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장은진-
dc.creator장은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7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71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지역은 관광도시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축제가 일년 사계절 열리는 곳이며 전통문화유산이 축제의 형태로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축제를 통한 복식문화의 연구가 의미가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영상산업도시로서 문화예술콘텐츠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과 현대적 산업이 공존하는 지역의 전통복식문화 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적 의미가 융합된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200여년 동안 한일 외교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조선통신사축제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동래읍성역사축제, 가야국의 시조인 허왕후와 김수로왕의 만남을 소재로 하고 있는 허왕후신행길축제를 대상으로 축제 복식의 사례를 연구했으며 축제 속에서 재현되는 전통복식의 고증부분과 재현과정의 개선점, 축제 복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축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복식 콘텐츠는 시각적인 부분이므로 축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축제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현재 부산에서 시행되고 있는 조선통신사와 동래읍성역사축제는 각각 1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전통축제로 대중들의 관심을 받으며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성공적인 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호응을 끌어낼 수 있었던 것은 관주도의 일방적인 축제가 아니라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지역민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체험이 가능한 참여형 축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전시공간을 통한 전통복식문화의 전시 콘텐츠화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복식체험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지역의 전통복식문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 번째, 복식문화의 스토리가 살아있는 지역축제를 개발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기존의 복원과 보존의 절차를 거친 복식유산을 단순한 전시콘텐츠에서 체험과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실감형 체험 콘텐츠로 만들어야 한다. 현대의 CT기술을 활용해서 가상피팅 체험서비스나 4D 상영관, 증강현실을 이용한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홀로그램을 활용한 복식재현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복식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세계로 알리고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서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례연구한 조선통신사축제와 허왕후신행길축제 모두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우수성을 인정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등재 이후에도 그 가치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통복식문화를 콘텐츠화시키는 방안으로는 축제의상으로 재현된 의상을 모두 모아서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의 확대 개념으로 복식전문 박물관 건립을 제안하고 있다. 복식전문 박물관 중에서도 전통복식 박물관과 그 하위 개념으로 영화의상 박물관을 제안하고 있는데 영상콘텐츠 특화지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센텀 지역의 특수성을 이용한 영화의상박물관과 부산의 문화예술인프라를 연계하면 복식전문박물관의 건립이 실현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이 공간을 채워넣을 핵심 콘텐츠 생산을 위해서 앞서 말한 스토리가 살아있는 특성있는 축제를 만들어야 하며 전국 어디서나 다 볼 수 있는 축제가 아닌 해양문화도시 부산에서만 가능한 콘텐츠여야 한다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콘텐츠 개발은 허왕후신행길 축제나 팔관회 축제처럼 역사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문학, 무용, 음악, 미술 등 각종 예술 속에 담겨있는 원형소스를 발전시켜 공연 콘텐츠를 축제복식과 접목시키는 시도를 한다면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로서 변신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래야류나 어방축제 같은 경우는 고증과 자료연구를 통해 충분히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축제복식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른 축제복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후속연구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축제의상을 포함한 전통복식문화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전통복식의 단순한 복원이나 형식적인 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시키는 결과물이 되도록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앞으로 부산의 복식문화가 지역의 문화유산과 우수성을 더 많이 알리고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콘텐츠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This study considers how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concerned with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Busan, featured as a tourist city, holds a variety of festivals all season, many of which treasure the trace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at sense, it may be significant to study its costume culture permeated in the festivals. Also, cultural art contents have been being developed so rapidly in the area as an international visual entertainment town. Based on it, this study, focused o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industries co-exist, intends to suggest how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with traditional and modern meanings blended in them. The cases of festival costumes for these festivals are covered in this research: Joseon Envoys Festival commemorating envoys to Japan for about 200 years in the age of Joseon,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telling about a historical fact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depicting the encounter between King Suro, Founder of Gaya Kingdom, and his queen consort. In addition, background research of traditional costumes reproduced in the festivals,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the reproduction,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stumes are looked into. Among the various factors building the festivals, a content of costume works as important as it plays so visual a part that it functions as a measure to judge a completion of the related festival. Joseon Envoys Festival and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which are currently hold, have a more-than-10-year-old history, respectively, so that a number of folks a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festivals to hold a seat as a successful one utiliz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As the carnivals were designed as the ones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to experience the events on the basi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Busan-oriented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led one side only by the government, positive responses and supports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idents. Besid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displayed at exhibition space such as a museum or art gallery to suggest about corrective measures for the costume experiencing content. Finally, the results from studying how to utilize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for cultural contents are put in order as below. Firstly, a local festival with a story of costume culture alive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costume heritages verified with the existing procedures of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should be transformed from contents for simple exhibition to ones for realistic experience us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may cause the expected contents to be developed: a virtual fitting service with modern CT technologies, games and animations on augmented reality us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costumes restored on hologram, etc. Thirdl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stume culture heritages for UNESCO World Heritage to let the world know the excellence of them and let the local community be proud of them. Both of Joseon Envoys Festival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case-studied in this paper are targeted at the designation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owever, more important is to not stop considering how to maintain and preserve their values although it is significant that they shall b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Finally, to develop contents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t is proposed that a costume museum be constructed as a extended concept of the space available to display the collection of the costumes restored for the festivals. The museum is proposed as a type of a traditional costume museum including a movie costume museum as subsidiary. It is believed that it is feasible to construct the costume museum if cultural art infrastructure in Busan can be connected to the movie costume museum using the uniqueness of Centum City growing as a film contents town. To develop key contents to fill the space, the festivals should tell their own vivid stories said above. Also the contents must be of origin only in Busan as a marine culture city, not sourced anywhere else. Developing contents of live storytelling may be possible with the transformation into Busan‘s own cultural contents, if performance contents grown up from original sources contained in a variety of arts such as literature, dance, music, fine art, etc. may be grafted onto carnival costume styles. As for Dongnae Outdoor Mask Dance or Fishery Communities Carnival, its creative and aesthetic design for festival costumes may be suggested if backed up by background research and data. Detailed studies of festival costumes not covered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followed up in its next assignment. This paper may be significant in the view points of suggesting what to be improved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contents including carnival costumes and then studying how to use the contents to result in a new type of contents, not to let them stay at simple restoration or formal recurrence. The author‘s wish is that Busan costume culture would help the world know the local culture heritage and its excellence and become one of the cultural art contents representing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전통복식문화와 문화콘텐츠 산업 4 A. 전통복식문화와 문화콘텐츠 4 B. 세계 각국의 문화콘텐츠 정책과 문화유산 9 C.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정책과 문화유산 18 Ⅲ.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연구 21 A. 국내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21 1. 미디어매체의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21 2. 지역축제의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32 B. 부산지역축제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39 1. 조선통신사축제 복식 40 2. 허왕후신행길축제 복식 63 3. 동래읍성역사축제 복식 75 C. 부산 박물관의 전통복식문화 콘텐츠화 사례 85 Ⅳ. 전통복식문화의 콘텐츠 활용방안 93 A. 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지역축제 개발 94 B.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복식전문박물관 콘텐츠 개발 97 C. 세계문화유산 등재추진과 복식문화유산 보존 103 D. 부산의 문화예술인프라와 연계한 복식콘텐츠 개발 107 Ⅵ. 결 론 111 참고문헌 113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759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와 활용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n the Busan Region-
dc.creator.othernameChang, Eun Jin-
dc.format.pagex, 125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임재영-
dc.contributor.examiner홍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직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