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하곡 정제두의 실천적 마음공부론 연구

Title
하곡 정제두의 실천적 마음공부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actical Mind Study of Hagok Jeong Jae-Du
Authors
김미령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Today, education for entrance exams centered on rote learning has negative effects of intellectualistic education on our society. With a critical mind on the neces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particularly of mind study in improving such bad effect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ractical mind study theory of Hagok Jeong Jae-Du(霞谷 鄭齊斗, 1649-1736) with a special attention. Hagok diagnosed the 18th century's Joseon as the society too much emphasizing on knowledge in the tradition of doctrines of Chu-tzu and maintained the necessity of the practical mind study through harmonizing intellectualistic doctrines of Chu-tzu with emotionalistic doctrines of Wang Yangming. Such attempts made by Hagok give many suggestions for today's educational reality laying stress upon education for main subjects centered on entrance exams. Accordingly, exploring Hagok's practical mind study theory based o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of Juwanghwahoi, that is, the theory of mind integrating the intellectualism and emotionalism,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emphasis on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personality based on the mind of the cognitive subject. Hagok regarded that true knowing acquired from Liang-zhi as the innate moral cognitive ability is the knowing of the whole not separating objects and the mind, in other words, true knowledge based on the theory of physiological Liang-zhi as knowing revealed from the subject of human mind rather than that of the Gyeongmulchiji theory in the doctrines of Chu-tzu recognizing objective things through the objectification. Hagok had a basic assumption that true knowing that may be a gateway to the life of the supreme goodness where a true man, or a 'saint' reaches ultimately is reflective and subjective knowing through self-reflective thinking rather than unconditional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uch knowing may be recognized by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with the ultimate question on the internal world of human, or 'mind'. In a process pursuing the true knowing, we are forced to face with a situation losing the mind as an essence. In other words, we often do study damaging the spirits[pokgi] without any reflection or are forced to do it. Hagok Jeong Jae-Du, who already recognized such a problem 3 centuries before and tried to find out a solution, came to maintain a method of the practical mind study, 'Mupokgi' and 'Mujagi' studies through the theory of physiological Liang-zhi and emphasized ultimate aim of mind study should be a life of the supreme goodness. This research centered on Hagok's practical theory of mind study kept an eye on the fact that educational role is to guide modern people living a busy life in today's harsh world to search for their mind through subjective self-awareness. Particularly, Hagok's perspective of Juwanghwahoi that combined the doctrines of Chu-tzu with those of Wang Yangming through reflective examination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actical mind study, giving a good example for considering a new solution in the Korean educational reality that harmony and balance of human development is increasingly urgent than before. According to Hagok, true knowing may be implemented by revealing Liang-zhi inherent naturally in the mind. However, he regarded it necessary to conduct mind study and habit education together for the young Liang-zhi has underdeveloped yet. In other words, recognizing a possibility that feelings are revealed disorderly, he emphasized that formation of correct habits is needed from one's early days. Therefore, Hagok gave suggestions that it is possible to go forward the true life under harmony and balance of intellectualistic development of reason and emotionalistic development of sensibility and such an integrated study method, that is, practical mind study emphasizing the mind as a subject and forming correct habits,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field damaging our children's spirits[pokgi] by today's biased knowledge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at Hagok's ' Theory of Practical Mind Study' through harmonization of intellectualistic doctrines of Chu-tzu and emotionalistic doctrines of Wang Yangming gives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issues including dehumanization, human alienation, bullying, school violence and suicide resulted from absence of human mind that prevail in the modern society.;오늘날 우리 사회는 암기중심의 입시교육으로 주지주의 교육의 폐단에 빠져있으며, 비인간화, 인간소외, 왕따, 학교폭력, 자살 등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는 데 있어 본 연구는 인성교육, 특히 마음공부의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문제의식에서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 1649-1736)의 실천적 마음공부론에 주목하였다. 주자학적 학풍에 따른 지식의 편중화가 18세기 조선사회에 만연해 있다고 진단한 하곡은 주지주의(主知主義)적 주자학과 주정주의(主情主義)적 양명학의 회통(會通)을 통해 실천적 마음공부론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하곡의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입시위주의 주요 교과교육에 치중하는 교육현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왕화회론(朱王和會論)적 양명학, 즉 주지주의와 주정주의를 통합한 마음론에 기초하고 있는 하곡의 실천적 마음공부론 탐색을 통하여 인식 주체의 마음을 중심으로 지식과 인성의 통합이 강조되는 측면을 살펴 보고자 한다. 하곡에게 있어서 참된 앎이란 선천적 도덕인식능력으로서의 양지(良知)를 통해 습득되는 것으로, 사물과 내 마음이 분리되지 않은 일체론(一體論)적인 앎 곧 인간 마음의 주체로부터 발현되는 앎이며, 이는 객관적 사물을 대상화해서 인식하는 주자학적 격물치지론과 대비되는 것이다. 참된 인간 곧 성인(聖人)의 궁극적 도달처인 지선(至善)한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 출구가 될 수 있는 참된 앎이란 지식의 무조건적인 습득이 아닌 자아 성찰적 사유를 통한 반성적이고 주체적인 앎이며, 이러한 앎은 인간 내면 곧 ‘마음’ 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과 함께 주체적 자각에 의해 깨달아질 수 있다는 것이 하곡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참된 앎을 추구해 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부득이하게 주체로서의 마음을 잃어버리는 사태에 직면한다. 즉, 기를 해치는[폭기(暴氣)] 공부를 아무런 성찰 없이 행하거나 혹은 강요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이미 3세기 전에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하곡은 생리적 양지론을 통해 ‘무폭기(無暴氣)ㆍ무자기(毋自欺)’공부라는 실천적 마음공부의 방법을 주장하였으며, 마음공부의 궁극적 도달처는 지선한 삶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하곡의 실천적 마음공부론을 주제로 한 본 연구는 오늘날 각박한 세상 속에서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주체적 자각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찾아가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로 교육의 역할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특히, 주자학과 양명학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여 종합한 하곡의 주왕화회론적 관점은 실천적 마음공부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그 어느 때보다 인간발달의 조화와 균형의 원리가 시급한 한국의 교육현실에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좋은 예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하곡에 의하면, 참된 앎이란 내 마음에 선천적으로 내재한 양지를 발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자칫 양지가 덜 발달한 어린아이 시기에는 마음공부와 습관교육의 병행이 요청된다고 보았다. 즉 하곡은 욕망이 제멋대로 발현될 가능성 또한 인지하면서 어렸을 때부터 바른 습 관형성이 필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따라서 하곡은 주지주의적인 이성의 계발 측면과 주정주의적인 감성 계발 측면이 조화와 균형을 이룰 때 비로소 참된 앎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통합적 방식의 공부 곧 주체로서의 마음을 중시하고 바른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실천적 마음공부가 오늘날 편중된 지식교육으로 우리의 아이들의 기를 해치는 교육현장에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주지주의적 주자학과 주정주의적 양명학의 회통을 통한 마음공부를 표방했던 하곡의 ‘실천적 마음공부론’은 현대사회에 만연해 있는 인간 마음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비인간화, 인간소외, 왕따, 학교폭력, 자살 등의 문제들에 대한 교육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