth, the use of class-powered feedback through interviews was found to cause students to show a generally positive response. Activities to create a weekly report, but this burden, accepted significant activities fill out the gaps in learning about his arrest. For teacher feedback was extremely positive and formed the closeness of the unknown and teachers through its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help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